3월 전국 2만7천가구 신규 공급…"서울은 분양 물량 없어"
2023년 2월 이후 2년 만

26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다음 달 전국 23개 단지, 총 2만7418가구(임대 포함)가 분양에 나선다. 1~2월의 경우 1만8723가구에 그쳤던 데 비해 분양 물량이 대폭 늘어난 것이다.
수도권 3월 분양 예정 물량은 총 1만2417가구로 △경기(8237가구) △인천(4180가구)순이다. 서울은 2023년 2월 이후 2년여 만에 분양 단지가 없다.
경기, 인천의 물량이 많은 데에는 2000가구 이상의 대단지 공급 영향이 크다. 대표적으로 경기 남양주시 오남읍 '오남역서희스타힐스여의재'(3444가구), 용인시 처인구 남동 '용인푸르지오원클러스터2·3단지'(2043가구)와 인천 부평구 산곡동 '산곡구역효성해링턴플레이스'(2475가구) 등이 있다.
지방은 총 1만5001가구가 분양을 앞두고 있으며 △부산(3766가구) △충남(3001가구) △경남(2638가구) 순이다.
1000가구 이상 대단지는 부산 해운대구 재송동 '르엘리버파크센텀'(2070가구)과 충남 천안시 서북구 업성동 'e편한세상성성호수공원'(1763가구)가 분양 예정이다.
경남의 경우 2022년 10월(2664가구) 이후 2년 4개월만에 가장 많은 물량이 풀린다. 창원시 진해구 여좌동 '창원메가시티자이&위브'(2638가구) 1개 단지가 분양에 나선다.
다만 줍줍에도 수만명이 몰리는 서울을 비롯한 일부 수도권과 달리 지방 분양시장의 경우 할인분양 등의 자구책에도 지역 내 쌓여 있는 미분양 해소가 어려운 상황이다.
국토교통부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7만173가구로 지난 2012년(7만4835가구) 이후 12년 만에 최다 수준이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1480가구로 10년5개월만에 2만가구를 넘겼다.
부동산R114는 "정부는 미분양 아파트 직접 매입, 금융 혜택 등 부동산 시장 회복을 위한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발표했지만 매입 물량이 많지 않고 세제 감면 등의 혜택이 없어 효과가 발휘되기까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더욱이 전국적으로 시장 불안 가능성이 여전한 만큼 물량이 집중되는 부산, 경남, 충남 등지까지 청약 온기가 기대만큼 확산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물산, 에스토니아 SMR 사업 협력…유럽 원전시장 공략 가속화
2카오게임즈, 신작 모바일 액션 RPG ‘가디스오더’ 신규 키 비주얼 공개
3애플의 무리수? AI 비판 봇물 "시리, 내년은 돼야…"
4중견 건설사 이화공영, 기업회생 신청…‘상장폐지 예고’ 무슨일
5인도 출신 엔지니어 영입해 부족한 개발자 문제 해결한다
6외국인 국내 주식 투자 쉬워진다
7소득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다...식료품·주거비 특히 부담
8300만명 몰리는 여의도 벚꽃축제…尹탄핵심판 선고에 일정 연기
9서울경찰청, 통신사와 공조해 보이스피싱 막았다...첫 현장 사례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