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Act 글로벌AI&로봇액티브 ETF, 미국 낮추고 일본 높였다
AI·로봇 ETF, 글로벌 시장 변화에 맞춰 전략 조정
미국 비중 축소, 일본 AI·로봇 기업 투자 확대

[이코노미스트 정동진 기자]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28일 KoAct 글로벌AI&로봇액티브 ETF가 AI 산업 변화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미국 중심에서 일본 AI·로봇 산업으로 다각화하며 시장 흐름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ETF는 AI 산업의 성장 단계별로 ▲초기 AI 인프라 ▲성장기 AI 서비스·소프트웨어 ▲성숙기 AI 로봇에 집중하는 전략을 운용하고 있다. 최근 나스닥 중심으로 미국 기술주가 약세를 보이면서 ETF 내 미국 기업 비중을 지난해 말 92%에서 최근 74%로 낮추고, 일본 AI 및 로봇 기업 비중은 1%에서 17.2%까지 늘렸다. 주요 투자 대상은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스(감속기) ▲화낙(서보모터) ▲키엔스(센서) 등이다.
최근 AI 산업의 흐름은 생성형 AI 모델 개발에서 AI를 활용해 직접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으로 이동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KoAct 글로벌AI&로봇액티브 ETF는 ▲팔란티어(엔터프라이즈 AI) ▲앱러빈(AI 광고 플랫폼) ▲삼사라(AI 기반 차량 관리) ▲업스타트(AI 대출 심사) 등의 비중을 확대했다.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이 AI 기반 강화학습(RL) 도입으로 개발 속도가 빨라지면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기존 모델 예측 제어(MPC) 방식에서 RL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로봇 개발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
양희창 삼성액티브자산운용 매니저는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AI 관련 투자 확대가 기대되지만, 높은 밸류에이션과 정책 불확실성 등의 변수가 존재해 일부 차익실현을 진행했다"며 "일본 기업들은 로봇·자동화 산업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최근 엔화 강세와 기업 지배구조 개선 등 긍정적인 변화가 이어져 비중 확대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앤컴퍼니, ‘특수가스 글로벌 1위’ SK스페셜티 지분 85% 인수
2K-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관심 줄어…글로벌 자본 미국 시장으로 집중
3“대출 경험 有” 청년 절반은 23살부터 빚진다…잔액은 얼마?
4공매도 재개 첫날, 트럼프 관세 공포 겹치며 무너진 증시 향방은
5간암 신약 '삼수' 도전하는 HLB...진양곤 회장 "반드시 허가받겠다"
6삼성, 자체적으로 인증한 '중고 갤럭시' 판다...가격은?
7머스크 “한국, 3세대 지나면 인구 4% 수준…돌이킬 수 없어”
8서울시, 무주택 청년에 부동산 중개보수·이사비 40만원 지원한다
9프랑스 당국, 애플에 1억5000만유로 과징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