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카카오가 풀어야 할 숙제는…’준법’과 ‘신뢰’
카카오 준신위 ‘연간보고서 2024’ 발간…2024년 의제 긍정적 평가
올해 과제로 ▲준법시스템 고도화 ▲사회적 신뢰 강화 ▲준법경영 틀 마련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카카오 계열사의 준법·신뢰경영을 지원하는 독립기구인 카카오 준법과신뢰위원회(이하 ‘준신위’)가 ‘연간보고서 2024’를 발간했다. 지난해 카카오에 권고했던 ‘책임경영’ ‘윤리적 리더십’ ‘사회적 신뢰회복’ 3대 의제는 모두 이행 완료했다고 평가했다. 올해 카카오의 과제로는 ▲준법시스템 고도화 ▲사회적 신뢰 강화 ▲준법경영 틀 마련이라고 했다.
준신위는 최근 2025년 첫 정기회의를 열고 카카오로부터 3대 의제 권고 개선안에 대한 최종 이행 상황을 보고 받았다. 지난해 2월 준신위는 카카오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3대 의제를 수립하고 카카오에 의제별 개선안을 마련하도록 권고한 바 있다.
첫 번째 의제인 ‘책임경영’과 관련해 CA협의체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강화했으며 대규모 투자 등 사회적 영향이 큰 의사결정시 사전·사후 검토 절차를 강화했다. 또 경영진 선임시 외부 검증 절차를 구축하고, 본인의 귀책사유로 회사에 손해를 끼친 경영진에 대해 배상책임을 부과하는 근거를 마련했다.
두 번째 의제인 ‘윤리적 리더십’ 확립 방안으로는 ▲사회적 책임을 수반하는 혁신 ▲의사결정 과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 ▲공정과 윤리 준수 ▲존중과 신뢰를 기반으로 한 카카오 임원 윤리강령을 정립, 임원 계약서에 반영하기로 했다.
‘사회적 신뢰회복’ 의제를 실행하기 위해 카카오 기업지배구조헌장 주주보호 정책을 명문화할 예정이다. 이는 자회사 상장으로 인한 모회사 주주가치 하락 우려를 막기 위한 방안이다. 또한 카카오는 이날 정기회의에서 기업지배구조헌장에 'IPO시 주주이익 침해 여부 사전 검토 및 주주보호 방안 마련’ 조항을 명시한다고 밝혔다.
한편 준신위는 정기회의에서 2025년 운영계획도 논의했다. 지난해 카카오의 변화를 위한 준법시스템 구축에 집중했다면 올해는 ▲준법시스템 고도화 ▲사회적 신뢰 강화 ▲플랫폼 기업 특성을 반영한 준법경영 틀 마련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이날 회의엔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가 참석해 각 사의 2025년 전망과 준법시스템 개선 등에 대해 설명했다.
김소영 위원장은 “2024년 한 해 동안 카카오 협약 계열사 임직원들이 적극 노력해주신 덕분에 권고 개선안이 제대로 마련돼 변화의 밑바탕을 만들 수 있었다”라며 “새해에도 카카오가 사회적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2“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3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4“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5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6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7“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8‘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9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