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전쟁 능력 놀라워”...러시아, 쿠르스크 사실상 탈환
북한에 "러시아는 강력한 동맹국 가졌다" 평가

1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은 일부 국경 지역을 제외하고 쿠르스크의 통제권을 상실했다.
올해 초 러시아가 드론부대를 앞세워 쿠르스크의 제공권을 장악하고, 대규모 병력 배치를 통해 보급로를 차단하면서 우크라이나군은 적지 않은 타격을 받았다.
이 상황에서 후방에서 전열을 가다듬고 지난달 초 쿠르스크 전선에 다시 등장한 북한군이 전황을 바꾸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지난해 10월 파병된 1만1000여명 규모의 북한군은 단순한 보병 부대였지만, 추가 파병된 북한군에는 특수부대가 포함됐다.
또 북한군은 첫 파병 때 얻은 전쟁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지휘 체계와 공격 계획을 갖추게 됐다. 소규모 그룹별로 작전을 펼친 북한군은 러시아의 베테랑 부대와 합세, 우크라이나군을 2대 1로 압도했고 주요 물류 거점인 스베르들리코보를 점령하는 데 기여했다.
북한군이 작성한 작전지도를 확보했다고 주장한 우크라이나 군인은 "병력의 모든 이동 경로가 완벽하게 손으로 그려져 있었다"라며 "예전 소련식 초정밀 군사 접근법을 보는 것 같았다. 모든 선은 마치 평생 훈련을 한 것처럼 세밀하게 그려져 있었다"고 전했다.
특히 북한군은 우크라이나군이 야간투시경으로도 식별하기 힘든 장비를 갖추는 등 개선된 장비를 이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의 한 장교는 "북한군이 전황에 변화를 일으켰다. 러시아는 강력하고 좋은 동맹국을 가졌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2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3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4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5"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
6'다 바꾸겠다'는 더본코리아...백종원 대표 직속 '리스크 관리 조직' 신설
7또 터진 금융사고…하나은행 350억원 부동산 대출사기 발생
8중국 보잉 737맥스 인수 중단…美 항공기 사실상 수입봉쇄
9지난해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이부진, 1483억여원 수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