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월세 비중 처음으로 60% 넘었다"…경기둔화 영향 탓
수도권보다 지방 월세 비중 증가
'비 아파트' 월세 큰 폭으로 늘어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전월세 신규 거래 중 월세(보증부 월세·반전세 포함)가 차지하는 비중은 61.4%다.
1∼2월 기준으로 이 비중은 2021년 41.7%에서 2022년 47.1%, 2023년 55.2%에 이어 지난해 57.5%로 급격히 늘어난 뒤 올해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4년만에 20%p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수도권보다 지방의 월세화가 가파르다.
이 비중은 수도권이 60.2%로 1년 새 3.1%p 증가했고, 지방은 63.5%로 5.4%p 늘었다. 서울의 월세 비중은 65.2%다.
아파트 월세 비중이 매년 조금씩 높아지는 반면 '빌라'로 대표되는 비아파트 월세 비중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국 아파트 월세 비중은 올해 1∼2월 44.2%로 1년 새 2%p 늘었다.
서울이 43.8%, 지방은 45.4%다.
같은 기간 비파아트 월세 비중은 76.3%로 1년 전보다 5.6%p 증가했다.
지방 비아파트의 월세 비중이 82.9%로 가장 높고, 서울 76.1%, 수도권 73.2% 였다. 지방 빌라는 대부분이 전세가 아닌 월세 계약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지난 2년간 전세사기로 인한 빌라 전세 기피 현상과 함께 지방 부동산 침체가 월세화를 가속화한 주요 요인이 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집값이 오르지 않는 상황에서 투자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월세로 전환하는 임대인이 늘었고, 기준금리가 인하되며 은행 예금금리가 떨어지자 임대인의 월세 선호가 더 강해졌다는 것이다.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바꿀 때 월세를 얼마 받을지 계산하는 비율인 전월세전환율이 높아지면서 세입자들의 월세 부담은 갈수록 늘고 있다.
올해 1월 기준 수도권 전월세전환율을 5.9%, 지방은 6.9%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금리 인하 기조와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일부 임대인은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이 가능할 만큼 전가세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금 비율)을 낮추고, 나머지는 월세로 전환하며 월세화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경기 둔화로 금리가 낮아질수록 월세화 흐름은 강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물산, 에스토니아 SMR 사업 협력…유럽 원전시장 공략 가속화
2카오게임즈, 신작 모바일 액션 RPG ‘가디스오더’ 신규 키 비주얼 공개
3애플의 무리수? AI 비판 봇물 "시리, 내년은 돼야…"
4중견 건설사 이화공영, 기업회생 신청…‘상장폐지 예고’ 무슨일
5인도 출신 엔지니어 영입해 부족한 개발자 문제 해결한다
6외국인 국내 주식 투자 쉬워진다
7소득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다...식료품·주거비 특히 부담
8300만명 몰리는 여의도 벚꽃축제…尹탄핵심판 선고에 일정 연기
9서울경찰청, 통신사와 공조해 보이스피싱 막았다...첫 현장 사례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