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프리드라이프, '장례문화 10년' 데이터 분석..."10명 중 8명 '화장' 선택"

프리드라이프는 자사 장례 의전 빅데이터 분석 결과 ▲화장의 압도적 우세와 매장의 감소 ▲자연장의 관심 및 이용 증가 ▲종교별 맞춤 장례서비스 수요 지속 등의 현상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먼저 ‘화장’은 2015년 전체 장법 중 69%를 차지했으며, 이후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에는 81%로 압도적인 비율을 기록했다.
전통적 장법인 ‘매장’은 2024년 전체 장법에서 6%의 비중을 차지, 2015년 18%와 비교해 확연히 감소했다. 특히, 같은 기간 화장 비율이 약 12%p 증가한 반면 매장은 약 12%p 감소하며, 장법 선호가 매장에서 화장으로 이동하는 추세를 포착했다. 매장 방식 중에서 관 채로 땅 속에 모시는 ‘관장’은 50%, 관 없이 고인만 하관하는 ‘탈관’은 49%를 차지했다.
새로운 장례 문화로 부상하고 있는 ‘자연장’의 이용 증가 추세 역시 눈에 띈다. 수목장과 해양장 등의 자연장은 2015년 대비 약 91% 증가했다. 프리드라이프 관계자는 “특히 산이나 바다 등에 고인의 유골을 뿌리는 장법인 산분장이 올해 1월 24일 제도화되면서 산분장 문의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고 말했다.
장례 형태로는 여전히 전통식 장례가 우세한 가운데 종교별 맞춤 장례서비스 수요도 꾸준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식 장례는 2015년에 이미 과반 이상인 54.7%를 차지했으며 2024년에도 55.7%를 기록했다.
종교식 장례행사 비중은 2015년 45%에서 2024년 44.3%로 0.7%p 감소했으며 기독교식 24%, 불교식 13%, 천주교식 7% 순으로 나타났다. 프리드라이프는 특허 받은 한지궁중대렴과 봉안함, 관보 등 장례용품, 고인 추모영상 등 종교별로 맞춤 장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프리드라이프 관계자는 “프리드라이프는 장례 의전을 진행하면서 누적된 데이터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의 니즈에 최적화된 장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아름다운 추모문화를 이끄는 리딩 기업으로서 상조 산업의 공익적 가치 실현을 위해 새롭고 참신한 시도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尹, 6분간 직접발언 "계엄은 가치중립…칼 썼다고 살인인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지아, 하의실종 패션... 민낯에도 굴욕 無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향년 88세(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국민연금, 한화에어로 유증 문제제기...비공개 대화기업 지정 논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루닛 vs 딥노이드, 생성형AI 의료기기로 치열한 시장선점 경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