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앞으로 살 날도 많은데”...기대수명 늘자 5060, 지갑 닫았다
- 평균소비성향 20년새 3.6%P '뚝'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우리나라 국민들의 기대수명이 가파르게 늘어나면서 20년 동안 소비성향이 하락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수명이 늘어났지만 직장 퇴직연령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어, 퇴직 후 소득이 낮고 불안정한 일자리에 종사하게 될 가능성에 대비해 소비는 줄이고 저축성향은 상승했다는 것이다.
23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간(2004∼2024년)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77.8세에서 84.3세로 약 6.5세 증가했다. 같은 기간 평균소비성향은 52.1%에서 48.5%로 3.6%P 하락했다.
그런데 수명이 1년 증가할 때 소비성향은 0.48%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돼 20년간 기대수명 6.5세가 늘면서 소비성향은 3.1%P 하락했다는 설명이다. 이는 소비성향 하락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요소다.
소비성향 하락은 은퇴 이후 길어진 여생에 대비해 저축을 많이 하려는 의도 때문이다. KDI는 “퇴직 연령에는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기대수명이 늘면서 퇴직 후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고 불안정한 일자리에 종사할 가능성에 대비해 저축성향이 커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소비성향 하락에는 50~60대 가구의 소비성향 둔화가 주요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향후에도 소비성향은 당분간 추가 하락이 지속될 것이지만, 2030년대 중반부터 점차 반등할 것으로 추정했다. 앞으로 초고령층 인구(75세 이상)가 빠르게 늘어나기 때문이다.
KDI는 아울러 소비성향 하락에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문제가 투영된 만큼 대응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연공서열형 경직적인 임금구조를 개선하고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정년퇴직 후 재고용 제도를 활성화하는 등 방법으로 고령층 노동 수요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내 여친 SNS 차단해", 고교생 집단폭행에 영상까지 촬영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단독] 김소은♥수원FC 정동호 1년째 연애 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개헌, 100일내 할 정도 아냐"…김동연 "빨리 해야"(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나스닥 상장사 그라비티, 말레이시아 사업 직접 관리한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FDA 규제는 권한 남용" 판결, 美 진출한 진단업계 영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