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헬스장 피해 급증…'오운완' 열풍 속 소비자 분쟁도 확산
- 구독형 서비스 피해 급증

15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2022년부터 올해 3월까지 접수된 헬스장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1만104건에 달한다.
연도별로 보면 2022년 2654건, 2023년 3165건, 2024년 3412건 등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올해 1분기(1∼3월) 873건이 접수돼 지난해 같은 기간(714건)에 비해 17.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 10명 중 9명은 20∼40대 젊은 층이었고 평균 계약 금액은 120만원 안팎으로 나타났다.
신청 사유는 청약 철회나 환급 거부, 중도해지 시 위약금 분쟁을 포함한 계약 해지 관련이 9천290건(92.0%)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최근에는 헬스장 구독 서비스와 관련한 피해가 가파르게 증가했다.
구독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에 카드를 등록하면 매달 정해진 날짜에 이용료가 자동 결제되는 방식이다.
장기 계약으로 거금의 이용료를 선납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이용 인구가 늘었지만 그만큼 피해도 증가하는 추세라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
2022년부터 지난 3월까지 접수된 헬스장 구독 서비스 관련 소비자 피해 100건 중에 올해 1분기에 들어온 것만 30건에 이른다.
피해 유형은 자동결제 사실 미고지가 38%로 가장 많았고 계약 해지 시 환급 거부 33.0%, 계약 해지 기능 부재 9.0%, 부당한 이용대금 청구 7.0% 등의 순이었다.
다만, 피해 구제 신청을 해도 두 명 중 한 명(49.7%)은 환급·배상 등을 받지 못했다. 중도해지 시 환급액 산정을 둘러싼 갈등이 주요 원인이었다.
소비자원은 관련 피해를 예방하려면 계약 체결 전 환급 기준을 반드시 확인하고 분쟁에 대비해 계약서와 내용증명우편,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등 증빙자료를 확보할 것을 당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DRTECH Rides Performance Recovery, Targets Profitability After Q2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소년장사' 최정, 600홈런 향한 걸음을 떼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안약 하나로 '21개국' 뚫었다…삼일제약 잭팟 터지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5년 조기상환'의 함정…자본성증권의 '역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 트럼프 약가 인하 불똥이 알테오젠까지?…CMS 새 지침 영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