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승무원 미스트’ 달바글로벌, 코스피 상장 첫날 70% 급등
- 오버행 우려는 여전…글로벌 향 매출 확대 가능성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달바글로벌이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70% 넘게 급등하며 증시 입성에 성공했다. 최근 대어급 기업공개(IPO)기업들의 잇단 상청 철회에도 불구하고 K-뷰티 저력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달바글로벌은 상장 첫날인 이날 주가가 11만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공모가 6만6300원 대비 66.1% 상승했다. 달바글로벌은 이날 공모가 대비 77.98% 오른 11만8000원에 상승 출발해 12만3300원(85.97%)까지 오르기도 했다.
총 공모 주식 수는 65만4000주다. 이 중 92.35%인 60만4000주는 신주, 7.65%인 5만주는 구주매출이다.
달바글로벌은 일명 ‘승무원 미스트’로도 유명한 프리미엄 비건 스킨케어 브랜드 ‘달바’의 운영사다. 지난 2016년 3월 설립돼 미스트, 선크림 등을 제조·판매 중이다. 달바글로벌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한 3091억원이다. 영업이익은 84% 늘어난 598억원이다.
달바글로벌은 공모 과정에서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높은 관심을 받았다. 앞서 진행한 가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달바글로벌은 1140.8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공모가도 희망 범위 최상단인 6만6300원에 결정했다. 같은 시기 코스피 상장을 추진했던 롯데글로벌로지스와 DN솔루션즈가 수요예측 부진으로 상장을 철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의무보유확약 비중 또한 수요예측 전체 주문 물량 중 약 24%로 2025년 IPO 기업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후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은 1112.03 대 1의 경쟁률을 기록, 청약 증거금 약 7조705억원을 모았다.
하지만 오버행(잠재적 매도 물량) 우려는 여전하다. 달바글로벌은 그동안 많은 외부 투자 유치로 최대주주인 반성연 대표의 지분율이 많이 희석된 상태다. 달바글로벌의 FI의 지분율은 ▲우리벤처파트너스(14.91%) ▲코리아오메가투자금융(14.69%) ▲NBH캐피탈(7.93%) 순이다. 이외 수많은 VC(벤처캐피탈)와 펀드들이 5% 이하의 지분을 나눠 가지고 있다. 이는 반 대표(16.11%) 지분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이들이 보유한 달바글로벌 지분에는 상장 후 1개월, 3개월, 6개월간 팔지 않겠다는 의무보유확약이 걸려 있다. 하지만 의무보유확약 기간 이후 매물이 출회되면 주가 하락 가능성이 우려된다. 정지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달바글로벌의 공모규모는 발행주식수의 5.4%며 즉시 유통가능주식비율 32.73%”라며 “단기 유통물량 출회는 1개월 후 19.0%, 3개월 후16.2%, 6개월 후10.71%, 12개월 3.03%로 수급 측면에서 오버행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달바글로벌의 상장 후 주가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해외 매출 성장이 주가 상승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달바글로벌의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649억원, 913억원으로, 전년 대비 50%, 52%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해외 매출 비중은 지난 2022년 13.2%에서 내년도 67%까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해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달바글로벌의 해외 진출 전략으로 수익성 확대가 기대된다”며 “현재 러시아와 일본 중심으로 오프라인 확장을 지속하며 해외 매출과 이익 성장 국면에 있다”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육사 수석·서울대’ 서경석, 연예인 최초 만점…한국사 강사됐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마켓인
[단독] 어도어 vs 뉴진스, 先 전관 대응 의미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호텔경제론'은 진짜 불가능할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코스닥 상장사 디모아, 자회사 디씨온 클러쉬에 매각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파미셀, 줄기세포 치료제 업체에서 AI 첨단산업소재 업체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