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실 우려 ELS 투자법] 다양한 기초지수로 분산투자를

ELS는 대표적인 자산관리 상품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발행잔액이 늘었다. 국내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 규모는 지난해 초 83조6668억원에서 지난해 말 97조4937억원으로 지난해에만 13조8269억원이 불어났다. 해당 ELS의 기초자산이 일정 수준 이하로 빠지지만 않으면 사전에 약속된 수익을 받을 수 있는 ELS만의 매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부 기초자산의 변동폭이 커지면서 좀 더 다양한 기초자산을 활용한 ELS가 필요하다는 경계의 목소리도 있다. 이에 따라 증권사들은 투자자들에게 좀 더 다양한 선택권을 주고, 여러 지수에 분산투자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초자산으로 만들어진 ELS를 발행하고 있다. 서로 다른 기초자산으로 구성된 ELS에 분산투자하면 상대적으로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또 자연스레 글로벌 자산배분도 가능할 것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홍콩항셍지수(HSI)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를 발행하고 있다. 홍콩항셍지수(HSI)는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홍콩, 중국, 글로벌 기업 등 50개의 우량종목을 가중평균한 대표지수다. 40개 종목 대부분의 비중이 금융업으로 구성된 홍콩H지수(HSCEI)보다 변동폭이 적은 편이다. 실제로 지난해 6~8월 상하이종합지수가 24.5% 하락하는 동안 홍콩H지수(HSCEI)는 31.9% 하락했지만, 홍콩항셍지수(HSI)는 -21.5%를 기록해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적았다. 홍콩 항셍지수(HSI)가 중국본토뿐만 아니라 홍콩, 글로벌 기업에 분산돼 있는데다, 홍콩항셍지수(HSI)의 시가총액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약 11조 1000억 홍콩달러로 3조9000억 홍콩달러인 홍콩H지수(HSCEI)보다 크기 때문이다.
하나금융투자와 유안타증권은 FTSE China A50지수(XIN9I)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를 선보였다. FTSE China A50지수는 중국 상하이와 심천 증권거래소에 상장돼 있는 중국본토 주식 중 시가총액 기준 상위 50개 종목으로 구성돼 있다. 다만, 금융 업종의 비중이 약 70%로 다소 높은 편에 속하며 중국평안보험, 중신증권, 초상은행, 중국민생은행 등의 종목이 주를 이루고 있다. 금융 업종은 상대적으로 경기에 민감해 경기 움직임에 따라 상대적으로 빠르게 반응하는 특징이 있다.
현대증권은 ELS 기초자산으로 ASX200 지수를 활용했다. 호주증권거래소에 상장된 200개 우량종목으로 구성돼 있으며, 규모가 크고 유동성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호주의 대표적인 벤치마크 지수로 활용되고 있다. KDB대우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독일 DAX 지수를 활용한 ELS를 출시했다. 프랑크푸르트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 시가총액이 큰 30개 기업으로 구성됐다. 양적완화와 경기 회복 기대감이 있는 유로존에서 경제 비중이 큰 독일에 투자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수다. DAX지수 내에는 아디다스, 바이엘, BMW, 폴크스바겐 그룹 등 소비재 산업에서 세계적인 브랜드가 상장돼 있다.
- 최현호 미래에셋증권 파생상품솔루션팀 과장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尹, 돈 한푼 없이 들어가"...김계리, 영치금 계좌번호 공개한 이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영철, 라디오도 불참하고 응급실行..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내년 실업급여 하한액 月198만1440원…상한액 넘는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형인우 대표, "엔솔바이오 디스크치료제 美 임상3상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