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뭉칫돈 몰리는 장외주식③] 매매차익 250만원 넘으면 양도세 내야
- 중소벤처기업 투자금액 연 3000만원까지 100% 소득공제
신고기간 놓치면 가산세 20%, 납부 늦어지면 가산세 부과

비상장 주식 거래시 가장 먼저 살펴봐야 하는 세금은 양도소득세다. 장외주식 시장에서 벌어들인 매매차익이 250만원을 넘겼을 때 부과된다. 투자한 기업의 규모나 대주주 여부, 주식 보유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1~27.5%의 세율이 적용된다. 대주주에게만 세금을 부과하고, 소액주주는 면제해주는 상장 주식 매매와 달리 비상장 주식 매매에선 대주주·소액주주 모두가 양도세 부과 대상이다.
구체적으로 중소기업 비상장 주식을 매매한 대주주는 차익의 20~25%, 소액주주는 10%를 세금으로 내야 한다. 중소기업 외 비상장 주식 매매시 적용되는 세율은 대주주가 20~30%, 소액주주가 20%다. 대주주는 본인 및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기업 지분이 4% 이상이거나 주식 합계액 10억원 이상인 경우 해당된다.
다만 금융투자협회가 운영하는 K-OTC(한국장외주식시장)에선 소액주주의 세금 부담이 소폭 줄어든다. 벤처·중소·중견기업 주식 매매차익에 대한 양도세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또 미리 사 놓은 비상장 주식을 상장 이후에 팔 경우엔 양도세가 비과세된다.
비상장 매매에 적용되는 증권거래세 세율이 다른 점도 살펴봐야 한다. 상장 주식 매매할 때는 0.23% 세율이 적용되지만, 비상장 주식 때에는 2배 수준인 0.43% 세율이 적용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인증한 벤처기업 등에 출자 또는 투자한 경우 소득공제 혜택이 있다는 점도 알아두면 좋다. 투자금액 중 연 3000만원까지 100%, 연 3000만~5000만원 이하는 70%, 연 5000만원 초과는 30%까지 공제된다.
세금 신고시 유의할 점도 있다. 우선 신고 기간 내에 잊지 않고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반기(1~6월) 양도분에 대한 신고는 반기 말로부터 2개월 이내인 8월말까지 신고해야 한다. 신고하지 않을 경우 가산세 20%, 납부지연시 가산세 1일 0.025%를 추가 부담해야 한다. 매도과정에서 증권거래세가 원천징수가 되지 않았다면 직접 신고·납부해야 하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신수민 인턴기자 shin.sum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건희에 통일교 샤넬백·목걸이 전달" 실토한 건진법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프로야구 포스트시즌 32G 연속 만원관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코스피, 3941.59 최고치 마감…삼전·하닉 시총 1000조 돌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개미만 모르는 위험신호...국민연금, LG화학에 비공개 경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中 이노벤트 초대형 딜에 와이바이오로직스 삼중항체에 쏠리는 눈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