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초저금리 시대 끝"…안전자산 찾아 은행으로 '머니 무브'

5대 은행 정기예금 잔액, 기준금리 인상 다음날 1조원 늘어
정기예금 평균 금리 1%대 회복 기대감과 안전자산 선호 영향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에 설치된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앞을 시민들이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은행 정기예금으로 자금이 이동하는 '머니무브'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이어진 초저금리 시대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막을 내리고 본격적인 금리 인상 시대가 열린 데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연내 추가 금리 인상까지 거론되고 있어 향후 은행의 수신 잔고는 더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5대 은행 정기예금 잔액, 기준금리 인상 후 1조원↑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8월27일 기준으로 514조7304억원을 기록, 기준금리가 인상된 26일과 비교해 하루 만에 약 1조1000원 증가했다.
 
7월 말(510조6440억원)과 비교하면 4조원 이상 늘어났다. 7월 한 달간 전달 대비 이 은행들의 정기예금 잔액이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시중자금 이동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권의 수신 잔고가 크게 늘어난 것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한국은행은 지난해 3월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0.75%로 0.5%포인트 내린 바 있다. 이에 각 시중은행도 예·적금 금리를 최저 수준으로 낮췄고, 주식 투자와 가상화폐 투자에 관심이 쏠리면서 은행 정기예금에 대한 관심이 떨어졌다.  
 
특히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줄곧 0%대를 유지했다. 한은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정기예금 평균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지난해 5월(1.07%) 이후 줄곧 0%대를 기록했다. 올해 4월 최저점(0.81%)을 기록한 후 7월 들어 0.91%까지 올랐지만, 여전히 1%를 넘지 못했다.  
 
하지만 한은이 지난달 26일 기준금리를 연 0.5%에서 0.75%로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분위기가 바뀌기 시작했다. 아울러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한국은행의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시사되면서 은행의 예·적금 금리도 계속 오를 가능성이 제기된다. 아울러 증권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질 수도 있다는 불안감에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투자자들 일단 금리를 더 주게 될 은행을 찾아 자금을 보관하는 모습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케이뱅크가 지난달 28일 '코드K 정기예금' 금리를 전 구간 0.2%포인트 인상한 것에 이어 신한은행이 지난달 30일 1년 만기 거치식 예금인 '신한 S드림 정기예금' 금리를 0.60%에서 0.85%로 올렸다. NH농협은행은 9월 1일부터 예·적금 금리를 0.05∼0.25%포인트 인상했고 나머지 시중은행들도 조만간 같은 수준으로 정기예금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예대율 개선…은행 대출 여력도 확대 전망

은행의 예금 잔액이 늘어나게 되면 은행의 예대율이 떨어져 은행의 대출 여력이 확대된다. 은행의 예대율은 예금 잔액 대비 대출금 잔액 비율로 대출과 관련해 은행의 주요 지표로 꼽힌다.  
 
예대율이 100%가 넘으면 추가 대출에 제한이 따르는 만큼 은행 입장에선 대출 규모를 줄이는 것보다 예금을 더 유치해 대출 여력에 높이는 것이 이익 확보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  
 
현재 은행권의 예대율은 당국의 기준선에 근접해 있는 상황이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주요 시중은행의 예대율을 보면 ▲국민은행 100.4% ▲하나은행 99.4% ▲우리은행 99.2% ▲신한은행 97.4% ▲농협은행 90.45% 등을 기록했다.  
 
다만 최근 들어 금융당국 차원의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만큼, 예대율 개선이 곧바로 대출 증가로 이어지기는 힘든 상황이다. 최근 농협은행을 시작으로 일시적 대출 중단 및 대출 한도 조정에 나선 것도 가파른 대출 증가세를 잡기 위함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수신액이 늘었다는 것은 은행 영업 차원에서 긍정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면서도 "당장 대출을 늘리기는 쉽지 않지만 적정 수준의 예대율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공감대가 있다"고 전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메리츠증권, 미국채 3배 레버리지 ETN 6종 상장

2블루스트리트, 건강한 삶 위한 혁신 ‘쉐이크포케’ 출시

3미래에셋생명, 변액보험 MVP 펀드 10주년…순자산 4조 돌파

4케이뱅크, 은행권 최초 ‘비상장주식 시세조회’ 서비스 출시

5한스바이오메드㈜, 싱가포르 국제 치과 기자재 박람회 참가

6中 미녀 배우도 홀렸다...럭셔리 매력 쏟아낸 폴스타

7압도적 전기 오프로더 ‘벤츠 G-클래스’ 연내 한국 온다

8“테슬라 모델 Y 잡아라”...中 베이징서 만난 기아 EV5

9 서울의대 비대위 수뇌부 교수들 “5월 1일 사직하겠다”

실시간 뉴스

1메리츠증권, 미국채 3배 레버리지 ETN 6종 상장

2블루스트리트, 건강한 삶 위한 혁신 ‘쉐이크포케’ 출시

3미래에셋생명, 변액보험 MVP 펀드 10주년…순자산 4조 돌파

4케이뱅크, 은행권 최초 ‘비상장주식 시세조회’ 서비스 출시

5한스바이오메드㈜, 싱가포르 국제 치과 기자재 박람회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