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라임사태’ 이종필, 우리은행 전·현직 임직원 고소…“환매 중단 원인” 주장
- 우리은행, 라임펀드 판매액 3577억원으로 판매사 중 가장 많아

우리은행 측이 2019년 2월부터 선취 판매 보수를 여러 번 받기 위해 짧은 만기의 펀드를 기획, 라임자산운용에 무리하게 상품 출시를 요청했다는 게 이 전 부사장의 설명이다. 그에 따르면 라임자산운용은 펀드에 유동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우리은행에 여러 번 고지했으나, 우리은행이 이를 무시하고 롤오버(만기 시 재판매)를 약속하며 펀드를 팔았다. 이후 우리은행이 약속과 달리 롤오버가 불가능하다고 일방적으로 통보, 라임자산운용 환매 중단 사태의 주요 원인이 됐다는 것이다.
우리은행은 2019년 초부터 같은 해 4월 말까지 라임 펀드를 판매했다. 총 판매액은 3577억원(계좌 수 1640개)으로 판매사 중 규모가 가장 크다. 개인 투자자에게 판 금액도 2500여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우리은행이 판매한 펀드 만기가 6개월로 짧았던 점이 높은 판매량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검찰은 지난해 우리은행을 압수 수색을 해 라임펀드 판매 관련 자료를 확보하는 등 수사를 이어 왔지만 이후 1년이 넘도록 결론을 내놓지 못한 상태다. 반면 라임펀드 판매액이 컸던 신한금융투자·KB증권·대신증권은 법인과 임직원들이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등으로 이미 재판에 넘겨져 있다.
강민혜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폐업 100만 시대' 문닫은 카페 사장님 세금폭탄 맞은 사연[세상만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가스라이팅해 임신" 손담비 분노 이유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인사 칼날 쥔 李대통령…강선우·이진숙, 이번 주말이 분수령[통실호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합법 탈 쓴 편법”…롯데렌탈 유상증자 둘러싼 논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특허 등록도 안 됐는데 계약 체결?...인투셀·에이비엘바이오의 민낯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