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카뱅 mini, 한판 붙자"…국민은행, Z세대 겨냥 '리브 Next' 출격
- '페이' 기능 탑재된 선불전자지급 수단 '리브포켓' 제공
편의점 충전 서비스…간편함 더해 '재미' 요소도 추가

실제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지난 9월말 기준 만 14세~18세 연령 인구의 40% 이상인 100만명이 카카오뱅크 미니를 사용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카뱅 미니의 경우 금융 플랫폼의 핵심 경쟁력으로 꼽히는 '간편함'과 '편의성'을 주무기로 한 만큼, 이들 고객의 경우 카뱅의 충성 고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이에 KB국민은행도 Z세대만을 타깃으로 한 차별화된 금융 플랫폼 구축에 나섰고 그 결과물이 '리브 넥스트'다. 리브 넥스트의 차별화 포인트는 10대들을 위한 금융 서비스 뿐 아니라 Z세대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탑재했다는 점이다. '넥스트'는 다음 세대인 미래 잠재 고객을 위한 금융 플랫폼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최근 KB국민은행 광고 모델로 영입한 걸그룹 '에스파(aespa)'의 인기곡 '넥스트 레벨'도 브랜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리브포켓’을 통해 수수료 없이 송금하거나 입금할 수 있으며 ATM 입출금이 가능하다. 또한 페이(Pay) 기능이 탑재돼 카드가 없어도 KB Pay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도 가능하다. 이용 한도는 일 30만원, 월 200만원, 보유 한도는 50만원이다.
또한 은행보다 편의점이 익숙한 10대 고객을 위해 편의점 충전 서비스가 제공된다. 편의점 충전 서비스는 리브포켓 이용 고객을 위한 서비스로, 은행 대신 전국의 CU 편의점에서 수수료 없이 입금이 가능한 서비스다. CU 편의점 직원에게 리브넥스트 화면에 띄워진 바코드와 현금을 제시하면 즉시 리브포켓으로 입금된다.
간편한 서비스와 함께 10대들을 위한 '재미' 요소도 반영됐다. 송금 즐겨찾기 위젯을 통해 더욱 간편한 송금 서비스가 제공되며, 자주 송금을 보내는 수신인을 선택해 휴대폰의 위젯에 설정해두면 앱을 찾지 않아도 한 번의 터치로 간편하게 송금 메뉴로 진입이 가능하다.
일명 ‘다꾸(다이어리꾸미기)’ 감성에 익숙한 Z세대 고객의 취향을 반영해 스티커 리워드와 머니다이어리(용돈기입장)도 제공된다. 스티커 리워드는 리브넥스트 안에서 금융 활동(회원가입, 프로필 등록, 송금, 결제 등)에 대한 보상으로 제공되며 고객은 스티커를 활용해 머니다이어리를 꾸미고, 일정 개수를 모아 이벤트로 제공하는 실물 상품 쿠폰으로 교환할 수 있다.
메인 화면은 '점과 선' 그래픽을 활용해 역동적이고 재미있게 구성했다. 향후 회원끼리 주고 받을 수 있는 '하트(좋아요)' 개수 등 고객의 상황에 따라 개인화해 제공될 예정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앞으로 AI, 메타버스 등 새로운 트렌드를 접목해 리브넥스트의 서비스를 확장해 나가겠다"며 "미래 금융의 주역인 Z세대 고객 의견에 귀를 기울여 더욱 새로운 금융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공인호 기자 kong.inh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강원 인제 산불…당국, 대응 2단계 격상하고 주민 대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결혼♥’ 미쓰에이 민, 프러포즈 현장 깜짝 공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동훈 14%·홍준표 11%…한덕수 출마 가능성 높다 40%[엠브레인퍼블릭]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3분만에 완판된 일본 신칸센 토큰증권…비결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3상 성공에 HK이노엔, 비만약 신기술에 인벤티지랩 ‘상한가’[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