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준 금리 인상 맞춰 연 0.2%p 인상

플러스박스는 파킹통장으로 하루만 맡겨도 예치 금액에 따른 이자를 받을 수 있다. 파킹통장은 주차를 하듯 목돈을 잠시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통장이다. 적금과 달리 수시로 추가 이체할 수 있고, 중도에 인출하더라도 해지 수수료 등 불이익이 없다.
특히 플러스박스는 목적에 따라 통장 쪼개기를 한 뒤 연결 입출금계좌에서 이체가 가능하다. 쪼개기를 통해 용돈 계좌, 비상금 계좌 등 고객 목적에 따라 여러 플러스박스를 만들어 자금을 관리할 수 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고객 혜택 확대를 위해 플러스박스의 금리를 인상했다”며 “케이뱅크는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상품을 발굴해 고객 혜택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토스뱅크는 ‘조건 없는 2% 예금’ 한도를 축소한다. 토스뱅크는 내년 1월5일부터 1억원 초과 금액에 대해 연 0.1% 금리를 적용한다. 1억원 이하 금액은 기존처럼 연 2% 금리가 적용된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태원 빌딩 45억→350억…태진아, 300억 시세 차익 ‘대박’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나래 자택서 금품 훔친 절도범, 징역형에 항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삼천피 시대…15.3조원 규모 시중 뭉칫돈, 주식형 펀드로 몰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리걸테크, 미국·일본 동시 상륙…‘법률 AI’ 해외 판로 넓힌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진환 바이오플러스 대표 “분자량 한계 깬 ‘휴그로’…화장품부터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