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준 금리 인상 맞춰 연 0.2%p 인상

플러스박스는 파킹통장으로 하루만 맡겨도 예치 금액에 따른 이자를 받을 수 있다. 파킹통장은 주차를 하듯 목돈을 잠시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통장이다. 적금과 달리 수시로 추가 이체할 수 있고, 중도에 인출하더라도 해지 수수료 등 불이익이 없다.
특히 플러스박스는 목적에 따라 통장 쪼개기를 한 뒤 연결 입출금계좌에서 이체가 가능하다. 쪼개기를 통해 용돈 계좌, 비상금 계좌 등 고객 목적에 따라 여러 플러스박스를 만들어 자금을 관리할 수 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고객 혜택 확대를 위해 플러스박스의 금리를 인상했다”며 “케이뱅크는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상품을 발굴해 고객 혜택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토스뱅크는 ‘조건 없는 2% 예금’ 한도를 축소한다. 토스뱅크는 내년 1월5일부터 1억원 초과 금액에 대해 연 0.1% 금리를 적용한다. 1억원 이하 금액은 기존처럼 연 2% 금리가 적용된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국가자격시험서 10년간 246건 '출제오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김연경, 운명의 한일전 승부수…히든카드 출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서울 전역 토허제에 '전세 3+3+3법'까지?…"임대차 시장 붕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4분기에도 회사채 활황…에쓰오일·고려아연 줄줄이 대기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알테오젠, 올해 기술료 수확 2건 더 남았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