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년물 미 국채금리 오르자 나스닥·S&P 하락
금리에 민감한 성장주로서 악재
다우 지수는 2022년 들어 사상 최고 경신

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33% 하락한 1만5622.72,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06% 내린 4793.54에 장을 마감했다.
반면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지난 거래일 대비 0.59% 상승한 3만6799.65에 장을 마치며 2022년 들어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나스닥과 S&P 하락은 미국의 시장 금리가 새해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이날 1.666%까지 급등하는 등 상승세가 두드러진 모습이다.
여기에다 투자자들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미 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기기로 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저금리 혜택을 봐온 성장주들에겐 부담이 된다는 분석이다.
특히 미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하루 100만명을 돌파하는 등 오미크론 변이에 따른 경제 불안정성 확대로 나스닥과 S&P 상승이 막힌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다우 지수는 오미크론 확산세가 가팔라지고 있지만, 입원과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잇단 연구 결과 발표에 따라 투자 심리를 끌어올렸다는 분석이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훈 KIC CIO 내달 임기 끝인데…연임 가능성 '모락'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일간스포츠
마켓인
'송하윤 학폭 논란' 최초 유포자, 수사엔 불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 룰 포함' 상법 개정안, 법사위서 여야 합의처리(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리아디스카운트’ 부추기는 공시 간소화?…정보 불균형 심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항생제 사업에 힘싣는 JW중외제약…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