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대한상의 ESG경영포럼 “‘착한 기업’ 투자, 뉴노멀로 뜬다”
- 딜로이트 “2021년 글로벌 ESG채권 시장규모 약 1000조원”
EU, ESG경영 범위 공급망까지 확대…시스템 구축 필요
“ESG경영 노력, 비용(Cost)이 아닌 투자(Invest) 관점”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은 세계적으로 경제·경영·사회 전반에 걸쳐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리스크 관리 및 정책지원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고 있다.
발표에 나선 이옥수 딜로이트 안진 이사는 “투자자들이 친(親)기후·친(親)ESG에 해당하는 사업이나 기업에 대해서는 투자를 확대하고, 반(反)기후·반(反)ESG에 해당하는 사업 또는 기업에는 투자를 축소하고 있다”며, “친(親)ESG 투자가 확대되면서 2021년 글로벌 ESG채권시장 규모는 약 1000조원에 달해 2015년 대비 20배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그는 “국민연금이 ESG 이슈가 발생한 기업을 대상으로 주주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 사모펀드 역시 투자대상기업에 대한 ESG 실사를 통해 ESG 이슈가 있는 기업에게 개선방안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며 “기업이 자본시장에서 투자자들로부터 원활히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ESG경영에 보다 더 힘을 쏟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그는 “ESG 채권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국내기업 중 그린워싱 문제가 제기된 사례들이 있었다”며 “그린워싱 리스크로 인한 신뢰훼손을 방지하기 위해선 ESG 채권 발행시 실제 온실가스 감축노력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정교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선경 한국ESG연구소 센터장은 “EU 집행위가 올해 2월 기업지속가능성 실사 지침을 채택했다”며 “기업의 운영과 지배구조에 있어서 환경과 인권이 지속가능하고 책임있는 방식으로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 실사를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센터장은 “이번 법안의 영향으로 ESG경영의 범위가 공급망까지 확대되면서 향후 글로벌 협력업체 선정 및 유지와 관련해 ESG가 주요 고려 요소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EU 진출·수출기업은 인권 및 환경과 관련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과 체계를 마련하고 실사와 모니터링을 통해 필요시 조치를 시행·보고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투자자들의 요구로 본격화되기 시작한 ESG가 이제는 자금조달, 해외수출 등 실질적인 경영활동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됐다”며 “ESG경영에 수반되는 노력을 비용(Cost)이 아닌 투자(Invest)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기업 차원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尹정부때 없앤 사회적기업 발굴·육성 되살린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태민 "日 지진 발언 경솔"…뭐라 했길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이주비 규제해 투기 막겠다" 정부 셈법에…'졸속 규제' 논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산한 회사채 시장… 7년물 발행하는 HD현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