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반대매매 공포에 떠는 '빚투 개미'들…매일 180억원 강제처분
- 5월 하락장 속 일평균 반대매매 급증, 전월比 30억원↑
“하한가에 파는 반대매매, 주가 하방 압력 높일 수도”
한투證, 올 하반기 코스피 등락 범위 2460~3000 제시

반대매매 비중 4개월 만에 11% 넘겨
반대매매는 투자자가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투자한 주식 가치가 하락할 경우 증권사가 해당 주식을 강제로 청산해 채권을 회수하는 것이다. 이때 증권사는 하한가로 물량을 매도한다. 주가가 급락하면 반대매매가 늘고, 반대매매 물량이 쌓이면 주가는 또 하락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반대매매는 코스피 지수와 역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지수가 하락하면 반대매매 규모는 늘어난다. 월별 반대매매 규모는 지난 1월 206억원에서 2월(155억원), 3월(148억원)까지 감소했으나 4월(156억원)과 5월을 지나며 반등하고 있다. 반대매매가 늘었던 1월과 5월, 코스피 지수는 2600선 밑으로 붕괴했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는 “반대매매가 늘어난다는 자체가 현재 증시에서 일반 투자자들의 리스크가 상당히 커지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반대매매 매물 자체가 종목 주가를 하한가로 계산해서 나오는 만큼 추가적인 주가 하방 압력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증시 반등, 하반기 불확실성 걷혀야 온다
증권가에선 올해 하반기에도 불확실성이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가 뚜렷한 가운데 공급 부족 사태, 물가 상승, 달러 강세에 따른 자금 유출 등이 일부 완화되지 않는 이상 국내 증시의 추세적인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에 불확실성 리스크가 일부 완화될 경우 중후반 이후 경기 모멘텀 회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무엇보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 완화, 중국 경기 경착륙 리스크 탈피가 국내 제조업 및 수출을 고려하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코스피는 2460~3000포인트 내에서 움직일 전망이다. 금리 상승으로 인한 밸류에이션 충격은 막을 수 없는 일이지만, 이러한 악재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우려를 선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응할 수 있는 여지는 남아있다”고 말했다.
허지은 기자 hur.ji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태민 "日 지진 발언 경솔"…뭐라 했길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이주비 규제해 투기 막겠다" 정부 셈법에…'졸속 규제' 논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산한 회사채 시장… 7년물 발행하는 HD현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