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물·10년물 국채 금리 역전
3월에도 국채수익률 역전 발생
“경기 침체 신호” 우려 목소리

독립기념일(4일) 휴장 뒤 5일(미국 동부 현지시간) 장을 연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9.44포인트(0.42%) 하락한 3만967.82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6.06포인트(0.16%) 상승한 3831.39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94.39포인트(1.75%) 오른 1만1322.24로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0.01포인트(0.04%) 뛴 27.54로 각각 거래를 마쳤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은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예상치가 -2.1%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한다.
일본 투자은행(IB) 노무라도 세계 경기 침체를 경고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유럽·영국·일본·호주·캐나다 등 주요 국가들이 1년 안에 경기 침체를 맞을 수 있다”며 그 근거로 “이 국가들의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고강도 통화 긴축 정책을 강행, 경기 침체 위험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국채 금리 역전도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자극했다. 통상 장기물이 단기물보다 금리가 높은 편이다. 하지만 이날 국채 금리 2년물이 2.83% 수준으로 10년물(2.82% 수준)을 역전하자 투자자들은 이를 경기 침체 전조 현상으로 해석했다.

역전 현상에 연준 “두려워 말라”, 시장에선 불신
이에 대해 당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두려워할 필요 없다”고 대응했다. “2년물과 10년물의 역전에 경기 침체 우려를 나타내는 것은 비관적인 전망이 반영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연준의 답변에 당시 시장에선 신뢰를 부여하지 않았다. 2018년에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으며 코로나19 대유행까지 겹쳐 경기 침체를 앓았다는 주장이다.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고강도 금리 인상과 재정 긴축 정책을 펴고 있는 상황에서, 전통적으로 경기 침체의 신호로 여기는 2년물과 10년물의 역전 현상이 재발했다는 것은 투자자들에겐 중요한 의미로 해석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편, 5일 이날 유로화 가치는 달러화 대비 20여년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독일은 5월 경제활동 실적 분석 결과 31년여만에 첫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유가는 8% 이상 추락하며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기준 1bbl(배럴)당 100달러 이만으로 하락했다.
이에 대해 투자시장에선 세계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훈 KIC CIO 내달 임기 끝인데…연임 가능성 '모락'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일간스포츠
마켓인
'송하윤 학폭 논란' 최초 유포자, 수사엔 불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 룰 포함' 상법 개정안, 법사위서 여야 합의처리(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리아디스카운트’ 부추기는 공시 간소화?…정보 불균형 심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항생제 사업에 힘싣는 JW중외제약…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