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이 하락 의견 더 높아, 무주택>유주택 순

올해 들어 일반 주택 소비자들 사이에서 '하반기 집값 하락'을 예측하는 의견이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 플랫폼 기업 (주)직방(직방)이 6월 20일부터 7월 4일까지 자사 어플(App) 사용자 1727명을 대상으로 ‘2022년 하반기 집값 전망’을 묻자 설문 응답자 중 61.9%가 ‘하락’할 것을 전망했다고 11일 밝혔다. ‘상승’한다는 답변은 21.1%, ‘보합’은 17.0%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직방이 진행한 ‘2022년 전체 집값 전망’ 설문보다 집값 하락을 전망한 비중이 대폭 늘어난 반면 상승은 감소했다. 당시 설문에서 전체 응답자 중 하락은 43.4%가, 상승은 38.8%가 차지했다. 보합은 17.8%로 올해와 비슷했다.
이처럼 올해 집값이 하락한다고 전망한 이유 중에서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 부담 증가’가 63.9%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으로 인한 수요 감소’가 15.0%를 차지했고 ‘물가상승 부담과 경기둔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 완화에 따른 매물 증가’가 각각 12.1%, 4.7%로 그 뒤를 이었다.
이와 달리 집값 상승을 점친 응답자 35.7%는 ‘원자잿값 상승으로 분양가 및 집값 동반 상승’으로 인해 주택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매수 전환수요 증가’를 고른 응답자도 21.4%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밖에 ‘정부 부동산 정책 규제 완화 기대(14.6%)’와 ‘신규공급 물량 부족(11.8%)’, ‘교통, 정비사업 등 개발 호재(11.0%)’라고 답변한 비율도 10%를 넘겼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에서 하락을 예측한 응답자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63.2%)과 경기(63.7%), 인천(61.0%)에서 하락 전망이 모두 60%를 넘겼다. 반면 지방 5대 광역시는 59.5%로 하락 전망 비율이 소폭 낮았다.
또한 집값 하락을 예상한 응답자는 무주택자 중 72.4%로 유주택자(51.2%) 집단보다 비율이 높았다.
직방은 “2022년 하반기 주택가격은 추가 금리 인상,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 등 외부적인 요인이 계속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매수 위축도 이어지면서 매매가격은 하향 조정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리고 “20대 정부에서 상반기에 취득세 및 양도세 등의 거래세 완화 등을 진행한 데 이어 하반기에는 규제지역 해제를 비롯해 3분기부터 생애 최초 LTV 완화, 재산세 및 종부세법 개편 등의 계획을 가지고 있어 이 같은 정책이 주택가격 시장에 어떤 영향으로 이끌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민보름 기자 brm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李대통령 “차별금지법 중요 과제지만 민생·경제가 더 시급”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단독] '檢송치' 이경규, 예능 '마이 턴' 8월 첫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주4.5일제 시작될 시점은?” 질문에 대답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리아디스카운트’ 부추기는 공시 간소화?…정보 불균형 심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인수 파라택시스, "한국의 스트래티지 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