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빗 리서치센터 ‘2022년 크립토 윈터, 언제까지?’ 리포트 발간
연준 기준금리·물가상승률 등 시장 컨센서스 바탕으로 시장 회복 예측

암호화폐 거래소 코빗 산하 코빗 리서치센터는 최근 시작된 크립토 윈터(암호화폐 겨울)의 회복 가능 요인과 회복 시점을 분석한 ‘2022년 크립토 윈터, 언제까지?’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지난 6월부터 시작된 크립토 윈터를 과거와 비교해보고 이를 회복하기 위한 여러 요인을 점검했다. 마지막에는 시장 기대치에 따른 크립토 윈터 종료 시점을 전망했다.
코빗 리서치센터는크립토 윈터를 MVRV Z 점수가 0.1 이하인 저평가 구간으로 정의하고 올해 크립토 윈터는 지난 6월 13일부터 시작됐다고 바라봤다. MVRV Z 점수는 암호화폐 가치의 고평가·저평가 여부를 파악하는 기준으로 암호화폐의 시가총액에서 적정가치를 제하고 시가총액의 총 표준편차로 나누어 계산한다.
MVRV Z 점수를 기준으로 보면 지금까지 크립토 윈터는 총 세 번 발생했으며, 현재 네 번째 윈터(겨울)가 진행 중이다.
정석문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이번 크립토 윈터의 회복 시기를 올 4분기라고 판단했다.
정 센터장은 “첫 번째, 두 번째 윈터는 그 발생 원인이 마운트곡스 해킹 사건 등 가상자산 시장 내부 요인에 있었다”며 “이번 윈터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통화정책이 발단이라는 점에서 2018년 말~2019년 초 경험한 세 번째 윈터와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회복 시점을 전하기 위해선 연준의 긴축 통화정책 기조가 언제 변화할지 예측하는 게 우선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 센터장은 ▲미국 기준금리 ▲물가상승률 ▲비농업 고용자 수 ▲ISM 제조업 지수 등 네 가지 지표를 통해 연준의 긴축 통화정책 완화가 올해 4분기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연준의 기준금리는 올해 4분기 정점을 찍고 상승세가 둔화하며, 물가상승률 역시 올해 2분기 이후부터 점차 완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비농업 고용자 수와 ISM 제조업 지수도 올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완만한 하락세를 보여 고용 시장 및 제조업 경제활동 회복이 늦어질 전망이다. 이 같은 컨센서스(시장전망치)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정 센터장은 “앞으로의 6개월이 투자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시기”라며 “이번 리포트가 투자자들 각자의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오스코텍, 신동준 신임 CFO 선임...KB·미래에셋 출신 투자 전문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혜리, ♥새 사랑 찾았다..남자 친구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경찰이 꿈이었는데, 이젠”…`도박의 늪` 빠진 청소년들의 꿈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번엔 될까" MG손보, '정상 매각' 재시동...인수자 찾기 '산 넘어 ...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26%↑…에스티팜 수주 잭팟[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