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어유 수요예측' 검색결과
4 건

다음 주 글로벌 팬 플랫폼 기업 디어유를 비롯한 4개 중소형 공모주가 일제히 상장한다. 일반 공모 청약서 조단위 증거금을 끌어 모은 알짜 기업들인 만큼, 상장 첫날 주가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 디어유, 비트나인, 아이티아이즈, 지오엘리먼트 등 4개 기업이 증시 입성을 앞두고 있다. 상장일이 가장 빠른 건 디어유다. 이달 10일에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다. 2017년 설립된 디어유는 아티스트와 팬이 소통하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디어유 버블’ 등을 서비스하고 있다. 이달 2~3일 이틀간 진행한 일반 공모 청약서 1598.1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화제가 됐다. 청약 증거금으론 17조1402억원이 모였다. 공모가는 2만6000원, 그에 따른 시초가 예상 범위(공모가의 90~200%)는 2만3400원~5만200원이다. 투자자들이 상장 첫날 기대하는 ‘따상(시초가가 공모가의 두 배로 뛴 뒤 상한가)’에 성공하려면 공모가의 2배인 5만2000원에 시초가가 형성되고, 장중 가격제한폭(30.00%)인 7만6000원까지 주가가 뛰어야 한다. ━ 지오엘리먼트, 시초가 최저 9000원 최대 2만원 디어유 상장 하루 뒤인 11일엔 비트나인과 아이티아이즈, 지오엘리먼트가 동시에 증시 문을 두드린다. 3개 기업 중에선 공모 청약 경쟁률이 1537대 1로 높았던 지오엘리먼트의 주가 향방이 특히 주목된다. 지오엘리먼트는 반도체 생산 공정 중 증착·금속 배선 공정과 관련된 부품 및 소재를 공급하는 기업이다. 주력 제품은 원자층증착(ALD) 공법에 사용되는 캐니스터와 초음파 레벨센서, 물리적 증착(PVD) 공법의 핵심 소재인 스퍼터링 타깃이다. 공모가는 1만원으로, 상장 첫날 시초가 예상 범위는 최저 9000원에서 최대 2만원 사이다. 시초가가 2만원에 형성될 경우 ‘따상’을 노려볼 수 있지만, 앞서 상장한 카카오페이처럼 장 초반 급등했던 주가가 하락 반전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이밖에도 그래프 데이터베이스(DB) 전문기업 비트나인과 디지털 금융 플랫폼 기업 아이티아이즈가 지오엘리먼트와 같은 11일에 상장한다. 두 기업 모두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당시 좋은 반응을 얻어 공모가(비트나인 1만1000원, 아이티아이즈 1만4300원)를 희망범위 상단 이상으로 확정한 바 있다. 비트나인의 시초가 예상 범위는 9900~2만2000원, 아이티아이즈는 1만2900~2만8000원이다. 2013년 설립된 비트나인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혼용한 하이브리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을 개발한 회사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기술은 다양한 데이터를 그래프로 분석, 시각화해 데이터 간 관계를 볼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또 아이티아이즈는 자산운용과 자산·리스크 관리, 신용평가, 장외 파생상품 관리 등 디지털 금융 솔루션 사업에 주력하는 기업으로 2012년에 설립됐다. 강민혜 기자 kang.minhye1@joongang.co.kr
2021.11.05 14:23
2분 소요
반도체 박막 증착 부품 소재 기업 지오엘리먼트 공모주 일반 청약에 3조원 규모의 증거금이 몰렸다. 최종 경쟁률은 1537.44대 1을 기록했다. 3일 지오엘리먼트 상장주관사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 2일부터 이틀간 접수된 일반 공모 청약 건수는 36만4913건이다. 총 청약 수량은 5억9460만 43000주, 최종 증거금은 2조9730억원이 모였다. 청약 경쟁률은 1537.44대 1을 달성했다. 하루 앞서 일반 공모 청약을 진행한 디지털 금융 기반 플랫폼 기업 아이티아이즈(633.61대 1)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DB) 전문 기업 비트나인(590대 1)의 경쟁률을 2배 웃도는 수준이다. 팬 플랫폼 기업 디어유(1598대 1)의 청약 경쟁률보다는 조금 낮았다. 앞서 지오엘리먼트는 지난달 말 진행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도 1613.84대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공모 청약 흥행을 예고했다. 당시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 98.4%는 공모 희망가(7600원~8700원) 상단 이상으로 가격을 제시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에 따라 최종 공모가는 공모 희망가 상단을 초과한 1만원으로 결정됐다. 신현국 지오엘리먼트 대표이사는 “시장 선도기업으로서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혁신을 최우선으로 두고 글로벌 박막 증착 부품용 소재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지오엘리먼트는 오는 11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 지난 2005년 설립된 지오엘리먼트는 반도체 박막증착(아르곤 가스를 사용한 반도체 제조공정 중 하나) 공정 기화이송 핵심 부품, 금속 타겟 제조회사다. 자체 기술 연구를 통해 세계 유일 삽입·연속식 초음파 레벨 센서 기술을 개발했고, 국내 최초 300mm 반도체용 AI, Cu, Ti 스퍼터링 타겟을 선보이며 성장 동력을 키웠다. 주력 제품은 원자층증착(ALD) 공법에 사용되는 캐니스터와 초음파 레벨 센서, 물리적 증착(PVD) 공법의 핵심 소재인 스퍼터링 타겟이다. 특히 전구체용 캐니스터와 초음파 레벨 센서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95%에 달한다. 수익성도 개선되고 있다. 지난해 매출 132억원, 영업이익 29억원으로 각각 전년대비 38%, 124% 증가했다. 올 상반기에는 매출 116억원, 영업이익 39억원을 달성했다.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지오엘리먼트의 캐니스터 및 센서는 세계 유일 기술력을 바탕으로 표준화를 선도하고 있다”며 “일본 의존도가 높던 스퍼터링 타겟(점유율 50%)의 최초 국산화를 통해 향후 실적 성장을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유진투자증권은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로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증가한 68억원을 제시했다. 강필수 기자
2021.11.03 18:35
2분 소요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기업 디어유가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공모 청약에서 증거금 약 17조원이 몰렸다. 경쟁률도 1600대 1에 달해 흥행에 성공했다. 2일 디어유 상장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일반청약을 시작한 1일부터 이틀간 디어유의 청약증거금은 17조1401억5888만원이 모였다. 청약 건수는 62만6121건으로, 청약주식수는 13억1847만3760주로 집계됐다. 청약경쟁률은 1598.15대 1을 기록했다. 디어유 일반 공모 물량은 총 82만5000주다. 이 가운데 절반인 41만2500주가 균등배분 되므로 약 20만명의 투자자는 한 주도 배정받지 못할 수 있다. 비례경쟁률은 약 3200대 1에 달해 1억원을 넣은 투자자는 2~3주를 배정받는다. 디어유는 오는 10일 코스닥에 상장할 예정이며, 공모가격(2만6000원) 기준 시가총액은 5645억원이다. 디어유는 흥행이 일찌감치 예상됐다. 지난달 25~26일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경쟁률 2001대 1로 역대 코스닥 수요예측 경쟁률 3위를 기록했다. 또한 수요예측에 국내외 기관 1763개가 참여했는데 이는 올해 들어 가장 많은 기관이 참여했다. 디어유가 운영하는 구독형 팬덤 메신저 ‘버블’이 청약의 흥행 요소였다. 버블은 출시 1년 6개월여 만에 유료 구독자 수가 120만명을 넘어서며 성공적인 신규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 잡았다. 디어유 매출 가운데 93%의 비중을 차지하는 버블은 전체 구독자 120만명 가운데 해외 비중이 71%다. 또한 90%가 넘는 구독 유지율을 보여 상장 이후에도 지속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증권업계도 버블을 통한 디어유의 성장 가능성 높게 보고 있어 향후 주가 흐름 전망도 긍정적이다. 버블은 내년 초에 중국 내 안드로이드 유저들에게 서비스를 개시할 계획이며, 향후 3년간 글로벌 아티스트 영입에만 350억원, 스포츠스타 영입에 11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환욱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버블은 단기적으로 글로벌 팝 아티스트와 스포츠 스타의 입점으로 플랫폼의 지속 성장이 예상된다”며 “장기적으론 프로필 화면을 활용한 NFT(대체 불가능 토큰) 아이템 판매 및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전환이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디어유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는 점도 호재다. 2019년 81억원, 지난해 4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던 디어유는 올 상반기 기준 매출액 184억원, 영업이익 6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46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박다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90%가 넘는 버블 구독 유지율을 고려하면 디어유는 올해 130억~150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버블이 해외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하면 내년 영업이익 300억원 이상도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2021.11.02 16:57
2분 소요
카카오페이 청약 흥행으로 불어온 IPO(기업공개) 시장 훈풍이 디어유, SM상선 등으로 이어질지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11월 첫째주(1~5일) IPO 시장에선 디어유·비트나인·아이티아이즈 등이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공모 청약을 진행한다. SM상선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공모가 산정을 위한 수요예측을 진행한 뒤 공모 청약에 나선다. 공모주 가운데 투자자의 관심이 높은 기업은 SM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인 디어유다.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기업 디어유는 팬덤 메신저 ‘버블’을 통해 아티스트와 팬이 소통하는 월 구독형 프라이빗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버블에서는 아티스트가 구독자에게 사진·동영상·메시지 등을 보낼 수 있다. 회사는 채팅방에 한정했던 플랫폼을 향후 가상현실 속에서 아티스트와 교류할 수 있도록 메타버스 공간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지난 25~26일 진행한 디어유 수요예측에는 총 1763곳의 기관이 참여해 경쟁률 2001대 1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코스닥 수요예측 경쟁률 3위로, 올 들어 가장 많은 기관이 참여했다. 특히 참여 기관의 99.89%가 밴드 상단 이상의 가격을 제시했다. 이에 디어유 공모가는 2만6000원으로 희망 밴드(1만8000~2만4000원) 최상단을 약 8% 넘어섰다.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36.13%로,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디어유는 글로벌 아티스트로 IP(지식재산권)를 확장할 수 있는 점과 메타버스 모델이 투자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회사의 실적이 매 분기 성장하고 있는 점도 호재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이번 수요예측에는 해외기관 참여가 활발하게 이뤄졌다”며 “버블의 가치와 메타버스 탑재를 통한 구체적인 수익 모델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상장 후에도 지속적인 관심이 기대된다”라고 평가했다. SM상선은 1~2일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3일 확정 공모가를 발표한 뒤 4~5일 일반 청약을 진행한다. 공모가 밴드는 1만8000~2만5000원이다. 총 3384만4220주를 모집해 공모가 상단 기준 최대 8461억원의 자금을 얻을 수 있다.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SM상선은 삼라마이다스그룹 해운 계열사다. 컨테이너 운송 사업을 주력으로 현재 미주 서부 노선 4개와 아시아 노선 9개에서 선박 총 18척을 운항 중이다. 최근 해상 운임 급등에 SM상선의 상반기 영업이익은 3089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전체 영업이익 1405억원을 두 배 이상 웃돌았다. 회사는 이번 공모로 확보한 자금을 선박과 컨테이너박스, 친환경 설비 확충 등에 활용할 방침이다. 이번 공모는 구주매출 비율이 전체 모집 물량의 50%에 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삼라마이다스와 티케이케미칼, (주)삼라가 보유 중인 SM상선 지분이 시장에 나온다. 구주매출 비율이 높으면 공모를 통해 회사로 유입되는 자금 규모가 적어지고 투자 동력이 떨어질 수 있어 청약 흥행에 불안요소다. 이 밖에도 국내 유일의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기업 비트나인과 전산시스템 개발·관리회사 아이티아이즈가 1~2일 이틀간 청약을 진행한다. 주관사는 각각 하나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로 비트나인은 1만1000원, 아이티아이즈는 1만4300원으로 공모가를 확정했다. 반도체 제조용 기계 제조업체 지오엘리먼트는 1일 확정공모가를 발표하고 2~3일 청약을 진행한다. 희망공모가는 7600원~8700원으로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NH올원리츠는 지난 28~29일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거쳐 공모가를 5000원으로 정했다. 공모주식수는 2810만주로 공모금액은 1405억원이다. 오는 3~5일 일반투자자 청약을 진행한다.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2021.11.01 06:00
3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