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빚' 검색결과
1 건

최근 1년 새 집을 산 20~30대가 평균 1억6000만원대의 빚을 졌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현재 무주택자인 20~30대 가운데 향후 2년 내 집을 사겠다는 비율은 10명 중 1명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신한은행이 발표한 ‘2022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년 새 거주 주택 구매자 가운데 20~30대의 부채액은 평균 1억6720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1년 전 조사 결과인 1억1765만원과 비교해 4955만원 오른 수치다. 이 보고서는 신한은행이 지난해 9~10월 20~64세 경제활동자 1만명을 상대로 이메일 조사를 통해 작성했다. 조사 결과 20~30대가 최근 1년 새 주택을 구입할 당시 집값은 3억6446만원으로, 1년 전 조사보다 3352만원 더 비싸졌다. 보고서는 “20∼30대 구매 주택은 2020년보다 3352만원 올랐는데 대출액은 그보다 더 많이 올랐다”며 “대출을 활용해 더 많은 구입 자금을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1년 새 집을 산 20~30대는 매월 평균 80만원을 부채 상환에 쓰고 있었다. 이는 조사 대상(20~64세)의 전체 평균(74만원)을 웃도는 수치다. 보고서는 “현재와 동일하게 매달 80만원씩 상환한다고 가정하면 20∼30대는 향후 17년간 부채를 상환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주택을 자가로 보유하고 있지 않은 20~30대 경제활동가구 중 56.9%는 향후 거주 주택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다만 구매 시점을 ‘향후 2년 이내’로 한정하면 이들의 구입 희망률은 10.8% 수준까지 떨어졌다. 이 같은 결과를 두고 보고서는 빠른 부동산 가치 상승으로 주택 구매 의향은 있으나 상대적으로 구입 여력이 적다 보니 10명 중 1명꼴로만 2년 내 주택구입 계획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주택마련 부담에 결혼비용 4년 새 3512만원 늘어 최근 1년 새 결혼한 20~44세 응답자들은 결혼 비용으로 총 1억6916만원이 들었다고 답했다. 이는 4년 전인 2017년 1억3404만원보다 3512만원이 늘어난 것으로, 주로 주택마련 자금(3437만원 증가) 부담 증가가 원인이었다. 최근 3년 내 결혼한 20~30대 무자녀 가구 중 17.4%는 앞으로도 자녀를 출산할 계획이 없었다고 밝혔다. 이 비율은 2017년 조사(11.6%)보다 5.8%포인트 상승했다. 은퇴계획과 관련해 20~30대 경제활동자 중 6.4%는 30~40대에 조기 은퇴를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파이어족’으로 불리는 조기은퇴계획자는 월평균 가계소득이 381만원으로 정년 이후 은퇴 계획자보다 23만원 많았으며, 소비는 4만원 더 적게 하고 저축 여력은 21만원 더 많았다. 또한 조기은퇴계획자의 총자산은 평균 3억1768만원으로, 정년 이후 은퇴 계획자보다 4073만원 더 많았다. 신한은행은 “파이어족은 총소득이 높으며 현재를 위한 소비보다는 공격적이고 계획적인 투자로 미래 준비에 적극적”이라고 분석했다. ━ 응답자 45% “삶 대체로 만족”…혼인 상태·재산 수준에 영향 20~60세를 상대로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만족도를 묻자 응답자의 45%는 대체로 만족한다고 답했다. ‘나쁨’이나 ‘매우 나쁨’이라고 대답한 비중은 17.7%였다. 삶의 질을 결정하는 배경 중 하나로 혼인 여부가 꼽혔다.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8개 문항 점수를 합산해 전체 응답자를 5개 그룹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는 만족도 점수가 가장 낮은 하위 1%(삶의 질 최하위 그룹) 가운데 미혼 비율은 47.4%로, 전체 응답자의 미혼 비율(33.2%)을 크게 웃돌았다고 분석했다. 재산 수준에 따라 삶의 만족도도 차이가 벌어졌다. 삶의 질 최상위 그룹(만족도 점수 상위 3%)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609만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최하위 그룹(356만원)과의 차이는 253만원이었다. 총자산은 최상위 그룹이 7억6119만원, 최하위 그룹이 2억8598만원으로 2.7배 차이가 났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2022.04.05 11:34
3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