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폐수 처리기술' 검색결과
2 건

SK에코플랜트가 화학약품 사용 없이 미생물로 분해가 어려운 고농도 폐수 정화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SK에코플랜트는 ㈜미시간 기술과 ‘고농도 폐수처리를 위한 스마트 전기화학적 산화 시스템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서울 종로구 관훈사옥에서 열린 이날 협약식에는 김병권 SK에코플랜트 에코랩센터 대표와 이병호 ㈜미시간기술 대표가 참석했다. 하폐수 처리기술 전문 환경기업인 ㈜미시간기술은 2002년 설립돼 약 20년간 관련 기술과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붕소 코팅 다이아몬드(BDD; Boron dopped Diamond) 전극을 활용한 전기화학적 산화(ECO; Electro-Chemical Oxidation) 방식으로 고농도 폐수를 처리하는 신기술을 공동개발하고 현장 실증을 진행한다. SK에코플랜트는 이 같은 방식을 통해 산업폐수, 매립지 침출수 등 오염도가 미생물을 활용한 생물학적 방식으로 분해 및 정화가 힘들었던 높은 폐수를 전기화학적으로 분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농도 폐수 처리를 위해 화학약품을 다량 사용하거나 화석연료를 쓰는 기존의 물리화학적 방식은 처리단가가 높고 다량의 슬러지가 발생해 2차 오염이 발생하는 등 문제가 있었다. 이에 SK에코플랜트와 ㈜미시간기술은 전극을 활용해 전기화학적으로 오염물질을 2번에 걸쳐 분해하는 고도처리 솔루션을 개발하려 한다. 전극에 전류를 흘리면 폐수와 전극사이에서 전자가 교환되는데 이 때 음전극에서 생성되는 ‘수산화라디칼’은 직접 오염물질을 분해한다. 또 폐수 내 오염물질인 염소가 물과 만나면 ‘차아염소산’이 생성되면서 폐수 내 유기물을 한 번 더 정화해 결국 깨끗한 물만 남게 된다. 특히 양 사가 이번 연구에 사용하는 붕소(Boron) 코팅 다이아몬드 전극은 3세대 전극으로서 다른 전극에 비해 정화 효율과 내구성이 매우 높아 오염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높은 경제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처리시설 구조도 간단해 정화에 필요한 수조 규모나 개수가 적다. 그러나 아직 국내 실증 사례가 없는 탓에 전기화학적 기술은 그동안 수처리 현장에 적용되지 못했다. 양 사는 국내 최초로 실제 현장에 BDD 전극을 활용한 전기화학적 산화 설비를 구축해 1년여간 장기 연속운전 실증에 들어갈 계획이다. 실제 SK에코플랜트가 보유한 매립지 침출수 처리장과 폐수처리장에서 진행한 단기 테스트를 통해 약 80%의 운영비 절감 효과가 확인 된 바 있다. 김병권 SK에코플랜트 에코랩센터 대표는 “SK에코플랜트의 기술혁신은 환경사업이 당면한 취약점을 해결하는 것은 물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향점까지 찾아가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서 “혁신 기술들을 지속 발굴해 환경사업을 고도화하는 노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보름 기자 brmin@edaily.co.kr
2022.08.18 11:46
2분 소요
CJ대한통운 건설부문은 지난 10일 삼성전자의 평택 고덕 폐수처리장 3단계 신축공사를 수주했다고 16일 밝혔다. 경기 평택시 고덕일반산업단지 내 신축 예정인 3단계 종합폐수처리장은 약 29개월의 공사 기간을 거쳐 2024년 12월 준공 예정이다. 공사 금액은 약 1328억원이다. 삼성전자의 평택 고덕종합폐수처리장은 3단계 공사를 통해 일일 약 9만2500톤(t)의 폐수처리 용량을 확보하게 된다. 공사 연면적은 폐수처리 시설 9874㎡와 지하 2층~지상 3층 9081㎡로 총 1만8955㎡에 달한다. 앞서 2019년 12월 일일 10만2000t의 1단계 종합폐수처리장을 완공했다. 오는 12월에는 일일 6만2000t 규모 처리 시설을 준공할 예정이다. 이번 고덕폐수종합처리장 수주에는 CJ대한통운 건설부문 내 환경사업 시공실적이 주효한 영향을 미쳤다고 회사 관계자는 설명했다. 25년의 업력을 보유한 CJ대한통운 건설부문 환경사업은 자체 특허기술에 기반한 멤브레인 설비와 막분리 공법을 이용한 하수, 폐수, 중수처리시설의 설계 시공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하수처리장, 리조트, 골프장, 공장 폐수 처리장 등 누적 3000여곳의 시공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일 1만8000t 규모의 삼성전자 평택 고덕 종합폐수처리장의 1단계 증설 공사를 수행해 이달 안에 준공할 예정이다 민영학 CJ대한통운 건설부문 대표는 "반도체 공정의 마지막은 완벽한 폐수처리에서 이뤄진다는 신념으로 3단계 폐수처리시설의 시공에 당사가 축적한 기술 노하우 최대치를 쏟아부을 것"이라며 "지속적인 대형 하폐수 처리기술 개발 확대를 통해 향후 친환경 수처리사업을 전략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2022.08.16 16:21
1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