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경제협력위원회' 검색결과
3 건

한국과 호주의 경제 협력의 상징인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회(이하 경협위)가 8일 서울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제44차 연례회의를 열었다. 지난 2018년 부산에서 열린 이후 5년 만의 한국 개최다. 최정우 경협위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한국과 호주는 오랜 동반자 관계를 넘어 핵심 광물을 비롯해 수소 경제 등 새로운 협력 분야를 활발히 만들어 나가고 있다”며 “양국의 주요 산업 모든 분야에서 미래지향적 협력을 통해 글로벌 무대에 함께 도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로저 쿡 서호주 주(州)총리는 특별사에서 “서호주는 6·25 전쟁 참전 이후 한국과 혈맹을 맺고 전 분야에서 밀접한 관계를 이어왔다”고 했다. 특히 “포스코그룹이 추진 중인 HBI(환원철단광), 이차전지 소재, 수소 사업 분야에서 서호주와 한국 기업들의 협력 관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경협위에서는 연구 및 산업 협력, 핵심 광물, 방위 및 항공우주, 식품 및 바이오, 청정에너지(수소) 등 5개 분야에서 포스코를 비롯한 양국의 기업 및 기관들이 사업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한국과학기술평가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은 호주와의 연구개발 분야 협업 확대와 탄소 포집 및 저장(CCS) 협력 방안 등을 소개했다. 포스코홀딩스 등은 리튬, 희토류 등 이차전지 소재 원료의 친환경적인 생산과 글로벌 무역 규제에 대비해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외에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포스코인터내셔널, 롯데상사 등은 양국의 방산 분야 협력을 비롯해 글로벌 식량 시장에서의 호주의 중요성과 식량 사업 비전 등을 설명했다. 호주는 인도‧태평양 전략의 중요한 협력국이다. 철광석, 석탄 등 전통적인 자원부터 미래 산업에 필수인 리튬, 희토류 등 핵심 광물 공급망의 중요한 파트너 국가로 평가된다. 한편, 지난 1979년 첫 회의를 개최한 경협위는 최근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2018년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경협위 한국 측 위원장을 맡은 이후 기존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중심의 전통적인 협업 관계를 미래 산업 관련 협력으로 확대했다는 평가다.
2023.09.08 14:57
2분 소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1일(현지시간, 이하 동일) 호주의 수도 캔버라에 위치한 국회의사당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를 만나 포스코그룹과 호주 정부 간의 친환경 미래 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포스코그룹에 따르면 이번 면담은 최정우 회장이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에게 포스코그룹의 호주 사업 현황과 향후 투자 계획에 대해 직접 설명하고 호주 정부의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마련됐다. 최정우 회장은 지난달 30일 시드니에서 개최된 제43차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회에 한국 측 위원장으로 참석하기도 했다. 최 회장은 이날 면담에서 “포스코그룹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자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철강 생산 시 이산화탄소 대신 물을 배출하는 수소 환원 제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며 “수소 환원 제철에 필수적인 수소 확보를 위해 호주를 가장 중요한 투자 대상 국가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앞으로 기존의 철강 원료뿐 아니라 재생에너지, 수소, 그린 스틸에 이르기까지 호주에서의 투자 분야와 규모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포스코그룹은 태양광, 풍력 등 경쟁력 있는 대규모 재생에너지를 바탕으로 한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철광석을 가공한 원료인 HBI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나아가 포스코 고유의 수소 환원 제철 기술인 하이렉스를 적용해 철강 반제품인 슬래브 생산으로 확대하고, 호주에서 생산한 그린수소는 암모니아로 제조해 전 세계에 공급한다. HBI는 철광석에서 산소를 제거(환원)한 환원철을 조개탄 모양으로 성형한 가공품이다. 하이렉스는 포스코 고유의 파이넥스(FINEX) 유동 환원로 기술을 바탕으로 한 수소 환원 제철 기술을 말한다. 이를 위해 포스코그룹은 호주 현지 파트너들과 함께 재생에너지, 수전해 등 수소 생산 분야에 280억 달러, 그린 스틸 분야에 120억 달러 등 총 400억 달러를 2040년까지 투자할 계획이다.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포스코그룹의 호주 사업 및 투자 계획이 호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 방향과 일치한다”며 “포스코그룹의 호주 친환경 미래 소재 사업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최정우 회장은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에게 한국과 호주의 사업 협력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한국과 포스코 방문을 요청했다. 이에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내년 계획 중인 한국 방문 시 포스코도 방문하겠다”며 “호주 기업과 포스코홀딩스가 합작한 리튬 생산 공장인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도 꼭 가보고 싶다”고 화답했다. 앞서 최정우 회장은 지난 6월 호주를 방문해 마크 맥고완 서호주 수상을 비롯해 핸콕, 퍼스트 퀀텀 미네랄스, 필바라 미네랄스 등 호주 자원 개발 기업의 회장들을 만나, 기존 철강 원료 사업뿐 아니라 친환경 미래 소재 분야인 이차전지 소재, 수소 사업에 대한 협력과 지원을 당부했다. 3년 만에 대면으로 개최된 이번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회에 한국 측 위원장으로 참석해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대응을 위한 전략 광물 협력 방안 및 방위 산업, 인프라, 수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과 호주 간의 논의를 이끌었다. 포스코그룹은 지금까지 철광석, 리튬, 니켈 등의 자원 개발을 위해 호주에 4조원 이상을 투자해왔다. 호주는 넓은 부지와 풍부한 태양광, 풍력 자원과 함께 선진적인 법규와 제도 등 우수한 사업 환경을 갖추고 있어 해외 청정 수소 개발에 최적화된 국가로 평가된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2022.12.01 18:10
3분 소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대응하기 위해 호주와의 긴밀한 협력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에서 전기차 보조금을 받기 위해선 배터리 원재료인 핵심광물과 부품을 ‘북미 지역 또는 미국과 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조달’해야 하는데 호주는 미국과 FTA 체결한 나라로 리튬·희토류 등 전략광물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은 호주 시드니에서 호‧한 경제협력위원회(AKBC)와 제43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를 30일 개최했다고 같은 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IRA 대응을 위한 전략광물 협력방안을 포함해, 방위산업·기반시설·수소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전략광물·방위산업 세션에서 호주가 보유한 풍부한 광물자원과 한국의 기술력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호주는 6대 핵심광물 중 리튬·니켈·코발트 매장량 세계 2위, 희토류 매장량은 세계 6위의 자원 부국이다. 한국은 부존자원이 부족하지만, 제조 기술역량은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만큼 양국의 협력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포스코홀딩스는 “미·중 갈등과 환경적 이슈로 중국산 배터리 공급망의 경쟁력 약화 가능성이 있다”며 “한국은 전 세계 전지 소재분야에서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대안이므로, 호주의 핵심광물과 한국기업의 기술력의 협력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했다. 이희진 연세대 호주연구센터장은 “미·중 기술패권경쟁 속에서 기술표준, 핵심 신기술에서 표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며 “특히 신기술 분야인 수소 경제에서 한국과 호주가 국제표준제정에서 협력해 이 분야를 주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 인프라 부문에서도 협력 논의가 진행됐다. GS건설은 지하공간을 활용한 한국-호주 건설 협력방안에 대해 소개하며 “호주는 지속가능한 지하공간 활용을 위한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사업추진을 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한국 측 위원장인 최정우 위원장은 “최근 공급망 위기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번 경제협력위원회 합동회의에서 양국 경제계가 전략광물·수소에너지·기초산업·산업연구 등 여러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과제를 발굴해 위기를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2022.11.30 08:44
2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