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NewsweekPlus

NewsweekPlus

Give Her A Razzie
인형의 배경 이야기 담은 DVD


Who said Lindsay Lohan couldn? get any smaller? The teen starlet? new doll, part of Mattel? My Scene !line, is now arriving in a slinky red-carpet gown. Also sold separately: a limo, a dressing room and an... animated DVD?

몸집이 작고 깜찍한 10대 우상 린지 로한이 더 작아지지 못한다고 누가 말했는가? 붉은 융단 가운을 입은 로한의 새 인형이 마텔사의 ‘마이 신’ !상품의 하나로 선보인다. 인형과 별도로 판매되는 상품도 있다. 리무진과 분장실, 그리고… 애니메이션 DVD다. 아니, DVD라고?

Girls used to be able to get a doll? backstory from the back of its box. But that? changing, as more retailers release @straight-to-video productions that help introduce new characters -- and sell more dolls. ?here? definitely more simultaneous development #upfront,?says Michelle Field, director of marketing for girls?toys at Hasbro. In addition to My Scene, new DVDs in the fall $lineup include a My Little Pony release to coincide with a new %plush named Minty and a 3-D Barbie title that drops with her new princess line.

그렇다. 예전에는 여자 아이들이 인형의 배경 이야기를 알려면 포장 상자의 뒷면을 읽어야 했다. 그러나 소매상들이 새 인형의 이야기를 담은 @비디오 전용 영화를 속속 내놓으면서 그런 추세가 변했다. 이 비디오들은 더 많은 인형을 판매하기 위해 전혀 새로운 인물을 소개한다. “#노골적인 동시 출시가 확실히 많아졌다”고 하스브로의 여아용 완구 판촉을 담당하는 미셸 필드 이사가 말했다. 마이 신 외에 이번 가을 발매되는 새 DVD $목록에는 %플러시 조랑말 민티의 시판에 때맞춰 나오는 ‘마이 리틀 포니’, 새로운 바비 공주 제품과 함께 시판되는 ‘3차원 바비’도 있다.

Parents might see the movies as ^underhanded advertising. But Mattel, which has sold nearly 27 million Barbie films worldwide since 2001, doesn? agree. ?ids &see through that,?says Rob Hudnut, vice president of entertainment development. ?e?e trying to fill a void in the education system in teaching kids about the arts.?How do they make sure a movie works? An earlier title -- ?arbie in the Nutcracker?-- needed some work, so Mattel brought in screenplay guru Robert McKee (who was mocked in ?daptation?. *Presto! Now, where? that acceptance speech?
RAMIN SETOODEH

부모들은 이런 DVD 영화를 ^간접 광고로 간주할지 모른다. 그러나 2001년 이래 세계적으로 바비 DVD를 약 2700만 장이나 판매한 마텔사는 달리 설명한다. “아이들은 광고인지 아닌지 &곧바로 안다”고 로브 후드넛 오락개발 담당 부사장이 말했다. “아이들의 예술 교육에서 기존 교육 체계가 미흡한 점을 채워 주려는 시도일 뿐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그런 목적을 달성하게끔 영화를 만들까? 이전에 나온 ‘호두까기 인형의 바비’는 약간의 손질이 필요했다. 그래서 마텔사는 각본 전문가 로버트 매키(영화 ‘어댑테이션’에서 조롱받았다)를 기용했다. *자, 영화야 요술처럼 빨리 변해라! 그렇다면 매키의 그 유명한 수상 소감은 왜 없을까?


Computers You Don't Coddle
충격에도 거뜬한 휴대용 컴퓨터 등장


Designed for mobility, laptop computers have never been up to the (rigors of the great outdoors. But manufacturers are now turning out what they call ?oughbooks,?portables that can )take a punch. The computers feature ?hock-mounted hard drives surrounded by stainless steel, extended battery life and cases made from extra-durable materials like full magnesium alloy; they also have moisture- and dust-resistant keyboards and LCD screens. This fall, ?pecialty manufacturer Itronix will introduce an officially branded, ?hock resistant?Hummer laptop (available in Hummer colors such as Competition Yellow, Victory Red and Pewter Metallic).

Panasonic? line is even being used by soldiers serving in Iraq and Afghanistan, but those ?rab-colored machines are available in Firehouse Red and Arctic White consumer versions. ?he Toughbook 29 was designed specifically for the ?arsh conditions facing our armed forces,?says Jan O?ara, senior director at Panasonic Computer Solutions. Avi Greengart, principal analyst for ?obile devices at Current Analysis, says these laptops don? cost much more than traditional models, so ?f you have a notebook that you can drop on the floor or ?pill something on and it still works, that is a good thing.? PETER SUCIU

랩톱 컴퓨터(노트북)는 휴대용으로 설계됐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야외의 (혹독한 환경을 감당하지 못했다. 이제 제조업체들이 ‘터프북’(강인한 노트북이라는 의미)을 만들기 시작했다. )충격에 견디는 휴대용 컴퓨터다. 悶衢?장치를 갖춘 하드 드라이브를 스테인리스 강철로 둘러쌌다. 배터리 수명도 더 길고, 외장은 순수 마그네슘 합금 같은 초내구성재로 만들어졌다. 키보드와 LCD 화면도 습기와 먼지의 침입을 막아 준다. 올 가을 培?┎?제조사인 이트로닉스는 ‘충격 방지용’ 허머 랩톱이라는 공식 상표를 선보인다(실제 대형 지프 허머의 도장용 색상인 경쟁 노란색, 승리 빨간색, 우승컵 은색으로 나온다).

파나소닉 제품은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 파견된 군인들도 사용한다. 군용은 寶◐▤?황갈색이지만 일반 소비자용은 소방서 빨간색과 북극 흰색으로 나온다. “터프북29는 군인들이 직면하는 附프떠퓻?맞도록 특별히 고안됐다”고 파나소닉 컴퓨터 솔루션스의 잰 오하라 수석이사가 말했다. 커런트 어낼리시스의 史濱肉?기기 전문 수석 분석가 애비 그린가트는 이런 랩톱이 기존 모델보다 훨씬 더 비싸지는 않다고 말했다. 따라서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그 위에 무엇을 上核??작동되는 컴퓨터가 있다면 뭘 더 바라겠는가.”


We all know what the oldest profession is, but what is the oldest continuously operated business entity?
가장 오래된 직업이 뭔지는 모두가 안다.
그러나 가장 오래 계속 운영돼 온 사업체는 뭘까?


The Swedish paper producer Stora claims to be the world? oldest company, with documents dating it to at least 1288. But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the Kongo family in Japan claims to have been running a construction firm since the sixth century. They say they?e been building shrines for more than 40 generations and, remarkably, the company is still turning a profit. To put it into perspective, McDonald? would need to sell Big Macs until the year 3366 to match the Kongos?longevity thus far. Now, that? a scary thought. KYLE MONSON

스웨덴의 제지회사 스토라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회사를 자칭한다. 그들의 문서에 따르면 실제로 역사가 적어도 1288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동양에서는 일본의 곤고(金剛) 일가가 6세기부터 건설회사 곤고구미(金剛組)를 운영해 왔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40세대 이상에 걸쳐 신사를 지었으며, 놀랍게도 회사가 아직도 수익을 낸다고 말한다. 곤고구미의 현재까지 역사와 맞먹으려면 맥도널드가 빅맥을 3366년까지 팔아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생각하기조차 끔찍하다.


Letter From America
Too Much Technology


Are you such a !multitasker that the job of driving has gotten boring? Don? worry, now there are DVD movie-players for the front seat of your car!
Are you so alienated from nature that you can? tell when a piece of fruit is ripe? Never fear. A new line of @packaging tells you when it? ready to eat.
Are you too impatient for your morning coffee to wait eight minutes while your automatic drip machine brews a fresh pot? #voila: -coffee that makes itself.

Impressive? I suppose so. But increasingly, it seems to me, we Americans are so $agog over the latest technological %gadgetry that we overlook a simple fact: we usually don? need it. Take self-heating coffee from a Delaware company named OnTech. ^Flip the can on its head, press a button on the bottom, then shake for 10 seconds. Turn it back over and let it sit for eight minutes. A mixture of specially treated water interacting with calcium oxide makes a &piping hot cup of morning joe. Sounds *yummy, but wait. Eight minutes plus 10 seconds? Your old pal, Mr. Coffee, can brew an entire pot in (half the time!

OnTech plans to introduce a whole line of such drinks, beginning with a latte created by Wolfgang Puck, who used to be an important )chef but whose ?ep nowadays resides chiefly in your supermarket? freezer section. With OnTech, he will certainly go where no chef has gone before. Given that most Americans have fairly easy access to a freshly brewed, foamy, delicious latte for roughly the same price as Puck? canned mixture of coffee, milk, artificial sweetener, pectin and acesulfame potassium, the most logical place for OnTech? innovation is aboard the space shuttle. Yet CEO Jonathan Weisz is confident. ?here? a huge need for this product,?he says. ?veryone has such an ?n-the-go lifestyle.?What next? Think self-heating soups, hot chocolate and teas-not to mention oatmeal and chili.

Is OnTech aware that Campbell?, the intergalactic soup giant, is working with Ford to put small microwave ovens in cars? (The only downside to this invention is that America may not have enough personal-lawyers to handle the future lawsuits.) And why stop with ovens when you can turn cars into home theaters on wheels? Makers of automotive DVDs say that a high percentage of sales now come from people who want to watch movies in the front seat. So what if 39 states have laws forbidding just that? Manufacturers protect themselves by requiring drivers to press a button affirming that he/she will not actually watch the screen while the car is in motion-what Mary Poppins used to call a ?ie-crust promise,?easily made and easily broken.

You don? have to be a Luddite to believe that the self-heating can or in-car theater are examples of our obsession with ?hrowing technology at something that? not even a problem. ?his is America today,?says David Gregg, senior editor at Best magazine and a technology hunter for ?he Early Show?on CBS. ?verything has to be faster and faster. We?e not making new products. We?e just reinventing things to give us instant ?ratification.?The list goes on. Among my favorites is ripeSense, ?he world? first intelligent sensor label,?s its manufacturer ?ills it. Ripening fruit gives off aromas that can be detected by a sensor affixed to the packaging, going from red to orange and finally yellow. ?y matching the color of the sensor with your eating preferences,?the company explains, ?ou can now accurately choose fruit as ripe as you like it.?Waiting for fruit to ripen? Isn? there some machine that could do it faster?

기술 과잉시대

운전대를 잡고서 !동시에 다른 일을 하지 않으면 몸이 근질근질한가? 걱정 말라. 요즘은 차량 앞좌석용 DVD 플레이어가 있지 않은가.
너무 자연과 유리된 생활을 해 과일이 잘 익었는지 알 수 없는가? 두려워 말라. 새로운 @포장 재료들이 언제 과일을 먹어야 하는지 말해준다.
참을성이 부족해 자동 커피 제조기가 아침에 커피를 끓이는 8분조차 기다리지 못하겠나? #자, 이제는 알아서 끓는 커피도 나왔다.

인상적이라고? 그렇기도 하지. 하지만 내가 보기엔 우리 미국인들이 점점 더 첨단 %가전 제품들에 $목말라한 나머지 단순한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우리가 실제로 그런 제품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사실 말이다. 델라웨어에 있는 ‘온텍’이라는 회사의 캔 안에서 자동적으로 가열되는 커피만 해도 그렇다. 캔을 ^뒤집어 밑바닥에 있는 버튼을 누르고 10초 동안 흔들어 보라. 그리고 캔을 바로 세운 뒤 8분을 지켜보라. 칼슘 산화제로 특수처리된 물과 혼합물들이 &펄펄 끊는 아침 커피를 만들어 낸다. *그럴듯하지만, 잠깐. 8분에다 10초를 더 기다려야 한다고? 당신의 오랜 기호품인 커피 자동 제조기는 그에 비해 (반밖에 안 되는 시간만으로 커피 주전자 전체를 데워 준다.

온텍사는 볼프강 퍽에 의해 개발된 라테 커피를 시작으로 모든 종류의 음료에 자동 가열 방식을 도입할 계획이다. 퍽은 한때 저명한 )요리사였지만 지금은 주로 수퍼마켓 냉동코너에서 그의 美茨?제품)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온텍사와 함께 어떤 요리사들도 해보지 않은 시도를 분명 할 것이다. 미국인들은 대부분 아주 쉽게 금방 뽑아낸 거품이 많은 라테 커피를 사마실 수 있다. 커피, 우유, 인공 감미료, 펙틴, 당분성 칼륨 등이 함유된 퍽의 캔 커피나 가격은 마찬가지다. 따라서 온텍사의 혁신적인 제품이 가야 할 논리적인 곳은 (인스턴트 식품만 사용하는) 우주왕복선이 아닐까. 그래도 CEO 조너선 와이즈는 확신에 차 있다. “모든 이들이 膀某?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제품에 대한 수요는 엄청나다”고 그는 말했다. 그 다음은 뭐지? 알아서 끓는 수프나 핫 초콜릿, 아니면 차가 될까. 오트밀이나 칠리는 말할 필요도 없으리라.

식품 대기업 캠벨이 자동차에 소형 전자레인지를 장착하기 위해 포드사와 손을 잡았다는 사실을 온텍사는 알고 있을까?(이 발명의 유일한 단점은 앞으로 쏟아져나올 소송을 모두 맡을 만큼 미국에 변호사가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냥 전자레인지에 그칠쏘냐, 자동차를 달리는 홈시어터로 개조할 수 있다면. 자동차용 DVD 제조업체들은 차 안에서 영화를 보려는 사람들이 매출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39개 주에서 운전 중 영화 관람을 금지하는 법안이 있다면 어떻게 될까? 제조업체들은 운전 중에는 스크린을 안 보겠다고 확인하는 버튼을 누르도록 운전자들에게 요구한다며 방어에 나섰다. 그러나 이는 메리 포핀스(영화 속 마술사 보모)가 쉽게 만들어지고 쉽게 깨진다는 의미에서 ‘빵 부스러기 약속’(pie-crust promise)이라 불렀던 것이나 마찬가지다.

문제도 아닌 일을 기술로 洑莫簫狗졍?우리 강박관념의 전형적인 사례가 바로 자동가열 캔음료나 차내 영화관이라는 점은 삼척동자라도 알 수 있다. “이것이 오늘날의 미국이다”라고 CBS 방송의 ‘The Early Show’를 위해 신기술을 찾아주고, 잡지 베스트의 선임 편집인이기도 한 데이비드 그레그는 말했다. “모든 것은 계속 빨라져야 한다. 우리는 신제품을 만들어내지 않고 단지 우리에게 즉흥적인 賻망렝?얻기 위해 물건들을 뜯어고칠 뿐이다.”

그런 물건들은 얼마든지 있다. 그중 가장 내 마음에 드는 것은 라이프센스(ripeSense)다. 제조자는 그것을 “세계 최초의 지능형 센서 라벨”이라고 檳ㅀ灼磯? 익어가는 과일이 내뿜는 향기에 따라 빨간색에서부터 오렌지색으로, 마지막엔 노란색으로 변하는 센서가 과일의 숙성도를 감지한다. 회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당신의 기호를 센서의 색깔과 맞춰놓으면 당신이 좋아하는 정도로 숙성된 과일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과일이 익기를 기다린다고? 익어가는 속도를 앞당길 장치는 없을까?

Slackers' Delight

Adam Howell lacks self-control, but at least he? responsible about it. The Winston-Salem, N. C. -based Web designer was trying to start up a new online business, but he couldn? stop himself from wasting time at other sites (free Flash games at orisinal.

com were particularly distracting). So he !commissioned a friend to design a program that would help him get back to work. The resulting product was Temptation Blocker, Windows software that allowed him to list the programs he wanted to block, set a timer for how long he? like to block them and activate it by hitting a ?et work done!?button. The only way to turn the blocker off (it disables Ctrl-Alt-Delete) is to enter in a @random 32-character string -- a sufficient #deterrent for this $loafer.

Howell thought the program was so good -- ? use it every day,?he says -- that he wanted others to have it, too. But, slacker that he is, he didn? want to bother with tech support and upkeep, so he %popped it online free of charge. It immediately circulated wildly on blogs; 4,000 people downloaded it during the first week. You can get it from his newly launched e-business webjillion. com -- if you can ^pry yourself away from solitaire.

ELISE SOUKUP

게으름뱅이를 위한 유혹 차단기

애덤 하월은 자제력이 없다. 그래도 그 약점을 메우기 위해 조치를 취할 줄은 안다. 하월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윈스턴 살렘에서 웹 디자이너로 일한다. 얼마 전 그는 새로운 온라인 사업을 시작하려 했다. 그러나 아무리 애써도 일에 방해되는 다른 사이트에서 시간을 허비하지 않기가 어려웠다(특히 orisinal.com의 무료 플래시 게임들이 일에 방해가 됐다). 그래서 한 친구에게 일에 전념하도록 해 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다. 그 결과물이 일명 ‘유혹 차단기’다. 윈도 운영체제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다.

차단하고 싶은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만들어 등록한 뒤 타이머로 차단 시간을 설정한 다음 ‘일을 끝마쳐!’라는 버튼을 누르면 가동된다. 차단기(게임에 사용되는 Ctrl-Alt-Delete키의 동시 누름 기능을 차단한다)를 끄려면 @임의로 32자의 키를 잇따라 쳐야 한다. 하월 같은 사람은 32자를 계속 칠 만한 인내심이 없는 $게으름뱅이이기 때문에 그 정도로도 충분히 유혹을 #억누르게 된다.

하월은 유혹 차단기에 반했다(“난 매일 사용한다.”). 그는 다른 사람들도 그 프로그램을 사용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천성이 게으른 탓에 기술 지원과 보수 유지에 신경 쓰기가 귀찮았다. 그래서 그냥 무료로 온라인에 %올려 버렸다. 즉시 블로그에서 인기리에 배포돼 첫 주에 4000명이 내려받았다. 독자 여러분도 하월이 개설한 전자사업 사이트 webjillion.com에서 그 프로그램을 내려받으면 된다. 솔리테어(컴퓨터에서 혼자 하는 카드놀이)를 ^하지 않고 견딜 자신이 있으면.

Science and Your Health
Of Taters And Tots


Your small fry might love french fries. But a new study i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suggests you should think twice before serving them regularly to your kids. The paper, based on a survey that asked more than 2,000 moms to remember the eating habits of their adult kids, showed that a weekly serving of fries for girls ages 3 to 5 could up their risk of developing breast cancer in later life by 27 percent. A number of other foods -- hamburgers, eggs, butter and cookies -- passed the test with no associated risk.

But it? not the spuds that are getting the blame. The study? lead author, Dr. Karin Michels of Harvard Medical School, says neither mashed nor sweet potatoes threaten adult health. Instead trans-fatty acids and saturated fats, which may have a carcinogenic effect on the susceptible breast tissue of young girls, could be the true culprits. (The fats have already been linked to obesity and coronary heart disease.)

For the moment, it? probably safe to let kids indulge at the drive-through window every once in a while. But the results fit a growing theory: childhood diet is critical to adult health. Instead of giving in to picky eaters, doctors recommend that you introduce healthy habits from the start. ?f you condition children to eat fruit and vegetables early on,?says Michels, ?hey won? want cookies later.?Or, presumably, fries. ALICE FISHBURN

아이에게 감자튀김은 금물

어린이들은 대개 감자튀김을 좋아한다. 그러나 국제 암 학회지에 실린 새 연구에 따르면 아이들에게 감자튀김을 자주 주기 전에 한번 더 생각해야 한다. 그 연구는 2000명 이상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지금은 성인이 된 자녀의 과거 식습관을 조사했다. 그 결과 3∼5세 여자 아이에게 매주 한 차례 감자튀김을 먹인 경우 나중에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27%나 높았다. 햄버거·달걀·버터·과자 등 다른 여러 식품들은 발병 위험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문제는 감자 자체가 아니다. 이번 연구 보고서의 주집필자인 하버드 메디컬 스쿨의 캐린 미셸스 박사에 따르면 으깬 감자나 고구마는 성인 건강을 위협하지 않는다. 어린 여자 아이의 취약한 유방 조직에서 암 유발 인자를 발현시키는 전이 지방산과 포화 지방이 주범일 가능성이 크다(그런 지방들은 이미 비만·심장병과 관련 있다고 확인됐다).

아이들이 가끔씩 패스트푸드를 즐기도록 놔둬도 안전할지 모른다. 그러나 이번 연구결과는 확고하게 자리잡아가는 이론에 딱 들어맞는다. 어린 시절의 식습관이 어른이 됐을 때의 건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떼쓰는 아이들을 받아들여 주지 말고 처음부터 건강한 습관을 가르치라고 의사들은 조언한다.
“아이들에게 처음부터 과일과 채소를 먹도록 훈련시킨다면 나중에 과자를 먹지 않는다”고 미셸스는 말했다. 감자튀김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Key Word of The Week
Big Easy



“I see trees of green, red roses, too.
I see them bloom for me and you.
And I think to myself.
What a wonderful world...”

루이 암스트롱(1900∼1971)의 불후의 명곡 ‘What a Wonderful World’는 그렇게 시작한다. 선조인 흑인 노예들의 애환을 기쁨으로 승화시키려는 의지가 고스란히 녹아 있다. 암스트롱이 태어난 곳은 미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도 가장 험한 지역인 ‘제인 앨리’라는 곳이다. 그를 일약 재즈계의 거장으로 만든 계기는 우연히 찾아 왔다. 인종차별이 극심하던 1910년대 초반 암스트롱은 미 독립기념일 축제에서 권총을 발포했다는 이유로 경찰에 체포됐다(그의 생일도 미 독립기념일인 7월 4일이다). 그러나 소년원에서 배운 코넷(금관악기의 일종)으로 놀라운 음악적 재능을 인정받아 나팔수 겸 코넷 연주자로 뽑히면서 그의 화려한 재즈 인생이 시작됐다.

뉴올리언스의 흑인 재즈맨들은 주로 홍등가인 스토리빌에서 일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 중인 1917년 뉴올리언스가 군항이 되면서 홍등가가 폐쇄되자 많은 흑인 재즈 연주자들이 시카고와 뉴욕 등지로 옮겨갔다. 그 후 암스트롱은 재즈 선배 킹 올리버의 영향을 받아 결국 자신의 밴드 ‘루이 암스트롱과 핫 파이브’를 뉴욕에서 결성해 최고의 황금기를 누렸다(리처드 기어 주연, 프랜시스 코폴라 감독의 1984년 작 영화 ‘Cotton Club’은 흑인 재즈 음악가들의 고단한 삶을 있는 그대로 소개한다).

이처럼 뉴올리언스를 재즈와 떼놓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재즈 밴드의 뿌리는 20세기 초 뉴올리언스의 장례식 밴드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장례 절차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장례식을 마치고 돌아오는 과정이었다. 그때 밴드 행렬이 연주하던 음악은 장례식장으로 향할 때와는 달리 활력에 넘쳤다. 슬픔을 거두고 본래의 생활로 돌아가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프랑스에서 유래한 이 같은 관습은 지금도 남부 프랑스에 남아 있다고 한다).

재즈의 어원은 야비하고 외설스러운 뜻을 가진 영국의 고어 jazz에서 비롯됐다는 설, 19세기부터 미 남부 흑인들이 사용한 성행위란 의미와, 열광·빠른 템포나 리듬을 뜻하는 속어에서 비롯됐다는 설 등이 있다.
‘Big Easy’(뉴올리언스의 별칭)는 뉴올리언스 현지 신문 타임스 피카윤의 가십 칼럼니스트 베티 길라드가 처음 쓴 표현으로, ‘보다 느리고 단순하게 사는 생활양식이 특징인 뉴올리언스’에 대한 완곡한 표현이다. 뉴욕을 ‘빅 애플’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재즈의 본고장 뉴올리언스를 완전히 유린했다. 지난해에만 1000만 명의 관광객이 다녀간(아 참, 그리고 NFL 세인츠의 본고장인) 뉴올리언스를 이 참에 아예 딴 곳으로 옮기자는 얘기까지 나온다. 그러나 그게 그리 쉬운 일일까? 뉴올리언스의 재즈맨들이 살아 있는 한, 그리고 세계인들이 뉴올리언스 재즈를 사랑하는 한, 그 유명한 마디그라 축제와 재즈 페스티벌도 내년 2월 말과 4월 중순 변함없이 열리리라. 그래서 뉴올리언스가 다시 일어섰음을 보여주리라. 뉴올리언스의 ‘비공식’ 모토인 “laissez les bons temps rouler”(행복한 시간이 계속되게 하라)도 우연만은 아니다(뉴스위크 한국판 2005년 9월 14일자 17쪽 참조).

강태욱 tka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캐피탈, 한국전쟁 참전용사 후손 16명에 장학금 전달

2넥슨, 신규 PC 게임 ‘프로젝트 로키’ 정식 명칭 ‘슈퍼바이브’로 확정

3SK온, 엑손모빌과 리튬 공급 MOU…美 리튬 최대 10만톤 확보

4해외건설전문가포럼, ‘해외투자개발사업 법률적 타당성조사 공동 세미나’ 성료

5우리은행, 벤처기업에 ‘원비즈플라자’ 무상 제공

6엔비디아 4거래일 만 반등에...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동반 상승

7미래에셋, ‘TIGER 미국나스닥100+15%프리미엄초단기 ETF’ 상장일 개인 순매수 1위

8DGB금융, 하반기 조직개편…디지털 경쟁력 강화 초점

9한진家 막내딸 조현민 사장, 자사주 2억원어치 매입

실시간 뉴스

1한국캐피탈, 한국전쟁 참전용사 후손 16명에 장학금 전달

2넥슨, 신규 PC 게임 ‘프로젝트 로키’ 정식 명칭 ‘슈퍼바이브’로 확정

3SK온, 엑손모빌과 리튬 공급 MOU…美 리튬 최대 10만톤 확보

4해외건설전문가포럼, ‘해외투자개발사업 법률적 타당성조사 공동 세미나’ 성료

5우리은행, 벤처기업에 ‘원비즈플라자’ 무상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