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유치 땐 강원도 시대 열릴 것”
“평창 유치 땐 강원도 시대 열릴 것”
|
낙후된 지역 급속도로 발전 “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리면 그동안 상대적으로 낙후된 강원도가 급속도로 발전하는 경제효과를 가져올 겁니다. 동계올림픽이 강원도를 뒤집어 놓을 수 있다는 거죠. 꼭 동계올림픽을 유치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김 지사는 88년 서울 올림픽이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을 이끌었고, 2002년 한·일 월드컵은 대한민국의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계기였다는 점을 강조했다. 따라서 평창 동계올림픽은 강원도의 경제적 위상을 높이고 전 세계인에게 강원도를 알릴 수 있는 ‘터닝 포인트’라고 강조했다. 또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는 대한민국의 올림픽을 완성한다는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평창이 동계올림픽을 유치하면 우리나라는 하계 및 동계 올림픽과 월드컵을 모두 개최한 6번째 국가가 되기 때문이다. 평창 동계올림픽이 88 서울올림픽·월드컵의 완성판이 되는 셈이다.
처음으로 동계올림픽 유치 아이디어를 냈다고 들었는데. “11년 전에 처음으로 동계올림픽 유치를 꿈꾸고 외롭게 시작했습니다. ‘심지기위의’(心之起爲意·마음이 일어나면 뜻이 된다)라는 평소 좌우명을 가지고 마음 먹은 이후 전력을 다했습니다. 2010년 유치에는 실패했지만 세계에 이름조차 생소했던 평창이라는 두 글자를 새겼다는 데 의의를 두고 있습니다. 그 덕분에 지금은 평창 하면 다들 알지 않습니까. 실패했다고 모든 게 허망하게 돌아간 건 아니라는 거죠. ”
유치 가능성에 대해 일부에서는 비관적 전망도 있던데. “현재로서는 3개 후보 도시 모두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개 도시 모두 충분히 올림픽을 치를 수 있는 여건을 갖췄고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죠. 그렇지만 타 도시와 차별화되는 평창만이 가진 명분과 비전, 유산을 충분히 홍보하면 승산이 있다고 봅니다. 지금은 큰소리 치는 것보다 차근차근 내실을 다지는 게 더 중요합니다. 승산은 충분합니다. ”
지금 현재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무엇보다 2월에 있을 실사에서 평창의 확실한 경쟁력을 검증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7월에 있을 개최지 투표에서 IOC 위원들의 표심을 잡는 것도 중요하고요. 2010년 유치과정에서부터 쌓아 온 국제적인 인적 네트워크를 잘 활용할 생각입니다. IOC 위원별로 성향과 관심 분야를 파악해 맞춤식 유치활동을 펼쳐나가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진실성을 담아 올림픽 정신을 확산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겠지요. ”
북핵이 오히려 훌륭한 홍보거리
북핵 문제가 장애 요인이 될 것이란 분석도 있습니다. “꼭 그렇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지난해 이미 북한 당국의 공식적인 지지와 협력방안을 담은 합의서를 받았습니다. 오히려 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리면 남북관계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 올림픽이 평화 무드를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IOC 위원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아주 훌륭한 홍보거리가 되는 셈이죠. ”
경쟁 도시에 비해 평창의 장점을 꼽는다면. “잘츠부르크는 기본적으로 동계스포츠의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고 지명도에서도 앞서 있는 게 사실입니다. 또 소치는 정치적 배경과 막대한 물량공세를 펴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평창 역시 기존의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고 국제적으로 인증받은 경기장도 많습니다. 여기에다 평창은 유럽이 주도하는 동계스포츠의 아시아 진입과 성장의 요람이 될 수 있다는 좋은 명분도 갖고 있습니다. 또 IOC가 강조하고 있는 스포츠를 통한 평화의 실천이라는 ‘올림픽 무브먼트’에도 가장 부합한다고 봅니다. ”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가 국내적으로는 국토 균형발전에도 이바지한다고 보는데. “맞습니다. 강원도는 그동안 지리적·지형적 여건으로 인해 발전에서 소외된 지역이었습니다. 그렇지만 강원도가 가진 청정지역이라는 환경 자원을 보면 분명 강원도의 시대가 올 것으로 봅니다. 평창의 올림픽 유치는 그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분별한 개발은 절대 안됩니다. 철저히 친환경적인 개발에 가치를 두고 있습니다. ”
유치 시 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죠? “물론입니다. 단순히 행사기간뿐만 아니라 연관산업으로의 투자 및 민자시설 촉진 등이 이어져 질적 개발의 계기가 될 것으로 봅니다. 최근 사회적으로 ‘수도권 대 비수도권’의 이분법적인 개념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각 지역이 경쟁력이 서로 높아져야 합니다. 수도권 강화만이 국가경쟁력 강화가 아니라는 말이죠. 결국 평창의 올림픽 유치는 합리적인 국토공간 전략에도 딱 들어맞는 행사죠. ”
국민에게 바라는 바가 있다면.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는 전 국민의 열정과 지지가 필요합니다. 그런 에너지가 세계에 전달될 때 유치도 가능하리라 봅니다. 2010년에 한번 실패한 만큼 이번에는 더 많은 지지와 성원을 보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집안에 재수생이 있다고 보시고 따뜻한 격려의 시선과 국민적인 열의가 다시 한번 필요할 때입니다. ”
동계올림픽 위해 뛰는 ‘12번째 서포터스들’ | ||
“박세리도 미셸 위도 발벗고 나섰죠”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명세빈 "17살 연하남에게…" 나이트 부킹썰까지
2"엎질러진 물…죽겠더라" 박현호♥은가은, 무슨 사연?
3한일 상의 회장단 "에너지·첨단기술 민간 협력 강화"
4카카오스타일 지그재그, ‘블랙 프라이데이’ 역대급 흥행…일 거래액 100억 행진
5한경협 "조세 전문가 82%, 상속세 완화에 긍정"
6고양·의정부시·동대문구·세종시 '2024년 스마트도시' 인증
7BAT로스만스, 합성니코틴 전자담배 ‘노마드 싱크 5000’ 출시
8바이든 정부, 반도체 보조금 규모 줄인다…5억 달러 넘게 축소
9김종민 '11세 연하♥' 눈 뜨자마자…"혼자 몸 아녔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