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해로 배우는 글쓰기
온라인을 더 투명하게!
FAITH IN FACEBOOKEMILY GOULD
I should have known that the blog, an anonymous diary of my personal life, was a bad idea. As a reporter for the gossip site Gawker, I spent my days deconstructing similar attempts at concealment. But I lulled myself into a false sense of security. I wrote about cooking, sex, and the awkwardness of my office romance, which ended (as it began) via instant message.
①Not surprisingly, I was soon dropped into the body of a gossip story rather than the byline. My blog posts, unveiled by my former paramour, were excerpted in his own tell-all in the New York Post Sunday magazine. I spent the next few days wishing the Web away.
But if anonymity had caused me drama, it was attribution that helped me return to normal.
②Online commentators, after reading the Post piece, gradually came to my defense using what they had gleaned from Emily Magazine, a separate blog where, for years, I had written under my own name. The shift of allegiance (“I’ve got to throw in with Team Emily,” wrote one person; “I owe you an apology,” wrote another) eventually helped me return to writing.
③Now I realize that having Emily up and running was my best defensive strategy. It helped bend the record toward how I saw the truth.
Interpretation 밑줄 친 부분을 의미 단위로 나눠 순차적으로 뜻을 파악해 보자.1 Not surprisingly, / I was soon dropped / into the body of a gossip story / rather than the byline.
놀랍지 않게도 → 어떻게 됐나? → 나는 곧 떨어졌다 → 어디에? → 가십 기사의 본문 속으로 → 원래는 어떠해야 하는가? → 기자 이름을 쓰는 난에 들어가야 한다
2 Online commentators, / after reading the Post piece, / gradually came to my defense / using what they had gleaned / from Emily Magazine, / a separate blog / where, for years, I had written under my own name.
온라인 논평가들은 → 어떻게 했나? → 점차 나를 옹호했다 → 언제? → 뉴욕포스트지에 실린 글을 읽은 뒤에 → 어떻게 옹호했나? → 그들이 알게 된 것을 사용해서 → 어디서 얻었나? → 에밀리 매거진에서 → 어떤 매체인가? → 다른 블로그다 → 어떤 블로그인가? → 수년 동안 내가 내 이름으로 글을 쓴 블로그였다
3 Now I realize / that having Emily up and running / was my best defensive strategy.
이제 나는 깨달았다 → 무엇을? → 에밀리(나)라는 이름을 내세워 적극 활동하는 것이 …하다는 사실을 → 그게 어떠하다는 사실인가? → 나의 최선의 방어 전략이었다는 사실
Careful Reading 다음 질문에 답하면서 좀 더 자세히 내용을 파악하자(답은 맨 아래).1 Who revealed that the writer’s blog was an anonymous diary of her personal life?
2 What did she write about in the blog?
3 What helped her return to writing after such a humiliating experience?
Skimming 각 단락의 주제 어구단락 1 the blog, an anonymous diary of my personal life, was a bad idea. 익명으로 사생활을 일기로 블로그에 올린 건 잘못된 생각이었다.
단락 2 attribution helped me return to normal
익명의 필자가 나라는 사실이 밝혀진 뒤 정상적인 나로 돌아갈 수 있었다.
Writing Skills 이 에세이의 단락 대부분은 전형적인 구조를 취했다. 특히 첫째와 둘째 단락이 그렇다. 주제 문장이 맨 앞에 나오고 그 주제를 뒷받침하는 문장들로 충분히 설명한 다음 주제를 강조하는 문장으로 단락을 마무리했다. 예로 첫 단락은 이런 식의 구조로 전개됐다. “익명의 블로그 일기가 어리석은 생각이란 점을 알았어야 했다 → 왜? → 자신이 그런 블로그의 필자를 밝히는 일을 했기에 → 그런데 → ‘설마’라고 생각했다 → (구체적인 사태 발전) → 결국 너무도 수치스러워 인터넷이 이 세상에서 사라지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clues for Careful Reading 질문의 답1 사무실에서 연애를 걸었던 옛 애인 2 요리, 섹스, 사내 연애 등 3 그 글을 쓴 사람이 자신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뒤 누리꾼들이 자신을 응원해준 사실
I’ve been thinking about this ordeal recently as the ethics of Facebook founder Mark Zuckerberg have been called into question.
①He was lambasted last month for the site’s new privacy settings, which made more information from 500 million user profiles automatically public. In an op-ed in the Washington Post, he couched the move in terms of Facebook’s organizing ideals, which include the belief that “if people share more, the world will become more open and connected. And a world that’s more open and connected is a better world.” In his new book, The Facebook Effect, David Kirkpatrick expands on Zuckerberg’s “radical transparency camp,” noting that the 26-year-old mogul and his followers believe that “more transparency should make for a more tolerant society in which people eventually accept that everybody sometimes does bad or embarrassing things.”
That’s true in my experience. A couple of years ago, when a New York magazine blogger hatcheted my prose on her personal blog—“This writing is so god awful,” she wrote—I responded. To my surprise, I was cheered on by supporters. “We all have our share of ups and downs,” counseled one. “I’m proud of you for continuing to get back up after so many people try their best to ruin you.” Facebook users have their own run-ins with online thugs. But they, too, buck up and return to sharing.
②Search the status updates of people who have made their profiles public, and “I’m gay” is among the easily found—and, obviously, personal—disclosures.
Zuckerberg’s utopian vision has its disbelievers, of course. More than two million people have joined a Facebook group protesting his credo, and the company has since walked back some of its tweaks. ③This month it will debut new features that make it easier for people to control what they reveal about themselves publicly. That’s kind of a shame. Only Facebook is big enough to help close the daylight between online and offline lives—and show that there’s much good that can come from behaving consistently in both.
Gould is the author of a collection of essays, And the Heart Says Whatever.
Interpretation 밑줄 친 부분을 의미 단위로 나눠 순차적으로 뜻을 파악해 보자.
그는 지난달 맹비난을 받았다 → 왜? → 페이스북 사이트의 새 개인정보 관리 설정 때문에 → 그 설정이 어떤가? → 더 많은 정보를 → 어디에 있는 정보인가? → 페이스북 회원 5억 명의 프로필에 있는 정보 → 그 정보를 어떻게 만들었나? → 자동적으로 공개되도록 만들었다
2 Search / the status updates of people / who have made their profiles public, / and “I’m gay” is / among the easily found— / and, obviously, personal— / disclosures.
3 This month / it will debut new features / that make it easier / for people to control / what they reveal about themselves publicly.
이번 달 → 무슨 일이 있나? → 페이스북은 새로운 기능을 선보일 것이다 → 어떤 기능인가?→ 더 쉽게 만드는 기능 → 무엇을 쉽게 만들어주나? → 사람들이 제어하기를 → 무엇을 제어하나? → 개인 정보 중에서 공개하는 내용을
Careful Reading 다음 질문에 답하면서 좀 더 자세히 내용을 파악하자(답은 맨 아래).1 Who is Mark Zuckerberg, and why was he criticized severely last month?
2 What is a key point of Facebook’s organizing ideals?
Skimming 각 단락의 주제 어구단락 3 more transparency should make for a more tolerant society 온라인의 투명성이 높아지면 그만큼 더 관용적인 사회가 된다.
단락 4 that’s true in my experience 내 경험이 그런 사실을 웅변한다.
단락 5 there’s much good that can come from behaving consistently in both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삶이 다르지 않게 하려고 노력하면 더 좋은 세계가 만들어진다.
Writing Skills 자신의 개인적 시련을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관리 정책 변경에 따른 논란과 부드럽게 연결시켰다. 이처럼 개인의 경험을 좀 더 큰 그림 속에 넣어 일반화(generalization)하고 객관화(objectification)하면 주장의 논리가 분명하게 서고 설득력이 강해진다. 에세이를 쓸 때 이처럼 개인 경험으로 글을 시작했다가 객관적인 현상을 이야기하며 그 틀에 담는 연습을 하자.
clues for Careful Reading 질문의 답1 인터넷 사교사이트 페이스북의 창업자 겸 CEO;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관리 정책을 바꿔 더 많은 신상 정보가 자동으로 공개되게 만들었다.
2 사람들이 정보를 많이 공유할수록 세계가 더욱 개방되고 연결되며 그런 세계가 더 나은 세계다.
Identifying the message
The Big Idea온라인의 투명성을 확립하자!
Essay Structure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남태현, 마약 투약 집행유예 중 음주운전 혐의 입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단독]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논의…전망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할인도 경품도 '역대급'…여기가 '여행천국'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한화그룹, 美 워싱턴에 글로벌 방산 '지휘본부' 세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임상 성공에 티움바이오 뛰고 바이오솔루션 날았다[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