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문장을 넘어 단락으로

문장을 넘어 단락으로



문장을 기초로 단락(paragraph)을 분석해 보자.대개 단락이라고 하면 네댓 문장으로 구성된 글의 단위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단락의 핵심은 문장의 수가 아니라 문장들 사이에 흐르는 일관된 생각이다. 앞서 말한 chunk보다는 범위가 넓은 ‘생각의 단위’가 단락이다. 한편의 글이 하나의 주제를 이룬다면 하나의 단락은 소주제를 이룬다. 하나의 단락은 구조적으로 볼 때 대개 Topic Sentence(주제 문장)와 Supporting Details(뒷받침 문장), 그리고 Closing Sentence(맺음 문장)로 구성되며 의미의 흐름으로 볼 때는 기(Introduction) - 승(Development) - 전(Turn) - 결(Conclusion)의 형식을 따른다.



Skimming그런 구성을 머릿속에 그려놓고 글의 핵심을 이루는 주제어들을 찾아 그 틀 안에 집어넣어 보면 이해가 훨씬 쉽고 빠르다. 그 핵심 주제어를 찾을 때 유용한 기법으로 skimming이 있다. 글의 제목과 내용을 대강 훑어보며 납작한 돌로 물수제비를 뜨듯, 하늘을 나는 새가 물고기를 낚아채듯 눈에 띄는 key words를 찾아내 빠르게 주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그렇게 주제를 파악해 다시 공들여 읽을 만한 내용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다. skimming을 할 때는 잘 모르는 단어나 문장구조의 파악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정보 단위로 끊어 읽으며 전체적으로 빠르게 훑어내려 가는 습관을 몸에 익혀야 한다. 물론 부단한 노력과 훈련을 요구하지만 제한된 시간 내에 지문을 모두 읽어야 하는 토플·토익·수능 시험 등에도 꼭 필요한 방법이다.

다음은 skimming에서 지켜야 할 몇 가지 원칙이다.



첫째, 제목·사진·발문을 훑어보며 글쓴이의 의도를 추리한다.



둘째, 주어·동사·목적어·보어를 중심으로 읽어 내려가며 육하원칙의 각 요소를 파악한다.



셋째, 부사 등의 수식어, 부연 설명하는 문장, 직책, 숫자, 인용구 등은 과감히 건너뛴다.



넷째, 특히 중문과 복문은 문장구조에 얽매이지 말고 정보 단위로 읽는다.



다섯째,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은 주제의 핵심 단어가 담겨 있는 경우가 많으니 집중해서 읽는다.



여섯째, ‘for example’ ‘in contrast’ ‘consequently’ 등 글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담화표지(discourse marker)에 주목한다.



일곱째, 그렇게 추려낸 키워드로 주제를 추론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다음 단락을 skimming하며 키워드를 찾아 보자. (난이도: 중급)



중국의 북한 길들이기?

CHINA STUCK WITH KIM REGIME


Chinese officials used to say their alliance with North Korea was “as close as lips and teeth.” Now, as Pyongyang continues to bite the hand that feeds it, Beijing’s exasperation is growing. In the WikiLeaks dump of classified diplomatic cables, Vice Foreign Minister He Yafei described Pyongyang’s bad-boy behavior as that of a “spoiled child” acting up to grab Washington’s attention. And that was all prior to North Korea’s recent belligerent moves—torpedoing a South Korean warship, shelling a border island—which humiliated Chinese efforts to negotiate a solution to the nuke crisis.



Vocabulary

•as close as lips and teeth 입술과 치아처럼 가깝다.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듯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라는 뜻.



•bite the hand that feeds it (개가) 먹이를 주는 사람의 손을 물다,

은혜를 원수로 갚다



•Wikileaks dump 폭로 전문 사이트 위키리크스의 비밀문서 대량 유출.

document dump(정리되지 않은 문서의 대량 방출)



•spoiled child 버릇없는 아이, 응석받이



•act up 버릇없이 굴다, 제멋대로 행동하다



Clues 북한이 배은망덕한 짓을 계속하면서 중국의 분노가 커져 간다.



Tips

제목: stuck은 찰싹 달라붙어서 움직이지 않는 모양을 나타낸다.

stuck at a station은 ‘역에서 발이 묶이다’, get stuck with는 ‘…에 끌려가다, …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다’는 뜻이다. 따라서 China Stuck With Kim Regime이라는 제목은 ‘중국이 북한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난처한 상황에 있다’는 의미인 듯하다.



주제: 첫 문장의 used to는 단순한 과거 시제가 아니라 달라진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기 위해 과거의 상황을 설명할 때 쓰는 어구다. ‘과거엔 이랬던 누가 지금은 이렇게 달라졌다’는 식으로 실상은 현재에 초점이 맞춰진다. 따라서 그 뒤에는 거의 예외 없이 현재의 달라진 상황이 묘사되며 현재 시점을 나타내는 표지어 now가 선행한다. 이 단락에선 이 부분이 주제다. ‘중국 정부가 과거에는 대북관계를 순망치한의 혈맹으로 묘사했지만 북한이 배은망덕한 행동을 계속하자 분노가 커져 간다’고 주제를 말한 뒤 중국이 북한에 어떻게 분노하는지, 그 뒤로도 북한이 어떤 배은망덕한 행동을 하는지(torpedoing a South Korean warship, shelling a border island) 사례를 들어 뒷받침했다.



분석: 일단 주제를 찾아내면 나머지는 증거사례이기 때문에 순서대로 읽으면 된다. 비유표현이 세 가지 등장하지만 모두 충분히 의미가 짐작된다. 첫 문장의 “as close as lips and teeth”는 영어의 관용표현이 아니라 중국의 고사성어 순망치한(脣亡齒寒)을 영어로 직역한 어구다. 이는 중국 관료들의 말을 그대로 인용했음을 나타내는 따옴표(“ ”)가 말해준다. 둘째 문장의 bite the hand that feeds it도 ‘먹이를 주는 손을 물다 → 은혜를 원수로 갚다’는 의미가 금방 연상된다. 셋째 문장의 “spoiled child(응석받이)”도 앞의 악동 행위(bad– boy behavior)라는 어구에서 충분히 그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마지막 문장의 that was all prior to(그것은 모두 … 이전에 일어난 일이었다)가 사건의 순서 파악에 혼동을 줄지 모르지만 ‘그 뒤에도 다음과 같은 일들이 있었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쉽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3자녀 이상이면 정년 후 재고용"...삼성전자 노사, 단체협약 잠정 합의

2제시, '팬 폭행 방관 논란' 후 근황... 마닐라서 파격 의상

3CJ올리브영, 방한 관광객 겨냥 ‘다국어 퍼스널 쇼퍼’ 시범 서비스

4'♥김다예' 박수홍, '딸 바보' 될 수밖에 없겠네…"이미 완성형"

5DL이앤씨, 3993억원 규모 ‘연희2구역 공공재개발’ 시공사 선정

6무쏘 신화 이어간다…KGM 안전성 보강한 ‘무쏘 EV’ 사전 계약 개시

7거주자외화예금 21억4000만 달러↑...2개월 연속 증가

8 리플 낙폭 늘려 4% 이상 급락…2.44달러까지 추락

9이창용, ‘BIS 총재회의’ 참석차 남아공行…25일 금통위 직후 출국

실시간 뉴스

1"3자녀 이상이면 정년 후 재고용"...삼성전자 노사, 단체협약 잠정 합의

2제시, '팬 폭행 방관 논란' 후 근황... 마닐라서 파격 의상

3CJ올리브영, 방한 관광객 겨냥 ‘다국어 퍼스널 쇼퍼’ 시범 서비스

4'♥김다예' 박수홍, '딸 바보' 될 수밖에 없겠네…"이미 완성형"

5DL이앤씨, 3993억원 규모 ‘연희2구역 공공재개발’ 시공사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