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함승민 기자의 센터링경제학 ⑤ 양강의 독주 깨는 다크호스의 비결 - 조직력 기르고 차별화 전략 갖춰야
- 함승민 기자의 센터링경제학 ⑤ 양강의 독주 깨는 다크호스의 비결 - 조직력 기르고 차별화 전략 갖춰야

두 팀이 라이벌이 된 데에는 역사적 배경이 깔려있다. 레알은 스페인 카스티야 지방을 연고로 왕족과 관계가 깊은 클럽이다. 이와 달리 바르샤는 카탈루냐 지방 서민층의 지지를 받는다. 정치적으로 쌓인 일종의 지역감정이 경쟁심에 불을 붙인 셈이다. 1980년대 한국 프로야구에서 나타난 양상과 비슷하다. 다만, 이 뿐만이었다면 엘클라시코는 흔한 라이벌전이 됐을 것이다. 그러나 둘의 대결은 전 세계가 주목하는 최고의 빅매치다. 이유는 간단하다. 두 팀이 절대적으로 강하기 때문이다. 엘클라시코의 승자는 리그 전체 우승팀이 될 확률이 높다. 라 리가에 레알과 바르샤의 양강 구도가 워낙 굳건해서다.
엘클라시코의 굳건한 양강 구도

산업계에서도 양강 체제는 쉽게 찾을 수 있다. 대표적인 게 글로벌 스마트폰 기기 시장의 애플과 삼성이다. 국내로 눈을 돌려도 비슷한 사례는 많다.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롯데호텔과 호텔신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롯데쇼핑과 신세계, CJ오쇼핑과 GS홈쇼핑 등은 각 업계를 양분하고 있는 기업이다.
특히 최근에는 그동안 업종별로 1강 또는 3강 체제를 유지해 오던 업종에서도 양강 체제로 전환하는 움직임이 관측된다. 먼저 올해 10월 나온 삼성중공업과 삼성엔지니어링의 합병 추진소식은 ‘조선 빅3’ 체제의 변화를 예고했다. 지난해 조선 업계 빅 3의 연 매출을 살펴보면 현대중공업이 24조2827억원으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중공업 14조7061억원, 대우조선해양 14조800억원으로 2위 경쟁이 치열했다. 하지만 삼성중공업이 삼성엔지니어링(8조2347억원)과 합병하면 매출은 22조9408억원으로 커진다. 다만, 주주의 반대로 두 회사는 11월 19일 합병 계약을 해지했다. 나중에라도 합병의 성사되면 두 회사는 대우를 제치고 현대중공업과 1위 경쟁을 벌일 수 있다.
외환위기 거치며 한국 재계에도 양강 체제 고착

네이버 독주 체제였던 인터넷 포털 업계는 다음과 카카오의 합병법인 ‘다음카카오’가 나서면서 1강에서 양강체제로 바뀐 경우다. 네이버는 PC 기반에서 다수의 경쟁사들을 제치고 현재의 지위에 올랐지만 모바일 환경에서는 카카오의 위력이 만만치 않아 향후 업계 판도가 어떻게 전개될지 관심거리다.
국내 산업계에서 양강 체제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다. 외환위기 당시 D램 사업 구조개편으로 현대반도체가 LG반도체를 인수해 하이닉스반도체(현 SK하이닉스)로 출범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업계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만 생존하고 있다. 또 IT제조업체 중 유일하게 연간 매출 1조원을 넘어서며 승승장구했던 휴대전화 제조업체 팬택은 결국 삼성전자와 LG전자라는 양대 기업과의 규모의 경쟁에서 패배했다. 기업회생절차를 통해 재기를 모색하고 있으나 당장 두 기업과 맞대결을 하기에는 여력이 부족하다.
대우그룹 해체는 여러 업종에서의 양강 체제를 낳았다. 대우전자(현 동부대우전자)는 삼성전자·LG전자와 각축을 벌이다가 그룹 해체로 생존에 몰두하다 경쟁에서 밀려났다. 대우자동차는 GM에 매각돼 외국인 투자기업이 됐다. GM의 대우차 인수로 국내 자동차 산업은 한 지붕 아래에 있는 두 회사(현대차· 기아차)의 경쟁 구도로 바뀌었다.
양강 체제 순기능도 무시 못해
라 리가에서 양강 구도가 오랜 기간 이어지는 것도 비슷한 까닭에서다. 특히 클럽 간 재정적 불균형은 양강 구도를 단단하게 하는 진입장벽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TV중계권 수입이 적당히 분배되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나 이탈리아 세리에A와는 달리 라 리가는 TV 중계권을 팀별로 계약하기 때문에 인기도에 따라 다르게 책정된다. 이로 인해 TV 중계권 수입의 대부분이 레알과 바르샤로 흘러 들어간다. 스페인 언론에 따르면 이들이 받는 TV 중계권료는 연간 1억 4000만 유로(약 1912억원) 정도다. 가장적은 수입을 얻은 라요 바예카노는 1800만 유로(약 245억원)의 중계권료를 얻는 데 그쳤다.
인기가 많은 팀들은 더욱 많은 TV 중계권 수입을 통해 더 좋은 선수를 영입할 자금력을 확보한다. 이와 달리 중소 구단들은 적은 수입으로 선수들의 연봉을 맞춰 주기에 급급한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어쩌다 중소 구단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인 선수가 나타나도 구단이 선수를 잡아두지 못하고 방출을 통해 재정적 어려움을 해소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그렇다고 양강 체제를 무조건 나쁜 시스템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이 체제는 두 강자는 물론 전체에 좋은 영향을 주기도 한다. 우선 레알과 바르샤의 전력은 전 세계 축구 클럽 중 2강이라 칭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강력하고 화려하다. 이는 서로 간의 경쟁의식으로 최고의 위치에서도 팀을 계속 채찍질한 덕이다. 일례로 바르샤의 연속 리그 우승과 2010~2011시즌 챔피언스리그 우승에 자극 받은 레알은 2기 ‘갈락티코(은하수라는 뜻으로 스타 선수를 대거 영입하는 정책)’로 맞섰다. 그 결과는 2011~2012 시즌 리그 우승과 지난 시즌 라데시마(챔피언스리그 10번째 우승)로 이어졌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바르샤도네이마르·수아레즈 같은 스타플레이어 영입에 큰 돈을 투자하며 대응하고 있다. 우리 경제와 비유하자면 양강 기업이 경쟁력을 길러 글로벌 무대에서 선전을 하고 있는 것과 같다.
두 팀의 강세가 나머지 18개 팀 전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리그 안에서야 양강과의 격차가 크지만 발렌시아·세비야·아틀레티코(AT) 마드리드 등은 유로파리그 등 유럽 클럽대항전에서는 좋은 활약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최근 10년 간 스페인 클럽은 5번의 유로파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양강의 틈바구니 안에서 좋은 선수를 팔아야만 하는 재정적 악순환에 적응하고 조금씩 자구책을 내놓기 시작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AT 마드리드는 라 리가에서 양강의 독주를 깨기도 했다. AT 마드리드는 지난 시즌 승점 90으로 바르샤(승점87)를 승점 3점 차이로 따돌리고 리그 1위를 차지했다. 1995~1996시즌 이후 18년 만에 리그 정상에 올랐다. 레알이나 바르샤가 아닌 팀이 리그 우승을 차지한 건 2003~2004시즌 발렌시아 이후 10년 만이다. 챔피언스리그에서도 AC밀란·첼시·바르샤 등 세계 최고 클럽을 침몰시키며 준우승을 달성했다.
AT 마드리드는 대표적인 ‘셀링(선수를 파는) 클럽’이다. 라 리가의 명문 클럽이지만 양강과는 자금력 차이가 크다. 자체 배출한 페르난도 토레스, 디에구 포를란, 세르히오 아게로, 다비드데헤아 등 걸출한 스타들을 부족한 구단 재정을 메우기 위해 거의 해마다 떠나 보내야 했다. 지난해에도 2012~2013시즌 인간계(호날두·메시 제외) 득점왕인 라다멜 팔카오가 프랑스의 AS모나코로 옮겼다.
그러나 AT 마드리드는 셀링 클럽으로 살아남는 법을 터득했다. 유망주를 꾸준히 발굴하는 한편 이적료로 벌어들인 돈으로 적절한 대체선수를 영입해 공백을 메웠다. 그래도 부족한 부분은 조직력으로 메웠다. 레알이나 바르샤처럼 이렇다 할 대형 스타가 없고 가용 선수층도 얇지만 디에고 시메오네 AT 마드리드 감독은 팀을 강하게 결속시켜 다진 조직력으로 강팀 선수들의 개인기에 맞섰다.
수비 전술과 세트피스 공격을 보면 AT 마드리드의 조직력이 돋보인다. AT 마드리드는 개인기가 뛰어난 상대팀 스타플레이어가 공을 잡으면 순식간에 두세 명씩 달라붙는 압박 수비를 펼쳤다. 사실 수비 압박은 몇몇 선수만 달라붙는다고 이뤄지는게 아니다. 팀 전체가 유기적으로 움직여야 효과를 발휘한다. 잘못 펼치는 압박전술은 빈 공간을 만들어 팀 수비에 큰 구멍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AT 마드리드는 잘 짜인 압박수비 전술로 강팀을 무력화시켜 지난 시즌 리그 38경기에서 불과 26골만 내줘 최소 실점을 기록했다.
양강 구도 깬 ‘셀링 클럽’ AT 마드리드
기업이 양강 체제의 산업 구도를 헤쳐나가는 것도 AT 마드리드의 전술과 크게 다를 바 없다. 경영 전문가들은 “양강 체제에서는 선두기업의 지배력이 크기 때문에 후발 기업들은 그만큼 성장의 기회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도 제기되지만, 자신만의 전략을 갖추면 성공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말한다. “인재 유출을 두려워만 말고 잘 갖춰진 채용·훈련 시스템으로 대응한다. 촘촘하게 짜놓은 재무구조 및 리스크 관리 능력으로 위기를 피할 수 있다. 양강이 가질 수 없는 차별화와 창의성을 집중적으로 개발해 잠재시장을 깨워라.” 한국 경제의 여러 업종에서 양강 구도가 고착화되는 지금 많은 기업이 참고할 만한 말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선관위에 '붉은 천' 파묻은 의문의 무리들...경찰 수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