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서명수 전문기자의 은퇴 성공학 - 노후설계 ‘5층 연금탑’을 쌓아라
- 서명수 전문기자의 은퇴 성공학 - 노후설계 ‘5층 연금탑’을 쌓아라

조삼모사(朝三暮四)와 현재가치
배경은 무엇일까. 공무원들의 연금 선택 비율이 높아진 것은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가 있다. 사실 연금 자체는 그렇게 썩 매력적인 대상이 아니다. 받을 돈을 찔끔찔끔 받는 것보다는 나중에야 어찌되든 일시금을 한번에 챙기는 게 더 나을 수 있다. 인간은 미래보다는 눈앞의 이익을 좇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옛날 중국의 ‘조사모사(朝三暮四)’라는 고사는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
춘추전국시대 송나라의 저공이란 사람이 원숭이들을 기르고 있었다. 어느 날 흉년이 들어 먹이가 부족해지자 저공은 원숭이들에게 “앞으론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로 도토리 먹이를 제한하겠다”고 통보했다. 이에 원숭이들은 화를 내며 아침에 3개를 먹고는 배가 고파 못 견딘다고 반발했다. 이에 저공은 아침에 4개, 저녁엔 3개를 주겠다고 수정해 제안하자 그제서야 원숭이들이 좋아했다는 이야기다. 하루에 먹는 도토리는 7개로 총량에는 변함이 없는데도, 아침에 더 먹을 수 있다는 눈 앞의 이익에 이끌려 주인에게 설득 당했다는 조삼모사는 어리석은 사람이나 남을 농락해 사기·협작술에 빠뜨리는 행위를 비유할 때 사용된다.
그런데 과연 원숭이들은 어리석은 짓을 한 것일까. 그렇지 않다. 경제적으로 따지면 사람 못지 않게 똑똑한 동물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똑같은 먹이라도 아침과 저녁은 분명한 차이가 있어서다. 하룻 동안의 이자율을 1%라고 가정하고 두 가지 먹이 주는 방법을 현재가치로 환산해 보자. 우선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를 주는 경우의 현재가치는 (저녁에 먹을 도토리 4개/이자율 1.01)+아침에 먹을 도토리 3개=6.96개다. 이를 아침 4개, 저녁 3개로 바꾼다면 (저녁 3개/이자율 1.01)+아침 4개=6.97개로 현재가치가 0.01개 늘어난다. 전자보다 후자가 더 이익이란 결론이다. 그 차이는 0.01개에 불과하지만 오랜 세월이 쌓이면 무시할 수 없는 크기가 된다. 이 미세한 차이까지 알고 있었던 저공의 원숭이들은 어리석기는커녕 현명한 동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눈 앞의 이익에 대한 변수인 이자율이 달라지면 현재가치는 어떻게 될까. 하룻 동안의 이자율이 0.5%로 떨어질 경우 전자의 현재가치는 6.980개인 반면 후자는 6.985개로 양자의 차이가 0.005개로 줄어든다. 이는 이자율이 하락하면 미래 자산(저녁 도토리)의 가치가 현재 자산(아침 도토리)보다 더 빨리 올라 양자 사이의 차이가 그만큼 좁혀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국민·퇴직·개인연금에 주택연금과 월지급식 상품 얹기

앞으로 연금은 갈수록 귀하신 몸이 될 가능성이 크다. 초저금리 기조는 당분간 바뀌지 않을 것이고, 저성장으로 고용도 불안하기 때문이다. 또 평균 수명 연장으로 장수 시대가 열림에 따라 연금처럼 평생 돈의 흐름이 꾸준히 이어지는 자산이 중요시되고 있다.
은퇴를 준비하는 사람들은 연금 재원을 가급적 많이 만들어 놓아야 한다. 자신의 자산 가운데 어느 정도를 연금화할 수 있는지 고민이 필요하다. 집을 지을 때 층수를 올리는 것은 대지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고층 아파트는 좁은 공간에 많은 가구를 수용해 도시민의 거주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노후자금도 마찬가지다. 요즘 같은 초저금리 상황에선 노후자금을 불리기가 어려워진 만큼 소득 흐름이 마르지 않는 자산의 층수를 높여가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노후설계에서 국민연금은 1층, 퇴직연금은 2층, 개인연금은 3층에 해당한다. 3층 구조는 노후설계의 기본이다. 여기까진 어지간한 사람은 거의 구비해놓고 있다. 그래도 노후 생활비가 모자랄 수 있다. 아파트를 가진 사람은 주택연금으로 4층을 만들 수 있다. 아파트를 금융회사에 맡기고 대출을 받아 쓰는 방식인데, 저금리의 장기화로 인기가 급상승 중이다. 5층 설계 공법도 있다. 월지급식 상품으로 소득 흐름을 창출하는 것이다. 미리 목돈을 넣어두고 매달 일정한 이자를 받거나 월세 수입이 나오는 것으로 일종의 연금 형태다.
월지급식 상품은 일본이 원조다. 1970년대 말 퇴직자가 갑자기 쏟아져 나오자 일본의 금융회사들이 이들을 겨냥해 출시했다. 퇴직자가 퇴직금과 그동안 모은 저축금을 맡기고 용돈을 타듯이 한다고 해서 ‘용돈 펀드’로 불렸다. 우리나라엔 2010년 처음 등장했는데, 최근 소득흐름을 중시하는 분위기를 타고 판매가 늘고 있다는 소식이다. 한때 공급 과잉 우려가 나왔던 오피스텔이 다시 인기를 되찾고 있는 것은 임대 수입이라는 빵빵한 소득 흐름이 있기 때문이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노후 준비 하면 주로 자산의 규모가 관심사였다. 돈이 얼마나 있어야 노후 생활을 편안히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10억원이라는 얘기도 있었고, 3억원이면 충분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돈 규모보다 ‘월 생활비가 얼마나 필요한가’라는 얘기가 오간다. 저금리 시대에 노후생활의 질은 연금화한 자산의 층수를 얼마나 높이 쌓느냐에 달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삼양식품, 주가 130만원도 비싸지 않은 이유[주톡피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결혼' 민아 "정말 뜨거웠다"…예비신랑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속보]SKT “대리점, 영업정지기간 예상 판매 건당 15만원 보상”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금융자산·차입금 정보 깜깜…“공시보고 투자 판단 가능하겠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AI 피부암 재생치료 임상 성공' 로킷헬스케어 ↑…'매각설' 압타머사이언스 ↓[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