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대적 M&A 회오리 휘말린 신일산업 - “기업사냥꾼” vs “경영진 전횡” 주장 팽팽
적대적 M&A 회오리 휘말린 신일산업 - “기업사냥꾼” vs “경영진 전횡” 주장 팽팽

지분율 경쟁에서 경영권 분쟁으로 전선 확대

상당량의 주식을 확보한 황씨는 이어 이사회 장악을 시도했다. 자신과 지인인 L씨 등 3명을 사내이사로, O씨 등 2명을 사외이사로 선임하는 안을 주주총회 안건으로 올려달라며 가처분 신청을 낸 것. 아울러 주주명부·회계장부 열람과 유상증자 철회 등도 요구했다. 황씨 측의 가처분 신청으로 싸움은 지분율 경쟁에서 경영권 분쟁으로 확대됐다. 황씨는 소액주주들에게 의결권 위임도 요청했다. 이에 신일산업은 금융감독원에 황씨 측의 시세조종과 주가조작 조사를 의뢰하는 한편 소액주주의 이탈을 차단하는 데 주력했다.
법원은 황씨의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였다. 3월 28일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는 이사 선임의 건이 새로 상정됐다. 양측이 칼을 맞댄 상황에서 주주들의 판단만이 남은 상황. 결과는 주총 출석 주식비율 64.32% 중 25.54%만이 황씨 측의 손을 들어주며, 안건은 모두 부결됐다. 주주들이 신일산업 경영진의 손을 들어준 것이다. 황씨는 반발하며 법원에 주총 결의안 취소 신청을 내고, 다시 주총을 열어야 한다며 임시주총 소집허가 신청을 냈다. 그러나 법원은 ‘이미 부결된 안건으로 또 다시 임시 주주총회를 소집하는 것은 권리 남용’ 이라며 기각했다. 주총 결의안에 대한 취소 신청도 ‘해당사항 없다’며 각하 결정을 내렸다.
실력행사에서 밀린 황씨 측은 다시 신일산업 주식을 대거 사들이기 시작했다. 4월부터 8월까지 네 차례에 걸쳐 지분율을 18.58%(8월 8일 주권 기준)으로 끌어올렸다. 지분율에서 앞선 황씨 측은 9월 19일 임시주주총회 소집허가신청 결정을 냈고 법원도 이를 받아들였다. 신일산업으로서는 경영권을 고스란히 내주게 될 위기에 몰렸다. 그러나 돌연 법원이 임시주주총회 승인 결정을 번복하며 상황이 뒤바뀌었다. 황씨가 신일산업 주식 취득을 위해 타인으로부터 돈을 빌린 것이기 때문에, 황씨는 명의만을 대여한 형식상 주주에 불과할 뿐 실권주로서 자격이 없다는 것이었다. 그동안 황씨 등은 주식 취득자금의 출처를 사업·근로소득·금융회사 차입으로 공시해 왔다. 법원은 황씨의 경영권 취득 자격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셈이다.
법원 판결로 신일산업의 경영권 분쟁은 잠잠해지는 듯했다. 그러나 황씨의 지인인 윤대중씨가 10월 소액주주 자격으로 임시주주총회 개최를 요청했다. 법원은 이를 받아들였다. 윤대중씨는 천안에 있는 다우에프에이라는 전자부품 도매 업체의 대표이사다. 임시주총 개최 날짜는 12월 1일. 이날 임시주총은 치열한 표 대결을 통해 경영권 분쟁의 종지부를 찍을 것이란 전망에 여론의 관심이 집중됐다. 그러나 양측이 각기 한 호텔의 다른 층에서 주총을 진행하며, 정상적인 표 대결은 이뤄지지 않았다. 황씨 측은 안건을 통과시킨 반면 사측은 모든 안건을 부결시키는 꼴이었다.
황씨 측은 신일산업이 표 대결에서 불리할 것으로 판단해 의도적으로 주총에 참석하지 않았다고 반발하고 있다. 황귀남 노무사는 본지와의 전화통화에서 “보유 중인 주식과 소액주주로부터 위임받은 것까지 합하면 의결권은 53%에 달한다”며 “사측이 표 대결을 해봐야 질 것 같으니 따로 주총을 진행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반면 신일산업 측은 정식으로 안건을 의결하기 위해 참석했으나 황씨 측의 인력 동원 등으로 회의장에 입실조차 못했다고 주장한다. 오영석 신일산업 전무는 “주총을 9시에 열기로 했는데 7시 30분 경에 이미 자리가 꽉 차 있었고 대기표를 뽑는 상황이었다”며 “(황씨 측이) 주주들의 입장을 통제해 우리측 주주는 3~4명밖에 들어가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양측 변호사 입회 하에 진행되는 주주권 개·검표도 못했다”고 설명했다. 양측 모두 20% 안팎의 지분율을 확보했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표 대결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주가조작 vs 분식회계 맞고소
이에 대해 황씨는 “난 일반 개미투자자일 뿐이며, 갖고 있던 돈과 은행·주변에서 빌린 돈으로 주식을 산 것”이라며 “주주로서 경영에 참여하는 것은 상법상 자연스러운 행위”라고 말했다. 황씨 측도 신일산업의 경영진을 상대로 배임횡령과 분식회계 등으로 고발하며 주도권을 놓지 않고 있다. 신일산업 오너가 페이퍼컴퍼니를 만들어 회계조작을 했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신일산업 관계자는 “과거 제조회사와 판매회사를 합하면서 판매 회사 측에 있던 일부 부실과 창고에 있던 노후 장비를 떨어낸 것이 분식으로 비쳐줬을 수 있다”며 “이는 현 경영진 흠집 내기에 불과하며, 모든 것은 검찰 조사에서 소명하겠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