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반기 신차 시장은] 수입차에 밀린 국산차 대반격 예고

이번 여름은 좀 다르다.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7월에 신차를 잇따라 출시하고 나섰다. 이례적인 일이다. 신차 효과를 보기 어려운 시기임에도 신차를 출시하는 이유는 그만큼 국내 자동차 업체가 느끼는 위기감이 커져서다. 무리를 해서라도 내수 점유율을 높여야 하는 상황이다. 총력전에 돌입한 국내 자동차 업체의 움직임은 하반기 내내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 수년간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고성능 디젤 엔진을 앞세운 수입차에 밀려 고전해왔다. 고급 세단에 이어 3000만원대 중형 자동차 시장까지 매 분기 점유율을 잃어왔다. 이와 달리 수입차는 승승장구해왔다. 올 상반기 수입차 판매량은 10만대를 넘어서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나 늘었다. 국내 승용차 시장에서 수입차 비중 역시 15.24%를 기록했다. 국내 완성차 업체의 6월 내수 판매량은 12만1497대로 5월(13만3935대)에 비해 약 9.3% 감소했다.
비수기에도 신차 출시 잇따라

현대차는 7월 2일 중형 세단 쏘나타 1.6 터보와 1.7 디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의 3개 라인업을 추가했고, 기아차는 7월 15일 올 뉴 K5를 시장에 선보였다. 이어 3분기(7~9월) 준중형 세단 아반떼, 4분기(10~12월) 대형 세단 에쿠스 신모델을 연이어 내놓는다. 현대차의 첫 대형 밴 쏠라티의 연내 국내 출시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GM은 더 넥스트 스파크와 수입차인 임팔라의 출시를 앞두고 있다. 하반기에는 트랙스의 디젤 모델도 출시될 전망이다.

40여종의 수입 신차도 들어와

독일 브랜드들은 시장에서의 우위를 다지기 위해 사후서비스(AS) 개선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소비자들이 차의 품질뿐 아니라 사후서비스도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꼽고 있기 때문이다. BMW코리아는 올해 안으로 9개의 AS센터를 늘리기로 했다. AS센터에서 차량을 정비하는 공간인 워크베이도 대폭 확대하고 내년까지 서비스 인력도800명 이상 늘려 AS 질을 끌어올리려고 한다. 벤츠코리아도 올해 11개의 AS센터를 늘리고 워크베이도 220여개 증설하기로 했다. 벤츠코리아는 고객의 성향 등을 분석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이 서비스’도 확대하기로 했다. 아우디코리아와 폴크스바겐 코리아도 서비스센터를 각각 14곳, 5곳 늘리고 서비스 관련 기술인력도 확충했다.
반격을 예고한 국산차와 수성을 준비하는 수입차 간 최대 격전지는 스포츠 및 레저용 차량 분야가 될 전망이다. SUV와 미니밴 판매는 올 상반기 25만대에 육박, 2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1.5배나 늘었다. 시장 점유율도 40%를 돌파했다. 세단과 함께 양대 주력 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한창 떠오르는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국산차와 수입차 업체 간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국산 완성차 업체들에게 SUV 시장은 최후의 보루다. 수입차 업체의 파상공세에 밀리던 중에도 지금껏 지켜낸 곳이 SUV 시장이다. 현대차는 기존 인기 모델인 투싼과 싼타페를 앞세워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상반기 기아차는 쏘렌토와 카니발의 분전으로 한숨을 돌릴 수 있었다. 하반기 기아차는 주력 SUV인 스포티지 풀체인지 모델을 준비했다. 스포티지로 젊은층을 공략하며 점유율을 높여갈 계획이다.
하반기 소형 SUV 시장도 뜨겁다. 쌍용자동차는 돌풍을 이어가고 있는 티볼리 제품군을 다변화해 소형 SUV 시장 공략에 나섰다. 7월 티볼리 디젤 모델을 출시했고, 롱보디 모델도 준비하고 있다. 르노삼성차는 한창 인기를 끌고 있는 QM3를 앞세워 공격적인 판촉에 나섰다. 한국지엠은 하반기에 트랙스 디젤 모델을 출시해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지금은 티볼리와 QM3가 인기지만 트랙스 디젤 버전이 나오면 시장에 변화가 생길 전망이다”고 내다봤다.
수입차 업체들도 시장 공략에 적극적이다. 일단 출시 모델이 다양하다. 포드는 올 하반기에만 SUV 신차 3종을 선보일 예정이다. 포드 익스플로러 부분변경 모델, 신형 링컨 MKX, 유럽형 소형 디젤 SUV 쿠가가 주인공이다. 소형부터 대형 및 프리미엄 브랜드를 아우르는 SUV 라인업을 갖춘다. 재규어는 첫 준중형 세단 XE로 엔트리급 차량에 출사표를 던졌다. 지프는 첫 소형 SUV 레니게이드를 하반기에 출시한다. 이 모델은 우수한 오프로드 성능과 최신 9단 자동변속기가 강점이다. 이외에 렉서스 신형 RX,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스포트 SVR409 등도 국내 소비자의 눈길을 끌 전망이다.
법인 차량 세제 혜택 줄어들 가능성

탈세논란이 일며 공정한 법 적용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자 국회에 관련 법안이 올라왔다. 김동철 의원은 최근 법인이 구입·리스·렌트한 업무용 차량에 대해 법인세법상 필요경비 인정액(손금산입)을 3000만원 한도로 제한하는 내용의 ‘법인세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수입차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고가 수입차의 판매 감소가 점쳐진다. 지난해 대당 2억원이 넘는 수입차의 법인 구매 비중은 87.4%에 달했다. 1억원대로 범위를 넓혀도 법인 구매 비율은 83.2%에 이른다. 10대 중 8~9대가 법인에 팔리고 있는 것이다. 법인 구매 비율이 100%인 모델도 수두룩했다. 지난해 5대 판매된 롤스로이스 팬텀은 모두 구매자가 법인이었다. 롤스로이스·벤틀리·포르쉐 같은 수퍼카뿐만 아니라 벤츠·BMW·아우디·재규어 등 프리미엄군 차량도 법인소유 비율이 높았다.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업무용 차량에 대한 세제 제한 법안이 통과되면 고가 모델이 많은 브랜드가 타격을 입을것”이라면서 “관련 법안의 진행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 조용탁 기자 cho.youngtag@joins.com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中, 美 입항료 부과 결정에 "필요한 조처할 것" 보복 시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