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홈플러스 인수한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또 과감한 베팅 노사 갈등 변수
- [홈플러스 인수한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또 과감한 베팅 노사 갈등 변수

MBK는 2005년 설립된 국내 최대 규모의 PEF 운용사다. 통상 PEF 운용사는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매물로 나온 기업을 인수한 다음, 구조조정 등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인 뒤 재매각하거나 증권시장에 상장해 수익을 올린다. 이런 면에서 설립 이후 MBK의 행보는 국내 PEF 운용사 가운데 독보적이었다는 평가다. 인수했던 알짜 기업 한미캐피탈과 금호렌터카를 각각 2007년과 2012년 되팔아 짭짤한 수익을 올렸는가 하면, 2013년에는 이렇게 축적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웅진그룹 내 탄탄한 계열사였던 코웨이를 2조원가량에 인수해 기업 가치를 높였다. 코웨이의 영업이익률은 2012년 11.3%에서 지난해 16.8%로 높아졌다. 이를 바탕으로 MBK는 최근 코웨이를 시장에 다시 매물로 내놨다. 그 사이 일본과 중국, 대만 등지에서도 ‘큰 손’으로 급부상했다.
이렇듯 잘나가는 MBK의 전면에는 잘나가는 경영인이 있다. 10년 전 회사를 설립한 김병주(51) 회장이다. 김 회장은 고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넷째 사위다. 1963년 경남 진해에서 태어나 10세 때 미국으로 유학했다. 하버드대 칼리지를 거쳐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석사(MBA) 과정을 마친 후 살로먼스미스바니(현 씨티그룹)·골드먼삭스 등에서 근무했다. 이후 미국의 글로벌 PEF 운용사인 칼라일그룹의 아시아 담당 회장으로 일했다. 이런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2005년 MBK를 설립하면서 국내 PEF 시장에 경영인으로 직접 뛰어들었다. 회사명 자체가 김 회장 본인의 영문 이름(Michael Byung ju Kim)에서 따왔을 정도로 자기 사업에 애착을 가졌다.
일본과 중국 등지에서도 ‘큰 손’

때론 ‘무리한 투자’라는 비판도 따랐지만 김 회장은 주저하지 않았다. 지난해 ING생명 인수에서도 과단성이 돋보였다. 2013년 코웨이와 네파, 고메다(일본) 등을 인수해 ING생명을 살 여력이 없을 것이란 시장의 분석을 비웃듯 1조8400억원을 베팅해 결국 인수에 성공했다. ING생명이나 코웨이 역시 지금까지 샀던 다른 기업들이 그랬듯 MBK에 막대한 수익을 안겨줄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이지만, 그간의 공격적 행보는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지고 있다.
MBK가 보유한 지 1년 3개월 만에 되판 한미캐피탈은 1억7320만 달러에 인수했다가 5억6010만 달러에 매각해 투자 자본 회수율이 453.5%에 달했다. 2년 1개월여를 보유했던 갈라 TV(대만)도 310.4%, 3년 3개월간 보유했던 차이나네트워크시스템스도 290.8%의 투자 자본 회수율을 기록할 만큼 성공한 투자였다. MBK가 운영 중인 3개의 펀드 중 모두 18억 달러를 투자한 1호와 2호 펀드에서는 올 상반기까지 30억 달러를 회수해 투자 자본 회수율이 70%였다.
MBK는 서울 외에도 일본 도쿄와 중국 상하이, 홍콩 등지에 사무소를 두고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국제 감각이 뛰어나다는 김 회장의 강점은 MBK의 강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투자은행(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해외 투자자들은 한국의 지정학적 리스크나 정부 규제를 투자의 장애물로 여겨 꺼리는 경우가 많은데 MBK는 중간에서 이들 투자자들에게 전문성을 갖고 어필하는 전략으로 이를 극복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홈플러스 인수에서도 김 회장의 국제 감각이 빛났다는 분석이다. 인수 경쟁 상대였던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컨소시엄이 자금 증빙 자료를 제출하지 못하면서 고배를 마시는 사이 MBK는 400조원이 넘는 자금을 운용하는 국내 최대 기관투자자인 국민연금기금을 비롯해 싱가포르의 테마섹 등 해외 연기금들로부터도 투자를 받는 데 성공한 것이다. 지난 2009년 오비맥주 인수전 당시 KKR에 졌던 것을 깔끔히 설욕했다.
IB 업계 다른 관계자는 “MBK의 홈플러스 인수전 승리는 김 회장이 보유한 네트워크의 승리라고도 할 만하다”며 “김 회장은 홍콩 등지로 직접 건너가 투자자들을 설득하는 데 나설 만큼 집중력을 보였다”고 평했다. 특히 이번처럼 초대형 M&A의 경우 국내 금융회사들은 인수전에 뛰어드는 것조차 쉽지가 않은데, 설립된 지 10년 밖에 안 된 MBK가 국내외 유수의 연기금들로부터 출자를 받은 것은 이례적이었다는 분석이다. 그만큼 시장의 신뢰를 얻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홈플러스 인수로 MBK는 보유한 국내 기업 자산만 38조원 규모에 달하는 거대한 기업이 됐다. ING생명(25조5600억원)·홈플러스(6조6300억원)·HK저축은행(2조1700억원)·코웨이(1조6200억원)·씨앤엠(1조1550억원) 등 7개 국내 회사의 연매출만 지난해 말 기준 총 16조1500억원에 달한다. MBK의 덩치는 자산 보유액 기준 국내 재계 서열 11위에 해당한다. 공정거래위원회 집계상 올 4월 기준 국내 대기업집단 자산 보유액 서열 11위인 KT(34조5000억원)를 제쳤다. 이와 함께 KKR등 세계적인 PEF와의 경쟁에서 이들을 제치고 홈플러스를 인수해 글로벌 시장에서 MBK의 인지도도 그만큼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보유 기업 연매출 16조대
- 이창균 기자 lee.changkyun@joins.com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31세에 감격의 英 데뷔…‘韓 국대’ 이명재, 백승호와 첫 호흡→2개월 기다림 끝 첫선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강원래와 이혼 잘했다” 악플에 김송 분노 “욕도 아까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의 국민소득 '5만불'..10년 전 경제연 예측 왜 틀렸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