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죽은 사람들은 끊임없이 말한다”

“죽은 사람들은 끊임없이 말한다”

말론 제임스는 ‘일곱 가지 살인에 대한 간략한 역사’로 2015년 맨부커상을 받았다.
 HOW THE PLOT TO KILL BOB MARLEY WON THE BOOKER


Marlon James’s A Brief History of Seven Killings reveals the deep emotional scars of the Caribbean.Understanding exactly what sort of “animal” Jamaica is lies at the heart of Marlon James’s Booker-winning novel A Brief History of Seven Killings. Like Middle Passage by V.S. Naipaul, James’s book is a whirlwind of different voices, intertwining and separating as the novel proceeds. Yet unlike Middle Passage there is no artful attempt to spare the darkness of what was once the heart of the slave trade.

Ostensibly A Brief History of Seven Killings is about the failed assassination of Bob Marley, immediately before a peace concert organized by the socialist People’s National Party (PNP) in 1976. Marley was wounded but went on to play the concert. He left straight afterward and did not return to Jamaica for two years. The gunmen were never brought to justice and their identities remain a mystery.

The fog of uncertainty surrounding these events has elevated them to mythical status. James takes the few facts that are known and runs with them, as any novelist worth his salt would. We have seven assassins, perhaps drawing on Kurosawa’s Seven Samurai (1954); but in James’s tale these guys are certainly not on the side of the angels. The novel follows their fictional deaths over the coming years, a gruesome catalogue of violence fuelled by cocaine and guns, with the truly demonic Josey Wales at its center.

The novel has a formidable cast list of 75 characters. Although some have only walk-on parts, a large number speak to us directly, forming a bewildering collage of voice. Pretty much all of them are fictional although some, such as the journalist Alex Pierce, are based on actual people. Perhaps the most interesting is that of Sir Arthur Jennings, a murdered Jamaican politician, again fictional, who becomes a sort of one-man Greek chorus narrating from the grave. As he says right at the beginning of the novel, “dead people never stop talking.”

It is through these different voices that we get the garbled, fractured fates of the gunmen. But we also get much more. Slowly we begin to see the murky involvement of the CIA, desperate to prize Jamaica away from its growing infatuation with communist Cuba. As Papa-lo, the don of Copenhagen City, implores fruitlessly, “save order from chaos.” Yet if there’s a message in James’s tale, it’s that the scars of slavery and op pression run deep. And with such a heart of darkness, chaos will never be far away.

The success of James’s novel ultimately rests with the strength of these voices. The Jamaican characters are particularly compelling. Less successful are the middle-class Americans, the journalist Alex Pierce and the CIA chief, Barry Diflorio.

Yet the ambition of the novel can’t be denied. James in his acknowledgements cites the importance of William Faulkner’s As I Lay Dying (1930). Like Faulkner, James uses the full range of first-person trickery, including long single-sentence stream of consciousness and even a poem.

Yet, famously, even Faulkner had to switch to third person right at the end of The Sound and the Fury(1929) to bring the story together. James’s novel doesn’t do this but it does suffer from the weaknesses of his enforced solipsism in other ways, the need for artificial summary, for example, and the crowbarring in of historical context. As a consequence A Brief History of Seven Killings has a curiously old-fashioned feel to it, a return to the experimentalism of the early 20th century. Recent novels such as Will Self’s Umbrella (2012) and David Peace’s Red or Dead (2013) have shown how the great Modernist project can be pushed forwards in new and exciting ways.

This is not to say that what James is doing isn’t exciting and important in its own way. It’s rather that the experimental part of the novel is less the bravura of its form and more the forensic exposition of its subject, the deep emotional scars of the Caribbean.
 “죽은 사람들은 끊임없이 말한다”


2015 맨부커상 수상한 말론 제임스의 소설은 카리브해의 깊은 상처를 그렸지만 예술적 기교 부족해자메이카 출신 작가 말론 제임스의 ‘일곱 가지 살인에 대한 간략한 역사’(이하 ‘일곱 가지 살인’)가 2015 맨부커상을 수상했다. 자메이카가 어떤 종류의 ‘동물’인지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다. V S 나이폴의 여행기 ‘대서양 중간항로’처럼 제임스의 작품에서도 여러 사람의 목소리가 한데 얽혔다 흩어졌다 하면서 소용돌이친다. 하지만 나이폴의 작품과 달리 이 책은 한때 노예무역의 중심이었던 카리브해 지역의 어둠을 교묘하게 감추려 하지 않는다.

‘일곱 가지 살인’에서는 표면상 레게 음악의 전설 밥 말리의 암살 미수 사건을 소재로 했다. 이 사건은 1976년 자메이카에서 사회주의정당 PNP가 주최하는 평화 콘서트가 열리기 직전에 일어났다. 말리는 부상을 입었지만 콘서트에서 노래했다. 그리고 콘서트가 끝나자마자 자메이카를 떠나 2년 동안 돌아가지 않았다. 범인들은 재판에 회부되지 않았으며 신분조차 밝혀지지 않았다.



등장인물 75명 중 실존 인물도 있어이 사건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그들을 신화적 위치로 끌어올렸다. 제임스는 알려진 몇 가지 사실을 토대로 유능한 소설가답게 이야기를 발전시켜 나갔다. 7명의 암살범이 등장하는데 구로자와 아키라 감독의 ‘7인의 사무라이’(1954)에서 영감을 얻은 듯하다. 하지만 제임스의 소설에서 이 암살범들은 정의의 편에 서 있지 않다. 소설은 그 후 몇 년 동안 이들의 죽음을 추적한다. 마약과 총기, 폭력으로 얼룩진 섬뜩한 이야기다. 그 중심에 악마 같은 조시 웨일즈가 있다.

이 소설은 등장인물이 75명이나 된다. 일부는 단역이지만 상당수가 독자에게 직접 말하며 여러 목소리가 합쳐져 갈피를 못 잡게 만든다. 이들 대다수가 허구의 캐릭터지만 저널리스트 알렉스 피어스 등 일부는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했다. 가장 흥미로운 인물은 아서 제닝스 경일 듯하다. 살해된 자메이카 정치인(허구)으로 마치 그리스 연극의 1인 코러스처럼 무덤 속에서 해설을 한다. 소설 첫머리에서 그가 말하듯이 “죽은 사람들은 끊임없이 말한다.”

우리는 이 여러 목소리들을 통해 암살범들의 균열된 운명을 알게 된다. 그뿐이 아니다. 자메이카를 공산주의 쿠바로부터 떼어놓으려는 미 중앙정보국(CIA)의 수상쩍은 개입이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한다. 코펜하겐 시티(킹스턴의 빈민가)의 갱단 두목 파파-로가 “혼란에서 벗어나 질서를 회복하라”고 외치지만 소용없다. 제임스의 소설이 주는 메시지는 자메이카에 노예제도와 억압의 상처가 깊으며 그런 어둠의 심연에는 늘 혼란이 따른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목소리들의 힘이 제임스의 소설을 성공으로 이끌었다. 자메이카인 캐릭터들은 특히 설득력이 있다. 미국인 중산층 캐릭터들과 저널리스트 알렉스 피어스, CIA 국장 배리 디플로리오 등은 그다지 공감이 가지 않는다.



의식의 흐름을 따른 단문의 나열하지만 이 소설에서는 분명한 야심이 느껴진다. 제임스는 책에 실린 ‘감사의 글’에서 윌리엄 포크너의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 (1930)가 이 소설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말한다. 포크너처럼 제임스도 1인칭 시점을 이용한다. 의식의 흐름을 따른 단문의 나열이 주류를 이루고 시까지 등장한다.

포크너는 ‘음향과 분노’(1929)의 막바지에 가서 이야기를 정리하기 위해 3인칭 시점으로 전환하지만 제임스는 끝까지 1인칭 시점을 고수한다. 그러나 제임스의 소설에서는 인위적인 요약의 필요성이나 역사적 맥락의 왜곡 등 독지론(실재하는 것은 자아뿐이고 다른 모든 것은 자아의 관념이거나 현상에 지나지 않는다는 입장)의 약점이 드러난다. 이렇게 해서 ‘일곱 가지 살인’에서는 구식이라는 인상을 준다. 20세기 초 실험주의로 돌아간 듯한 느낌이다. 윌 셀프의 ‘우산’(2012)과 데이비드 피스의 ‘레드 오어 데드’(2013) 같은 최근 소설들은 모더니즘 소설이 어떻게 새롭고 흥미진진한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는지를 보여줬다.

제임스의 방식이 나름대로 흥미롭거나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아니다. 다만 이 소설은 실험적인 부분에서 카리브해의 깊은 정신적 상처라는 주제를 법의학적으로 설명해 예술적 기교가 떨어지는 느낌을 준다.

- SPENCER JORDAN NEWSWEEK 기자 / 번역 정경희



[ 필자 스펜서 조던은 영국 노팅엄대학 문예창작과 부학과장이다. 이 기사는 온라인 매체 ‘컨버세이션’에 먼저 실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러 "북러,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준비 중"

2불붙는 통상분쟁…‘中전기차 관세’ vs ‘EU산 돼지고기 반덤핑’

3구미시, 전국 최초 '일자리 편의점' 문 연다..."일‧가정 양립 선도모델 기대"

4"올 여름 고아라해변에서 특별한 휴가 어때요?" 경주 척사항, 어촌뉴딜 300사업 마무리

5TK신공항 첨단산단에 국내 최초 'SMR' 건설... "경제성 확보는 과제"

6김정숙 여사, ‘인도 방문 의혹 제기’ 배현진 고소

7서울아산병원 교수들, 7월 4일부터 일주일 휴진…“정책 따라 연장 결정”

8푸틴, 24년 만에 방북한다…18~19일 국빈 방문

9 러 “푸틴, 18∼19일 북한 방문”<타스>

실시간 뉴스

1 러 "북러,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준비 중"

2불붙는 통상분쟁…‘中전기차 관세’ vs ‘EU산 돼지고기 반덤핑’

3구미시, 전국 최초 '일자리 편의점' 문 연다..."일‧가정 양립 선도모델 기대"

4"올 여름 고아라해변에서 특별한 휴가 어때요?" 경주 척사항, 어촌뉴딜 300사업 마무리

5TK신공항 첨단산단에 국내 최초 'SMR' 건설... "경제성 확보는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