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 “히틀러의 ‘나의 투쟁’ 고교에서 가르쳐야”

Germany - ‘MEIN KAMPF’ SHOULD BE TAUGHT

The rights to the book, which has been out of print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have been held by the German state of Bavaria for 70 years. The Bavarian government has refused to allow reprints, but the copyright expires at the end of 2015. Munich’s Institute of Contemporary History will publish an annotated edition called “Hitler, Mein Kampf: A Critical Edition” in January. The book will include historical commentary to the hatefilled text in some 3,500 annotations. But German authorities will still prosecute publishers who reprint unedited versions of the text on grounds of “inciting racial hatred.”
The teachers’ association wants to add certain passages of the book to be taught to students over 16. Studying it in a classroom environment is a must, said the group’s head, Josef Kraus, because young people are attracted to forbidden texts.
The German political party Social Democrats applauded the move. “‘Mein Kampf’ is a terrible and monstrous book,” Ernst Dieter Rossmann, the educational policy spokesperson for the party, said. “To historically unmask this anti-Semitic, dehumanizing polemical pamphlet and to explain the propaganda mechanism through appropriately qualified teachers is a task of modern education.”
But not everyone thought it was a good idea. One German Jewish community leader, Charlotte Knobloch, said that it would be irresponsible to present students with a “profoundly anti-Jewish diatribe.”
— ISMAT SARAH MANGLA
독일 - “히틀러의 ‘나의 투쟁’ 고교에서 가르쳐야”
‘나의 투쟁’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나치가 패망한 이래 절판된 뒤 저작권이 바이에른주로 넘어갔다. 바이에른 주정부는 지난 70년 동안 이 책의 재출간을 거부했지만 저작권이 2015년 말로 만료됐다. 뮌헨현대사연구소는 2016년 1월 주석을 단 ‘히틀러, 나의 투쟁: 비판본’을 발행한다. 약 3500항목의 주석에는 이 증오로 가득찬 내용에 대한 역사적 논평이 포함된다. 그러나 독일 당국은 이 책의 편집되지 않은 원본을 재출간하는 출판사는 ‘인종 증오를 조장한다’는 이유로 기소할 계획이다.
독일교사협회는 이 책의 특정 부분을 발췌해 16세 이상 학생에게 가르칠 수 있기를 원한다. 요세프 크라우스 대표는 젊은이들이 금서에 유혹되기 쉽다는 점을 감안해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독일 사민당은 이런 제안을 환영했다. 에른스트 로스만 교육정책 대변인은 “’나의 투쟁’은 끔찍하고 괴물 같은 책”이라며 “인간성을 말살시키는 이런 논란 많은 반유대주의 선언문의 허구성을 역사적으로 밝히고 적절한 자격을 갖춘 교사를 통해 그런 터무니없는 선전을 올바로 설명하는 것이 현대 교육의 의무”라고 말했다.
그러나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독일 유대인공동체의 샤를로테 크노블로흐 대표는 “심히 반(反)유대주의적 책자를 학생에게 가르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반대했다.
- ISMAT SARAH MANGLA IBTIMES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정청래, 민주당 신임 당대표에…"내란세력 뿌리 뽑아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월드컵 중요"…손흥민 마음 속 새 팀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진성준 "코스피 안 망한다"…'대주주 기준 상향' 반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IPO 실패시 회수 어떻게?…구다이글로벌 CB 투자 딜레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구독하면 200만원 주식 선물', 팜이데일리 8월 행사 시작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