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한국의 미래 신산업③ 자율주행차] 2020년 차가 알아서 달린다
- [한국의 미래 신산업③ 자율주행차] 2020년 차가 알아서 달린다

인공지능·빅데이터·센서 기술 축적해야

미국 시장조사업체 IHS는 본격적인 자율주행차가 2020년께 등장해 2035년엔 1180만 대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했다. 새로 팔리는 차량 10대 중 1대다. 변화의 선구자들은 완성차 쪽이 아닌 정보기술(IT)에 포진해 있다. 구글은 이미 지난 5년 간 다양한 도로에서 180만km 가량의 시험 주행을 마쳤다. 이를 통해 축적한 정보는 자율차 경쟁력을 좌우하는 ‘빅 데이터’가 됐다. 데이터가 많을수록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의 학습 능력을 키울 수 있고, 돌발변수에 그만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중국 검색 업체 바이두(百度)도 지난해 12월 BMW를 개조한 자율주행차로 베이징 시내를 30km 달려 파란을 일으켰다. 속도 조절, 추월, 유턴 등을 고루 선보여 화제였다.
구글·도요타 등은 완성차 출시 시계를 ‘2020년’에 맞췄다. 이와 달리 현대차그룹은 2조원을 투입해 2030년까지 ‘완전 자율 주행차’를 상용화할 전략이다. 그나마도 걸림돌이 한둘이 아니다. 임태원 현대차 중앙연구소장은 “인공지능·빅데이터·센서 같은 기반 기술의 국산화를 위해 연구·개발(R&D) 전문 인력을 키우고 지원을 더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정단 전자 통신연구원(ETRI) 자동차인프라협력 연구실장은 “자율주행 차용 인공지능이 중요한데 IT와 자동차 산업을 잇는 인력이 부족하다”며 융합형 인력 양성을 주문했다.
유럽 완성차 업체들도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현재 벤츠는 ‘Car-to-X’ 커뮤니케이션이란 기술을 통해 차량 부근에 없는 사물까지 포착하는 차를 개발 중이다. BMW는 유럽의 복잡한 국경·톨게이트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자율주행차를 조속히 내놓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안전기술에서 선두를 달려온 볼보는 내년까지 일반 도로에서 ‘자율주행차 100대’를 달리게 하는 프로젝트에 나섰다.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상식을 깨는 합종연횡까지 일어난다. 경쟁 관계인 벤츠·BMW·아우디가 지난해 12월 초 노키아 계열사인 지도 서비스 회사 ‘히어(Here)’를 공동으로 인수했다. 3조3000억원이란 거금을 투입했다. 막강한 ‘구글맵’을 겨냥한 대항마였다. 정밀 지도와 이를 통한 주행 시험 자료(빅데이터)를 얻기 위해 ‘적과의 동침’도 불사한 것이다. 하랄드 크루거 BMW 회장은 “히어를 개방형 플랫폼으로 만들어 더 많은 파트너가 참여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 분류에 따르면 국내 기술 수준은 자율주행의 ‘2~3단계’ 정도에 왔다[그래픽 참조]. 차량이 제한적 자율운행을 할 수 있지만 비상시엔 운전자가 끼어 들어야 한다. 숱한 돌발 변수가 일어날 수 있는 실제 도로에서 운전자 개입 없이 달리는 ‘완전 자율주행차’를 내놓는 ‘4단계’에 선착하는 게 관건이다. 물론 구글·바이두·벤츠 등도 여기까지 도달하진 못했다. 하지만 정부 허가를 등에 업은 풍부한 시험주행 자료와 자금력·인력을 앞세워 갈수록 차이를 벌리고 있다.
한국이 주도권을 쥐려면 무엇보다 정부가 과감하게 ‘주행시험’ 규제를 더 완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많다. 누가 더 많은 주행 데이터를 빨리 확보하느냐에 따라 자율주행차의 안전성이 그만큼 높아지기 때문이다. 규제 완화 요구가 빗발치면서 일단 국토교통부는 경부고속도로 수도권 일부 구간(41km)과 수원·화성·용인 등 5개 국도(320km)에서 자율주행 시험을 허용키로 했다. 하지만 서승우 서울대 교수는 “구글처럼 시내에서 주행할 방법이 없어 고민”이라고 토로했다. 복잡한 도심에서도 시험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놔야 한다는 얘기다.

정부가 과감하게 투자 나설 필요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2월 현대차·LG전자·네이버·KT 등 6개 기업을 모아 놓고 ‘자율주행차 기술 융합’을 위한 연합체를 발족했다. 그러나 벤처·학계 등으로 외연을 확장하는 게 숙제다. 문희창 언맨드솔루션 대표는 “강소기업들이 좋은 기술을 보유해도 독자적인 ‘자율주행 상용차’ 제작은 쉽지 않다”며 “입장 차이가 커 외국처럼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서로 기술 협력을 하기가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 김준술·임지수 기자 jsool@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선관위에 '붉은 천' 파묻은 의문의 무리들...경찰 수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