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재계 등기 임원 2015년 연봉 살펴보니] 권오현 부회장 150억원 받아 ‘연봉킹’
- [재계 등기 임원 2015년 연봉 살펴보니] 권오현 부회장 150억원 받아 ‘연봉킹’

실적 따라 희비 엇갈려

오너 일가 중에선 현대차그룹 정몽구 회장의 보수가 9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는 지난해 등기 임원 가운데 가장 많은 총 215억원가량을 받았다. 한진그룹 조양호 회장이 64억5600원,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은 58억원, LG그룹 구본무 회장이 53억4800만원을 받았다. 고 최종건 SK그룹 창업주의 딸 최혜원 씨와 결혼한 박장석 전 SKC 부회장은 지난해 등기이사에서 사퇴하면서 퇴직급여를 포함해 총 48억6500만원을 받았다. 이밖에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 48억1000만원, 정몽원 한라그룹 회장 46억6000만원,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45억3200만원, 조석래 효성그룹 회장 44억800만원, 구자용 E1 회장 41억2400만원,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 40억7700만원, 허창수 GS 회장 37억9900만원,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이 35억7400만원을 각각 받았다.
재계 3위 SK그룹을 이끄는 최태원 회장은 지난 3월 18일 등 기이사에 복귀해 지난해 보수 공개 대상이 아니다. 삼성그룹 오너 일가 가운데 유일하게 연봉이 공개된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은 20억3100만원을,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현대차·모비스에서 총 24억6600만원을 받았다.
김승연·이재용·정용진 등은 미등기 임원
등기 임원이 아니어서 연봉 공개에서 제외된 오너도 적지 않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등은 미등기 임원이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박문덕 하이트진로회장, 담철곤 오리온 회장 등은 2013년 관련법 개정 이후 등기 임원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3월 초 법이 개정되면서 2018년부턴 ‘등기·미등기 임원’을 가리지 않고 상위 5명의 보수를 공개해야 한다.
등기 임원을 제외한 직원들의 연봉은 얼마나 될까. 지난해 평균 연봉을 많이 받은 곳은 카카오였다. 3월 30일 카카오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직원(등기이사 제외)들의 평균 연봉은 1억3248만원이었다. 이는 2014년 다음과 카카오가 합병하면서 스톡옵션을 받은 직원들이 지난해 이를 일부 행사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포털 업종인 네이버의 지난해 평균 연봉은 6802만원이었다.
직원 평균 연봉 1위는 카카오 1억3248만원
지난해 호실적을 거둔 정유업종 직원도 보수가 두둑했다. GS칼텍스 9986만원, 에쓰오일 9447만원, 현대오일뱅크 8900만원 등이다. 이밖에 SK텔레콤(1억100만원)·기아차(9700만원)·현대차(9600만원)·SK하이닉스(9060만원)·현대모비스(9000만원)·현대제철(8500만원)·현대로템(8500만원)·SK이노베이션(7600만원) 등 국내 대표 그룹에 속한 기업의 연봉이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 손해용·문희철·이현택 기자 sohn.yong@joongang.co.kr
[박스기사] 금융권 경영진 2015 보수는 김병헌(KB손해보험) 전 사장 33억원으로 1위
금융권에선 지난해 좋은 실적을 낸 증권사 최고경영자(CEO)들의 보수가 많았다. 최희문 메리츠종금증권 사장은 27억6338만원을 받았다. 메리츠화재 사장으로 옮긴 김용범 전 사장도 17억2716만원(퇴직금 5억565만원 포함)을 수령했다.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의 연봉은 17억2549만원이었다. 대신증권 오너인 이어룡 회장은 24억 9000만원, 이 회장의 아들인 양홍석 사장은 10억5100만원을 각각 받았다. 정상기 미래에셋자산운용 사장은 13억2300만원, 윤용암 삼성증권 사장은 12억4900만원을 각각 받았다.
금융지주와 은행권에선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12억3600만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장을 겸임하고 있는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은 금융지주와 은행의 연봉이 각각 5억원이 안 돼 공시 대상에 오르지 않았다. KB금융 관계자는 “윤 회장은 퇴임(2017년 11월) 이후 경영 성과를 평가해 따로 스톡그랜트를 받도록 계약돼 있다”며 “스톡그랜트는 지주에서만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3대 금융지주 회장은 지난해 9월부터 공동으로 월급의 30%를 반납하고 있다.
은행장 보수는 김한조 전 외환은행장(하나금융나눔재단 이사장)이 6억8900만원, 김병호 전 하나은행장(하나금융 부회장) 6억6800만원, 조용병 신한은행장 6억3100만원, 이광구 우리은행장 5억4800만원이었다. 외국계 은행의 경우 박진회 씨티은행장이 5억4100만원, 박종복 SC은행장이 5억2000만원을 받았다.
보험업계에서는 삼성그룹 금융계열사 CEO의 보수가 높았다. 삼성생명 김창수 사장은 17억3200만원, 최신형 부사장은 11억5000만원을 각각 받았다. 삼성화재 안민수 사장의 보수는 16억2100만원, 전용배 부사장은 14억4900만원으로 공시됐다. 구한서 동양생명 대표는 13억3000만원을 받았다.
금융회사 오너 중에선 현대해상 정몽윤 회장이 15억9000만원, 교보생명 신창재 회장이 9억100만원을 각각 받았다. 역시 오너인 유진투자증권 유창수 부회장(10억4000만원)과 KTB투자증권 권성문 회장(10억3500만원)도 10억원 넘게 수령했다. 현대차그룹 정몽구 회장의 사위인 현대카드·커머셜 정태영 부회장의 보수는 25억3400만원(카드 17억4100만원, 커머셜 7억9300만원)이었다.
- 강병철·한애란 기자 bonger@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정보사는 있고 777엔 없는 노상원…역대 지휘관 사진 '들쭉날쭉'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미주, 송범근 언급… “작년에 만난 남자? 지금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척이 네척 되는 ‘K-조선’ 마법, 한화 필리조선소서 통했다[르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합법 탈 쓴 편법”…롯데렌탈 유상증자 둘러싼 논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특허 등록도 안 됐는데 계약 체결?...인투셀·에이비엘바이오의 민낯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