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차병원그룹의 사랑의 메신저 운동] 차병원그룹, 해외 심장병 환우에게 새 생명을
- [차병원그룹의 사랑의 메신저 운동] 차병원그룹, 해외 심장병 환우에게 새 생명을

이번 수술 진행을 위해 분당차병원 흉부외과 이건 교수는 지난 5월 24일부터 28일까지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 지역을 방문해 30여 명의 심장질환자를 검진했다. 이 중에서 선천성 심장병을 앓고 있어 수술이 꼭 필요하지만 형편이 어려워 수술을 받지 못하고 있는 고려인 2명과 우즈베키스탄인 2명을 선정했다. 환아 나이는 2세부터 12세까지의 어린이다. 수술 대상 환아들은 지난 7월 26일 입국 후 분당차병원에 입원해 수술 전 정밀검사를 받았다. 이후 28일부터 29일까지 이틀에 걸쳐 이건 교수의 집도 아래 심장병 수술을 진행했다. 수술을 마친 4명의 어린이는 곧 건강을 회복해 8월 5일 출국했다. 이번 무료 심장병 수술 사업은 분당차병원과 한국청년회의소의 공동 주최로 이뤄졌다. 차광렬 총괄 회장은 “성공적으로 치료가 끝난 후 환하게 웃는 아이들을 볼 때마다 큰 보람을 느낀다”며 “난치병을 앓고 있는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자 시작한 일이고, 앞으로도 더 많은 아이들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관심을 갖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차광렬 총괄회장은 난치병 정복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도전하면서 난치병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 지난 20여 년 동안 185명에게 새 생명을 전달한 사랑의 메신저 운동 역시 난치병 치료에 대한 차광렬 총괄회장의 각별한 사랑과 헌신이 담긴 결실이다.
차병원그룹은 글로벌 시대에 발맞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거주 환자도 적극적으로 치료해 국제사회 공헌에도 앞장서고 있다. 지난 1998년 국내 진료를 시작으로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중국 옌볜 동포를, 2007년부터는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을 대상으로 해외 의료 취약지역 동포들에게 사랑의 메신저 운동을 펼쳐나가고 있다.
차병원그룹은 병을 치료하는 의료인 양성뿐 아니라 난치병 치료의 핵심인 세포치료와 줄기세포 연구 및 투자에도 지속적인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덕분에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꾸준히 낼 수 있었다. 차광렬 총괄회장은 1998년 320억원의 기부를 시작으로 2011년에는 줄기세포 연구를 위해 100억원을 연구비로 쾌척했다. 이어 2015년에는 의사와 환자, 치료제 개발회사가 주축이 되어 진행한 난치병 극복을 위한 공동 모색의 장인 ‘난치병 극복을 위한 아름다운 동행’ 행사에 10억원을 기부하는 등 난치병 극복과 후학 양성에 꾸준히 힘을 쏟고 있다.
이 외에도 차광렬 총괄회장은 동서양 의학과 최첨단 줄기세포 등 모든 첨단 의료 기법을 총동원해 미리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미래형 병원인 ‘차움’을 설립했다. 그 결과 차움은 뛰어난 국내 의료 수준을 세계에 알려 현재 강남권 병원 중 외국인 환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병원으로 손꼽히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체세포복제줄기세포 연구를 재개해 공용 줄기세포 허브를 구축하고, 난치병 치료제 개발에 성공한다는 목표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