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분야별 내년 예산안 뜯어보니] 나라 곳간 열어 사람에 투자

[분야별 내년 예산안 뜯어보니] 나라 곳간 열어 사람에 투자

여성·아동·청년·노인 등에 집중...포퓰리즘 우려도 나와
내년에는 만 65세 이상에게 주는 기초연금이 월 25만으로 오르고 치매 국가책임제사업이 실시된다. 병사 월급이 현재의 두 배 수준으로 오르고 공립어린이집 수도 지금보다 14%가량 많아진다. 정부가 중소기업 근로자의 휴가비를 지원하는 한국형 체크바캉스가 도입되고 시내버스에도 와이파이가 설치된다. 실생활에 적용되는 내년 예산을 분야별로 정리했다.



여성·아동 지원:
여성 전용 임대주택은 저소득층 1인 여성가구를 위해 만든다. 역세권 등 교통이 편리한 지역의 원룸·오피스텔 등을 LH공사가 매입해 고쳐서 임대주택으로 공급한다. 그동안 서울시·용인시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했지만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수도권에 위치한 50㎡ 집의 경우 입주자가 보증금 650만원에 월세 15만원가량을 내면 된다. 전용면적 85㎡이하로, 무주택자만 입주 신청을 할 수 있다.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아동시설(보육원) 퇴소자가 1순위 지원대상이다.

그 다음부터는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50% 이하 지원자, 70% 이하 지원자를 차례로 받는다. 내년 7월부터는 만 0~5세 아동을 키우는 모든 가정이 소득에 관계없이 월 10만원의 아동수당을 받는다. 이를 위해 1조1009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공립어린이집 450곳도 추가로 만든다. 취약지역과 어린이집이 없는 곳이 우선 설치 대상이다.

저소득층 여성 청소년에게 위생용품 지원이 확대된다. 일부 저소득가정 아이들이 생리대를 살 돈이 없어 신발 깔창을 쓴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나온 대책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부터 중위소득 50% 이하 여성청소년(만11~18세)이 위생용품을 신청하면 대상자에게 구매 비용을 지원하기로 했다. 아동 건강 보호를 위해 노후 통학차량은 폐차시킨다. 2009년 이전 등록된 통학차를 없애고 액화석유가스(LPG) 신차를 사면 최대 500만원을 지원해준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등학교 등 탑승자 연령이 낮은 순으로 지원한다. 이웃 간 품앗이 양육을 위해 전국 66개 지역에 설치한 공동육아나눔터를 내년에는 113개 지역으로 확대한다.



청년 지원:
월 30만원씩 3개월 간 지원하는 ‘청년구직촉진수당’ 대상이 올해 9만5000명에서 내년 21만3000명으로 늘어난다. 정부 취업지원 프로그램인 ‘취업성공패키지’에 참여하는 만 34세 이하 청년층이 지원 대상이다. 신혼부부를 위한 매입 임대주택 사업도 시작된다. LH공사 등이 기존주택을 매입한 후 개·보수해 저소득 신혼부부에게 저렴하게 공급하는 제도다. 기존 신혼부부용 행복주택(전용면적 36~45㎡ 이하)보다 면적이 넓다. 아이를 낳고 기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용면적 50㎡ 이상 아파트와 연립·다가구·다세대 주택을 매입해 공급한다. 임대료는 시중 전세가의 30% 수준이다. 무주택이고 월평균 소득 70% 이하인 결혼 5년 이내 부부 또는 예비부부가 신청할 수 있다.

병사 봉급이 올해의 두 배 수준으로 오른다. 계급에 따라▶이병 30만6100원▶일병 33만1300원▶상병 36만6200원▶병장 40만5700원이다. 장병 급식단가도 하루 7481원에서 7855원으로 5% 인상된다. 2박 3일 간의 예비군 동원훈련 보상비는 1만원에서 1만5000원으로 상향 조정된다.

맞춤형 국가장학금 예산은 올해 3조6300억원에서 내년 3조6800억원으로 499억원 증액했다. 올해까지는 소득 3분위까지만 등록금의 절반 이상을 지원받는데 내년부터는 소득 4분위 대학생도 같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일하면서 생계급여(기초생활수급자 대상)를 받는 젊은층을 위해 ‘청년희망키움통장’이 생긴다.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서다. 청년희망키움통장‘에 가입하면 근로·사업소득 중 10만원을 생계급여 소득에서 공제한다. 이렇게 공제된 10만원은 통장에 자동 적립하고, 월평균 30만원을 정부가 추가 지원해 매월 40만원씩 저축을 하는 구조다.



중장년·노인 지원:
내년 4월부터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 하위 70%에게 지급하는 기초연금이 월 20만6000원에서 25만 원으로 인상된다. 수령자 수도 498만 명에서 517만 명으로 늘어난다. 정부는 올해(8조961억원)보다 1조7000억원 넘게 늘어난 9조8000억원의 예산을 기초연금에 배정했다. 치매 국가 책임제는 예방과 진단, 치료, 돌봄 전 과정을 국가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우선 치매안심형 장기요양기관 수가 대폭 확대된다.

주·야간 보호시설이 전국 9곳에서 93곳으로 늘어나고 현재 22곳인 요양시설도 130곳까지 많아진다. 초기 경증 치매 환자는 ‘치매안심센터’에서 전담 상담가(코디네이터)를 배정받고 치매단기쉼터를 이용할 수 있다. 치매검사방법이나 치료제, 돌봄로봇 등을 개발하는 연구 사업에 대한 국가 지원도 강화한다.

일할 수 있는 노인을 위한 국가 지원 일자리는 51만4000개로 늘린다. 올해 추가경정예산으로 노인 일자리 3000여개를 늘려 43만7000개를 만든 것의 연장선이다. 주민센터나 노인복지관, 시니어클럽 등에서 신청할 수 있는데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중 저소득층을 우선순위로 뽑는다. 일부 사업은 만 60세 이상도 지원할 수 있다. 은퇴자가 사회적기업·비영리단체 등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한 사회공헌 일자리도 현행 4500명에서 7000명으로 두 배 가까이 확대한다.

60세 이상을 채용했을 때 사업주에게 주는 고용연장지원금 제도를 2020년까지 시행한다. 아파트 경비원 고용유지 등을 위해 올해 한시적으로 도입한 제도인데 내년부터 지원금 단가를 석 달(분기) 기준 18만원에서 24만원으로 올려 연장하기로 했다. 중장년 재취업 준비를 위한 ‘생애경력 설계서비스’ 지원 대상도 2만5000명으로 올해보다 5000명 늘어난다.
 [박스기사] 눈길 끄는 이색 예산 - 버스 무료 와이파이, 100원 택시
내년부터는 구속 상태에서 공판 단계까지 동일한 국선변호인에게 무료로 변론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생계형 범죄를 저지른 사회적 약자에게 실질적인 변호인 조력권을 보장한다는 취지다. 지금은 검사의 공소제기 전까지는 국선변호인의 도움을 받을 수 없다. 정부와 기업·근로자가 함께 휴가비를 적립하는 ‘한국형 체크바캉스’는 중소기업 근로자 7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정부 예산으로 10만원, 기업이 10만원을 부담하면 근로자가 20만원을 보태 총 40만원의 휴가비를 쓰는 제도다. 2014년 박근혜 정부 때 1년 간 시범 실시했다 중단한 사업이지만 민생경제 회복을 앞당긴다는 문재인 대통령 공약에 따라 내년 부활하게 됐다. 전국 시내버스에는 내년 하반기부터 공공 와이파이 구축 사업이 시작된다. 수도권 지하철처럼 이동 중에 국민 누구나 무료 와이파이를 쓸 수 있도록 해 통신비 절감 효과를 노린다. 2021년까지 시내버스에 2만4000개의 와이파이가 구축되는데, 내년에 책정된 예산만 20억원이다. 버스 등 대중교통이 없는 지역에는 ‘100원 택시’가 도입된다. 주민들이 마을에서부터 병원·목욕탕·관공서 등으로 이동할 수 있게 도와주는 공공형 택시다. 유기 동물을 입양하면 정부 지원을 받게 된다. 각 지방자치단체 동물보호센터에서 유실·유기동물을 분양받는 경우 소요되는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지원단가는 최대 20만원이고 이 돈은 질병 진단키트, 예방접종비, 중성화 수술비 등으로 쓸 수 있다. 기간이 만료된 여권을 들고 공항에 갔다가 낭패 보는 일이 없도록 여권 유효기간 만료 사전알림 서비스가 도입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의협 회장, 인종차별 논란?...소말리아 의대생 사진에 "커밍 쑨"

2무디스, 한국 신용등급 'Aa2·안정적' 유지..."올해 2.5% 성장"

3"의대 증원 정책 철회해달라"...의대 교수 3000명 모였다

4'빌라'에 손 가네...비(非)아파트 사들이는 3040 늘었다

5中 여행하다 휴대전화·노트북 불심검문 당할 수도

6노소영, 최태원 동거인에 건 위자료 소송...8월 선고

7김성태 기업은행장, 반도체 기업 하이콘 방문…“중소기업 지원 최선”

8카카오, 모처럼 ‘수익성 챙긴’ 실적…영업익 92% ‘급증’

9 ‘여친 살해’ 의대생, 신상 공개 안 해…“피해자 2차 가해 우려”

실시간 뉴스

1의협 회장, 인종차별 논란?...소말리아 의대생 사진에 "커밍 쑨"

2무디스, 한국 신용등급 'Aa2·안정적' 유지..."올해 2.5% 성장"

3"의대 증원 정책 철회해달라"...의대 교수 3000명 모였다

4'빌라'에 손 가네...비(非)아파트 사들이는 3040 늘었다

5中 여행하다 휴대전화·노트북 불심검문 당할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