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총기 ‘프린트’하면 …
집에서 총기 ‘프린트’하면 …
향후 10년 사이 가정에서 소화기·폭발물·무인기의 설계와 프린트 실험하는 이용자 늘어날 것으로 예상 단순하고 값싼 소재와 기술만 있으면 누구나 직접 맞춤 살상 무기를 제조할 수 있는 세상을 상상해보라. 이런 가상의 미래가 미국 싱크탱크 랜드 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의 초점이다. 랜드 연구소는 적층가공(AM)으로도 알려진 3D 프린팅의 확산으로 제기된 개인적·국가적·세계적 보안에 대한 잠재적 위협을 모니터하는 싱크탱크다.
적층가공은 디지털 청사진에 따라 주어진 소재를 층층이 쌓아 올려 ‘프린트’하는 방법으로 3차원 물체를 제조하는 각종 기술을 묘사하는 용어다. 이 기술은 현재 몇몇 측면에서 상당히 제약이 따르지만 의수로부터 식품에 이르는 온갖 제품을 생산하며 판매 전 신속하게 시제품 모델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 몇 년 사이 집에 3D 프린터를 들여놓는 사람이 늘어나 원하는 대로 직접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된다고 전문가들은 예측한다.
그러나 그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술이 보급됨에 따라 필연적으로 거리의 범죄자, 폭력적인 극단주의자, 심지어 불량국가의 손에 들어가게 될 듯하다. 그들은 다크웹(일반 검색엔진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한 심층 웹) 같은 곳에서 디지털 무기 청사진을 다운받아 필요에 따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랜드 연구소의 트레버 존스턴 정치학 연구원은 “2013년 실용성 있는 3D 프린트 총기의 디지털 설계도 파일이 처음으로 널리 보급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됐다”면서 “그 뒤로 2017년 미군에서 제작된 유탄발사기를 포함해 더 고성능 무기들이 프린트 제작됐다”고 말했다.존스턴 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프린트 제작된 총기는 살상력이나 내구성 면에서 기존 무기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그는 “기술이 향상되고 제조원가가 낮아지면 이용하려는 소비자가 많아질 것”이라며 “향후 10년 사이 가정에서 소화기·폭발물·무인기의 설계와 프린트 실험을 하는 이용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총기규제법이 살상무기 유통을 거의 억제하지 못하는 미국 같은 나라에서도 총기 3D 프린팅으로 폭력과 살인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3D 프린팅 기술이 발전하고 보급됨에 따라 개인 안전 측면에서 화기와 기타 위험한 무기 유통을 규제하는 판매시점 통제의 효과가 약화될 것이다. 오늘날 미국 내 거의 모든 사람이 변함없이 기존 무기를 쉽게 손에 넣을 수 있는 한 더 큰 위험을 제기하는 개인의 화기 소유 제한이나 특정 유형의 무기 유통을 억제하려는 미래의 규제 노력이 3D 프린팅으로 난관에 봉착할 수 있다.”
예컨대 외로운 늑대형 킬러와 테러 단체들이 곧 원하는 무기를 프린트 제작할 수 있게 될지 모른다. 거기에는 전통적인 화기로부터 사제폭발물이 장착된 자폭 무인기까지 온갖 무기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적층가공은 북한 같은 왕따 국가에도 혜택을 줄 수 있다고 존스턴 연구원은 말한다. “3D 프린팅이 발전하면서 더 첨단 무기 설계에 기초해 다른 나라들도 미국이 누리는 기술적 우위 일부를 극복 또는 상쇄하는 수단을 손에 넣을 수 있게 된다. 판매시점 통제가 국내 소비자의 무기 구매를 규제하는 효과가 떨어지듯이 3D 프린팅과 디지털 설계도의 보급으로 국제무기거래규정(ITAR) 같은 수출규제를 약화시켜 폭력적인 개인과 집단의 무기 입수가 쉬워질 것이다.”
3D 프린팅 기기 자체도 사보타주에 취약하기 때문에 나름의 보안 위험을 안고 있다고 논문 작성자들은 경고한다. 예컨대 비행기, 군사장비 또는 건물 등의 주요 부품 프린트 공정에 에러 메시지를 심어 넣어 고장을 일으키는 방법으로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을 유발할 수도 있다. 게다가 스타디움과 사무실 같은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장소 안의 3D 프린터를 해커가 원격으로 장악한 뒤 보안점검을 피하면서 공격 무기를 제작할 수도 있다.
보고서에서 설명한 잠재적인 위험은 가설적인 내용이며 분명 향후 수년간 적층가공이 어떻게 진화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늦기 전에 정책입안자들이 이런 위협을 억제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보고서 작성자들은 말한다.
존스턴 연구원은 “장차 이런 위협을 완화 나아가 예방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전략들이 있다”고 말했다. “예방 차원에서 규제 당국자들은 프린터 등록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이런 등록 의무와 함께 특정 유형의 프린팅을 제한하는 사용조건을 소유자가 받아들이도록 해야 한다. 이런 조건을 위반할 경우 프린터 작동을 중단하거나 일정 수준의 기능을 상실하게 만들 수 있다. 프린팅 재료의 통제도 폭발물 같은 특정 유형의 무기 생산 방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조치들이 3D 프린팅에 관련된 위험의 확산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고서는 결론짓는다.
- 아리스토스 조지우 뉴스위크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적층가공은 디지털 청사진에 따라 주어진 소재를 층층이 쌓아 올려 ‘프린트’하는 방법으로 3차원 물체를 제조하는 각종 기술을 묘사하는 용어다. 이 기술은 현재 몇몇 측면에서 상당히 제약이 따르지만 의수로부터 식품에 이르는 온갖 제품을 생산하며 판매 전 신속하게 시제품 모델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 몇 년 사이 집에 3D 프린터를 들여놓는 사람이 늘어나 원하는 대로 직접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된다고 전문가들은 예측한다.
그러나 그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술이 보급됨에 따라 필연적으로 거리의 범죄자, 폭력적인 극단주의자, 심지어 불량국가의 손에 들어가게 될 듯하다. 그들은 다크웹(일반 검색엔진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한 심층 웹) 같은 곳에서 디지털 무기 청사진을 다운받아 필요에 따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랜드 연구소의 트레버 존스턴 정치학 연구원은 “2013년 실용성 있는 3D 프린트 총기의 디지털 설계도 파일이 처음으로 널리 보급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됐다”면서 “그 뒤로 2017년 미군에서 제작된 유탄발사기를 포함해 더 고성능 무기들이 프린트 제작됐다”고 말했다.존스턴 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프린트 제작된 총기는 살상력이나 내구성 면에서 기존 무기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그는 “기술이 향상되고 제조원가가 낮아지면 이용하려는 소비자가 많아질 것”이라며 “향후 10년 사이 가정에서 소화기·폭발물·무인기의 설계와 프린트 실험을 하는 이용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총기규제법이 살상무기 유통을 거의 억제하지 못하는 미국 같은 나라에서도 총기 3D 프린팅으로 폭력과 살인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3D 프린팅 기술이 발전하고 보급됨에 따라 개인 안전 측면에서 화기와 기타 위험한 무기 유통을 규제하는 판매시점 통제의 효과가 약화될 것이다. 오늘날 미국 내 거의 모든 사람이 변함없이 기존 무기를 쉽게 손에 넣을 수 있는 한 더 큰 위험을 제기하는 개인의 화기 소유 제한이나 특정 유형의 무기 유통을 억제하려는 미래의 규제 노력이 3D 프린팅으로 난관에 봉착할 수 있다.”
예컨대 외로운 늑대형 킬러와 테러 단체들이 곧 원하는 무기를 프린트 제작할 수 있게 될지 모른다. 거기에는 전통적인 화기로부터 사제폭발물이 장착된 자폭 무인기까지 온갖 무기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적층가공은 북한 같은 왕따 국가에도 혜택을 줄 수 있다고 존스턴 연구원은 말한다. “3D 프린팅이 발전하면서 더 첨단 무기 설계에 기초해 다른 나라들도 미국이 누리는 기술적 우위 일부를 극복 또는 상쇄하는 수단을 손에 넣을 수 있게 된다. 판매시점 통제가 국내 소비자의 무기 구매를 규제하는 효과가 떨어지듯이 3D 프린팅과 디지털 설계도의 보급으로 국제무기거래규정(ITAR) 같은 수출규제를 약화시켜 폭력적인 개인과 집단의 무기 입수가 쉬워질 것이다.”
3D 프린팅 기기 자체도 사보타주에 취약하기 때문에 나름의 보안 위험을 안고 있다고 논문 작성자들은 경고한다. 예컨대 비행기, 군사장비 또는 건물 등의 주요 부품 프린트 공정에 에러 메시지를 심어 넣어 고장을 일으키는 방법으로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을 유발할 수도 있다. 게다가 스타디움과 사무실 같은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장소 안의 3D 프린터를 해커가 원격으로 장악한 뒤 보안점검을 피하면서 공격 무기를 제작할 수도 있다.
보고서에서 설명한 잠재적인 위험은 가설적인 내용이며 분명 향후 수년간 적층가공이 어떻게 진화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늦기 전에 정책입안자들이 이런 위협을 억제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보고서 작성자들은 말한다.
존스턴 연구원은 “장차 이런 위협을 완화 나아가 예방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전략들이 있다”고 말했다. “예방 차원에서 규제 당국자들은 프린터 등록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이런 등록 의무와 함께 특정 유형의 프린팅을 제한하는 사용조건을 소유자가 받아들이도록 해야 한다. 이런 조건을 위반할 경우 프린터 작동을 중단하거나 일정 수준의 기능을 상실하게 만들 수 있다. 프린팅 재료의 통제도 폭발물 같은 특정 유형의 무기 생산 방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조치들이 3D 프린팅에 관련된 위험의 확산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고서는 결론짓는다.
- 아리스토스 조지우 뉴스위크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현호♥은가은, 궁합 봤더니 "올해 은가은 사주에…"
2우리금융, 글로벌 ESG 보고서 경진대회서 대상 수상
3코스닥협회, 제16회 대한민국코스닥대상 시상식...최고상 클래시스
4서울경제진흥원, 2024년 중기벤처부·산업부 장관 표창
5삼성바이오에피스, 차기 수장에 김경아 내정...고한승 삼성전자로
6"콧물 찍, 재채기도? 반려견 면역력 이렇게 하세요"
7트럼프, '관세전쟁' 주도 무역대표부 대표에 '그리어' 내정
8진에어, ‘블랙프라이데이’ 진행...국제선 최대 15% 할인
9테일즈런너RPG, 사전 공개 서비스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