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방사능 오염수, 동해 유입 우려 현실이 됐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원전 사고 때도 오염수가 1년만에 동해 들어와

일본 정부 “방류 미룰 수 없다” 선언
일본이 오는 8월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오염수 처리 강행을 정한 것으로 보인다. 후쿠시마 원전 방사성 오염수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후 10년 넘는 기간동안 매일 150t씩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지진 후 냉각 시스템 파괴로 노심을 녹이고 바닥에 떨어진 용융 핵연료를 처리하지 못한 채 용융 핵연료를 지나는 지하수의 방사성 오염을 저장 방치하고 있다. 숀 수석은 “일단 물탱크에 저장해 온 오염수 양이 늘자 방류를 통해 숨기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일본의 오염수 방류가 우리나라 동해로 들어올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그린피스가 2019년 1월 발표한 ‘후쿠시마 오염수 보고서’에 따르면 방사성 오염수 100만t을 바다에 흘려보내려면 17년에 걸쳐 물 7억7000만t을 쏟아 부어 희석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지진 후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바다를 오염시키지 않고 오염수를 방류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셈이다. 게다가 도쿄전력은 2018년 9월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지 못해 제염에 실패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도 했다.
도쿄전력, 3년 전 방사성 물질 제거 실패 인정하기도

일본은 알프스(ALPS)로 방사성 오염수 내 방사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이조차 사실과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도쿄전력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알프스를 활용한 정화 후에도 탱크 속 오염수의 70%에는 세슘·스트론튬·요오드 등 인체에 치명적인 방사성물질이 기준치 이상 포함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쿄전력은 최근 오염수 일부를 알프스로 2차 처리해 방사성 물질을 기준치 미만으로 낮췄다고 발표했지만, 구체적인 수치는 밝히지 않고 있어 의심을 사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삼중수소는 알프스로 걸러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중수소는 수산물을 통해 인체로 들어와 유기결합삼중수소로 전환되면 내부 피폭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방사성 오염수 속에 포함된 삼중수소 역시 방사선량이 1L에 1500㏃ 미만이 될 때까지 희석한 후 배출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 역시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산소와 결합한 물 형태로 존재하는 삼중수소를 물 형태인 방사성 오염수에서 걸러내기 쉽지 않아서다.
이에 따라 국내 동해지역 수산업부터 당장 피해를 입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일본 현지 수산업조차 방사성 오염수 방류로 자국 수산업이 피해를 입을 것이란 우려를 내놓고 있다. 데라사와 하루히코 미아기현 어업협동조합 조합장은 4월 12일 일본 국회를 방문해 “해양 방출은 미아기현의 수산업에 괴멸적인 타격을 입힐 것”이라며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해양 방출은 절대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도쿄전력은 일본 현지에 대한 배상안만 정했다.
정부 "오염수 방류 강한 유감, 일본산 수입규제 유지"
배동주 기자 bae.dongju@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중견 건설사 이화공영, 기업회생 신청…‘상장폐지 예고’ 무슨일
2인도 출신 엔지니어 영입해 부족한 개발자 문제 해결한다
3외국인 국내 주식 투자 쉬워진다
4소득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다...식료품·주거비 특히 부담
5300만명 몰리는 여의도 벚꽃축제…尹탄핵심판 선고에 일정 연기
6서울경찰청, 통신사와 공조해 보이스피싱 막았다...첫 현장 사례 눈길
7조주완 LG전자 CEO, 2억원 자사주 매입…‘주가 방어’ 메시지 던졌다
8‘탈탄소’ 접은 월가, 다시 화석연료 품는다
9‘부자아빠’ 기요사키가 비트코인 대신 찍은 이 투자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