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고위공직자 재산 분석 | 주식편] 그들은 주식부자에 예금왕·골프광이었다
- [고위공직자 재산 분석 | 주식편] 그들은 주식부자에 예금왕·골프광이었다

우리나라는 공직자의 부정부패를 막기 위한 공직자윤리법에 근거해 1993년부터 공직자 재산 등록 제도를 실시해오고 있다. 하지만 28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고위공직자들의 재산 형성 과정은 안개 속이다. 현행 제도가 현재 재산 상태만 공개하므로, 그들이 어떤 돈으로 어디에 어떻게 굴려서 부를 쌓았는지 추정하기 힘들다. 게다가 의혹과 논란의 대상이 돼도 투자와 투기의 모호한 경계 사이로 늘 빠져나갔다.
[이코노미스트]가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3월 25일 발표한 ‘2021년 공직자 재산 변동사항’을 토대로, 청와대를 포함한 정부 중앙부처 고위공직자 683명의 재산을 전수 조사했다. 부동산에 이어 이번엔 주식과 예금을 들여다봤다. 그들은 백지신탁제는 아랑곳 않고 수십억 원어치의 주식을 갖고 있었다. 주식은 돈이 돈을 벌어 한 해 동안 10억원이 30억원 되고, 30억원이 50억원이 됐다. 비상장주도 여럿 갖고 있었다. 실제 가치가 액면가의 5배나 됐다. 이해관계충돌 논란을 의식해 주식 대신 보유한 예금도 상상 이상이다. 일반 도시근로자 소득 기준에서 보면 절대 따라 하기 어려운 거액이다. 보유한 골프회원권과 미술작품의 값은 억 소리가 자연스러울 정도다. 재산 종류별로 고액 상위 고위공직자들을 살펴봤다.
- 이코노미스트 뉴스룸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사저 돌아간 윤석열에 꽃다발 건넨 입주민, '이 사람' 어머니였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효민 '금융맨' 남편, 놀라운 정체 밝혀졌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윤어게인 신당' 창당 말린 尹 "지금은 힘 합칠 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로 판 바뀌나...AI·오가노이드 뜨고 비임상 CRO는 악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