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스페이스 시대에 우리가 해야 할 첫 번째 행동은?
민간 신기술 개발 독려, 국가 전담기구 운영으로 ‘시너지’ 모색
민간 기업이 주도적으로 우주 개발에 앞장서는 ‘뉴 스페이스 시대’가 열리고 있다. 세계 냉전시대에 정부가 주도하던 올드 스페이스가 막을 내리고, 2000년대 들어 민간 영역에서 우주산업의 상업화가 진행하면서 민간이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가 대세를 이루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민간의 우주개발을 장려하기 위한 국가적 정책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우주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과 유럽에서는 우주산업을 개발하는 벤처 기업까지 등장하고 있다. 기존의 개발 흐름은 인공위성이나 로켓 등 군사·안보 중심이었지만, 지금은 위성을 활용한 각종 민간 서비스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오사카 무역관에 따르면 일본 우주 스타트업 신스펙티브(Synspective)는 지난해 12월 기술실증위성 ‘StriX 프로그램 알파’ 발사에 성공했다. 신스펙티브는 합성개구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공중에서 지상·해양을 관찰하는 레이더) 위성을 개발하고 있다. 올해 두 번째 실증기를 발사하고 2022년까지 총 6기, 2020년대 총 30여기를 발사해 지상의 광범위한 고빈도 관측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자사 위성을 활용한 데이터 비즈니스의 사업화에도 나서고 있다. 지난해 지각 변동을 mm 단위로 관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수해 발생 시 침수 피해를 시각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선보이기도 했다.
세계 각국은 우주산업 개발을 민간과 연계하기 위한 우주 정책을 수립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민간 주도의 개발을 통해 개발 효과가 민간 분야로 확산하고 이를 통해 우주산업 시장의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서다.
호주는 2018년 7월 호주 우주국을 창설해 자국 우주산업 부문의 규모를 세 배로 늘리고 일자리를 2030년까지 2만개로 늘리겠다는 목표와 계획을 수립했다.
인도는 지난해 민간 우주개발 산업을 장려하기 위해 ‘Spacecom 정책 2020’을 발표하고, 실행기관으로 인도 국가 우주진흥원(IN-SPACe)을 출범했다.
일본은 우주 스타트업의 발굴을 위해 ‘S-Booster’라는 우주산업 공모 대회를 2017년부터 매년 개최해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모집하고 전문가의 자문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최종 선발전에 출전하는 개인이나 기업은 투자자와의 연결 기회를 제공받고 사업화를 위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국내에서도 대기업 한화와 방산 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민간 기업들이 우주산업에 발을 내딛고 있다.
한화그룹의 우주산업을 총괄하는 스페이스 허브(Space Hub)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공동으로 최근 우주연구센터를 설립했다. 한화는 연구센터에 약 100억원을 투입한다. 스페이스 허브가 KAIST와 시행할 첫 연구 프로젝트는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ISL(Inter Satellite Links•위성 간 통신 기술)’ 개발이다. ISL은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통신 서비스를 구현하는 필수 기술이다. 위성 간 데이터를 ‘레이저’로 송·수신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KAI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주관하는 차세대 중형 위성 사업에 공동개발자로 참여하고 있다. 지난 3월 차세대 중형 위성 1호를 쏘아 올려 기지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다. 사업은 가로 1.4m 세로 1.55m 높이 2.89m 무게 500kg 규모의 중형 위성 5기를 국내 독자 개발하는 내용이다. KAI는 KARI에게서 전수 받은 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중형 위성 2호 개발을 주관한다.
우리 정부도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시장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정부는 올해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시장을 확대하는데 36억원을 투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주산업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올해 26억원을 투자해 뉴스페이스 리더 양성, 대학(원)생 현장교육 등 2개의 신규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정부의 지원 예산이 적은데다 사업내용도 즉각적인 산업현장 개발이 아닌, 중장기적 인력 육성에 그쳐 아쉬움을 토로한다.
KT의 자회사인 위성 서비스 기업 케이티샛(KT Sat)의 최경일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국가가 전문 민간 기업들을 육성하려면 일회성 프로젝트 지원 수준을 뛰어넘어야 한다”며 “국가 주도의 계획 속에 참여 기업들이 육성한 전문 인력들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기량을 키우도록 유도하는 방안이 담겨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CTO는 지난달 여시재(국가미래전략을 연구하는 민간 재단법인) 기고문을 통해 ▶우주 개발 중장기 계획을 전문성과 일관성을 갖고 추진할 수 있는 조직 구축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개발 프로그램 마련 ▶정부가 프로젝트를 개발하되, 기술 개발은 되도록 민간 영역에 맡기고 이들이 신기술 개발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전문 프로젝트 관리에 충실할 것 등의 방안들을 제안했다.
KARI도 최근 뉴 스페이스 시대를 알리는 조직의 새로운 역할을 밝히기도 했다.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지난 6일 “KARI가 예전과 똑같은 역할을 계속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뉴 스페이스 시대에 맞춰 민간이 할 수 있는 부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부처와 협의해 과감하게 추진하는 것을 심각하게 고민할 시기”라고 말했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 세계적으로 우주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과 유럽에서는 우주산업을 개발하는 벤처 기업까지 등장하고 있다. 기존의 개발 흐름은 인공위성이나 로켓 등 군사·안보 중심이었지만, 지금은 위성을 활용한 각종 민간 서비스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오사카 무역관에 따르면 일본 우주 스타트업 신스펙티브(Synspective)는 지난해 12월 기술실증위성 ‘StriX 프로그램 알파’ 발사에 성공했다. 신스펙티브는 합성개구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공중에서 지상·해양을 관찰하는 레이더) 위성을 개발하고 있다. 올해 두 번째 실증기를 발사하고 2022년까지 총 6기, 2020년대 총 30여기를 발사해 지상의 광범위한 고빈도 관측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자사 위성을 활용한 데이터 비즈니스의 사업화에도 나서고 있다. 지난해 지각 변동을 mm 단위로 관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수해 발생 시 침수 피해를 시각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선보이기도 했다.
민간 우주산업 개발 지원할 국가기구 설치 각국 경쟁
세계 각국은 우주산업 개발을 민간과 연계하기 위한 우주 정책을 수립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민간 주도의 개발을 통해 개발 효과가 민간 분야로 확산하고 이를 통해 우주산업 시장의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서다.
호주는 2018년 7월 호주 우주국을 창설해 자국 우주산업 부문의 규모를 세 배로 늘리고 일자리를 2030년까지 2만개로 늘리겠다는 목표와 계획을 수립했다.
인도는 지난해 민간 우주개발 산업을 장려하기 위해 ‘Spacecom 정책 2020’을 발표하고, 실행기관으로 인도 국가 우주진흥원(IN-SPACe)을 출범했다.
일본은 우주 스타트업의 발굴을 위해 ‘S-Booster’라는 우주산업 공모 대회를 2017년부터 매년 개최해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모집하고 전문가의 자문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최종 선발전에 출전하는 개인이나 기업은 투자자와의 연결 기회를 제공받고 사업화를 위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국내에서도 대기업 한화와 방산 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민간 기업들이 우주산업에 발을 내딛고 있다.
한화그룹의 우주산업을 총괄하는 스페이스 허브(Space Hub)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공동으로 최근 우주연구센터를 설립했다. 한화는 연구센터에 약 100억원을 투입한다. 스페이스 허브가 KAIST와 시행할 첫 연구 프로젝트는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ISL(Inter Satellite Links•위성 간 통신 기술)’ 개발이다. ISL은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통신 서비스를 구현하는 필수 기술이다. 위성 간 데이터를 ‘레이저’로 송·수신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KAI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주관하는 차세대 중형 위성 사업에 공동개발자로 참여하고 있다. 지난 3월 차세대 중형 위성 1호를 쏘아 올려 기지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다. 사업은 가로 1.4m 세로 1.55m 높이 2.89m 무게 500kg 규모의 중형 위성 5기를 국내 독자 개발하는 내용이다. KAI는 KARI에게서 전수 받은 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중형 위성 2호 개발을 주관한다.
“국내서도 전문성·지속성 유지할 국가적 계획 필요”
우리 정부도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시장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정부는 올해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시장을 확대하는데 36억원을 투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주산업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올해 26억원을 투자해 뉴스페이스 리더 양성, 대학(원)생 현장교육 등 2개의 신규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정부의 지원 예산이 적은데다 사업내용도 즉각적인 산업현장 개발이 아닌, 중장기적 인력 육성에 그쳐 아쉬움을 토로한다.
KT의 자회사인 위성 서비스 기업 케이티샛(KT Sat)의 최경일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국가가 전문 민간 기업들을 육성하려면 일회성 프로젝트 지원 수준을 뛰어넘어야 한다”며 “국가 주도의 계획 속에 참여 기업들이 육성한 전문 인력들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기량을 키우도록 유도하는 방안이 담겨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CTO는 지난달 여시재(국가미래전략을 연구하는 민간 재단법인) 기고문을 통해 ▶우주 개발 중장기 계획을 전문성과 일관성을 갖고 추진할 수 있는 조직 구축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개발 프로그램 마련 ▶정부가 프로젝트를 개발하되, 기술 개발은 되도록 민간 영역에 맡기고 이들이 신기술 개발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전문 프로젝트 관리에 충실할 것 등의 방안들을 제안했다.
KARI도 최근 뉴 스페이스 시대를 알리는 조직의 새로운 역할을 밝히기도 했다.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지난 6일 “KARI가 예전과 똑같은 역할을 계속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뉴 스페이스 시대에 맞춰 민간이 할 수 있는 부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부처와 협의해 과감하게 추진하는 것을 심각하게 고민할 시기”라고 말했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산타랠리' 끝났나?…뉴욕증시, 혼조 마감
2뉴욕유가, 중국 부양책 기대에도 강달러에 하락 반전…WTI, 0.68%↓
3 윤 대통령 측 "오늘 대리인 선임계 내고 탄핵심판 변론준비기일 출석"
4하나금융, 인사·조직개편…미래성장 부문 신설
5비트코인, 9만5천달러선 후퇴…"변동성 더 커질 수 있어"
6글로벌 인플루언서 축제 ‘서울콘’ 내일 개막…다듀·지코 등 역대급 라인업
7새 국면 맞은 한미家 경영권 분쟁…‘형제연합’에 촉각
8大배우 이정재로 부족해...하림, 더미식 오징어라면 ‘벌써 할인?’
9넷마블 ‘세븐나이츠 키우기’, 중국 외자판호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