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CJ ENM, 콘텐트에 5조원 투자…“글로벌 엔터 기업으로 도약”
- 콘텐트 제작 역량 강화해 다양한 장르로 영역 확대
티빙, 2023년까지 국내 800만명 유료 가입자 확보 목표
“웰메이드 IP 양산 시스템과 인프라 구축하고 콘텐츠 투자 대폭 늘려나갈 것”

CJ ENM이 5년간 5조원을 콘텐트 제작에 투자해 글로벌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강호성 CJ ENM 대표는 31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NM 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는 양방향의 커뮤니케이션으로 소비자의 취향을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콘텐트 제작 형태를 다변화해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완결형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되겠다”고 밝혔다.
그는 “웰메이드 IP 양산 시스템과 인프라를 구축함과 동시에 콘텐트에 대한 투자도 대폭 늘려나갈 예정이다”며 “올해만 8000억원의 콘텐트 투자 비용이 잡혀 있고, 향후 5년 동안 5조원 규모 이상의 콘텐트 투자를 실행할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에서 CJ ENM은 ▶콘텐트 제작 역량 고도화 ▶음악 메가 IP 확보 ▶디지털 역량 강화 ▶제작역량 글로벌화에 대한 전략을 내놨다. 이 자리에는 티빙 양지을·이명한 공동 대표이사도 참석해 ‘NO.1 K-콘텐트 플랫폼’으로 티빙의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트랜스미디어 콘텐트로 제작 영역 확대
2016년 스튜디오드래곤을 통해 전문적인 드라마 제작 스튜디오 시대를 열었던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는 것이다. 예능·영화·디지털·애니메이션 등에서도 전문화된 멀티 스튜디오 구조를 갖춘다는 구상이다.
전문화된 스튜디오 구조에서 제작된 콘텐트는 티빙뿐만 아니라 넷플릭스를 비롯한 글로벌 OTT에도 공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서 수익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기획제작역량을 지속 강화해 크리에이터에 대한 동기 부여와 비전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음악 사업은 글로벌 확장을 위해 메가 IP를 지속해서 확보,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CJ ENM 음악 사업은 글로벌에서도 뚜렷한 성과를 창출해 내고 있다. ‘아이랜드’를 통해 탄생한 ‘엔하이픈’이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하고 빌보드 200 차트에 진입하자마자 18위에 오르는 등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일본에서는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배출시킨 ‘JO1(제이오원)’이 오리콘차트 1위를 달성, 현재 이 프로그램의 두 번째 시즌이 인기리에 방영 중이다. HBO-MAX와 손잡고 남미 케이팝 아이돌 그룹 오디션 프로그램도 기획·개발에 들어갔다.
CJ ENM은 ‘슈퍼스타K’ 등 독보적인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을 통해 케이팝 메가 IP를 지속적으로 확보할 예정이다. ‘MAMA’, ‘KCON’ 등 대형 글로벌 프로젝트로 결집된 팬덤에 결합해 CJ ENM만의 IP 포트폴리오로 만들고, 참여·경험형 글로벌 콘텐트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티빙, 오리지널 콘텐트 절반 이상 프랜차이즈 IP에 집중 투입
이를 위해 티빙은 2023년까지 약 100여 편의 오리지널 콘텐트를 제작하고, 800만명의 유료 가입자를 확보한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2022년에 글로벌로 사업을 확장해 ‘No.1 K-콘텐트 플랫폼’이라는 비전을 달성할 계획이다.
양지을 티빙 공동대표는 “티빙은 지난해 10월 출범 이후 누적 유료 가입자 수가 63% 증가하는 등 괄목할 성장을 하고 있고, 같은 기간 앱 신규 설치율은 67%, 월간 UV도 41% 증가하는 등 폭발적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 필요성 강조
이명한 공동대표는 “티빙의 오리지널 전략은 다양한 콘텐트를 통해 다양한 취향의 고객들을 티빙의 팬으로 만드는 것”이라며 “팬덤을 만들어나가기 위해 티빙의 전체 오리지널 투자의 50% 이상을 프랜차이즈 IP 육성에 집중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 대표는 이날 행사에서 콘텐트 시장의 유통과 분배 구조 선진화를 위해 콘텐트 사용료를 인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CJ ENM은 프로그램 사용료(수신료) 인상을 두고 IPTV 업체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강 대표는 “K-콘텐트가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 것은 우리의 인프라나 유통 및 수익구조가 선진화됐기 때문이 아니고 우리 콘텐트가 우수했기 때문”이라며 “K-콘텐트 시장을 넓히고 글로벌로 나아갈 수 있는 힘을 키우려면 콘텐트 수급에 따른 수익 배분 구조도 글로벌 기준을 따라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한국에서는 콘텐트에 대한 대가로 제작비의 3분의 1 수준을 수신료로 받는 반면 미국은 100% 이상을 받는다”며 “미국은 수신료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해서 콘텐트에 투자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돼 있다. 반면 한국은 부가 수익으로 제작비를 채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강 대표는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 업체들의 한국 시장 지배력이 커지고 있다. 분배를 뒷전으로 하면 국내 제작사들은 글로벌 OTT에 예속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제는 유통과 분배 구조를 선진화해야 한다. 이는 변화하는 시장에서 우리 IP를 지키는 길”이라고 밝혔다.
원태영 기자 won.taeyou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中, 美 입항료 부과 결정에 "필요한 조처할 것" 보복 시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