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스마트폰으로 ‘원스톱 대출 갈아타기’…대환 플랫폼 10월 출범

정부 주도 … 10월말 1금융권 이어 연내 2금융권까지 확대
해당 사업에 핀테크 대거 참전…금융권 플레이어 재편 가능성

 
 
 
오는 10월 출범을 예고하고 있는 정부 주도 대환대출 플랫폼에 핀테크 기업들이 앞다퉈 뛰어들면서 금리 무한 경쟁 시대를 맞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금융당국은 해당 대환대출 플랫폼을 10월 말 1금융권을 대상으로 시운영하고, 이후 12월경 2금융권 등 금융권 전체로 확대 적용할 것이란 방침이어서 연내 대출시장 격변이 일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기관-금융당국-핀테크’ 연결고리를 통해 개별 금융사의 대출 기간과 금리 조건 등 상품 정보가 공개되면서 금융권에서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낮은 금리, 낮은 비용, 앉은 자리서 ‘원스톱 대출 갈아타기’

 
금융당국이 10월 출범을 목표로 하는 ‘원스톱·비대면 대환대출 인프라’는 은행을 방문할 필요 없이 바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든 금융사들의 대출상품 금리를 비교한 후 기존 대출을 해지하고, 새로운 대출을 신청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핵심이다.  
 
대환 대출을 신청하면 신규 은행에 전달되고 기존 대출 실행까지 이뤄지며, 별도 법무사 비용도 발생하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기존엔 더 낮은 금리로 대출을 갈아타기 위해선 대출 받은 은행에서 대출 원리금 확인 서류를 발급 받고, 신규 은행을 방문해 대환대출을 신청한 후 기존 대출을 상환해야했다. 이 과정에서 법무사 비용도 발생했다.
 
당국은 금융규제 샌드박스 인가를 받아 현재 대출 비교 서비스를 운영중인 핀테크 업체 12곳과 은행권, 제2금융권 등을 참여토록 할 계획이다. 하나의 시스템에서 여러 금융기관 간 대출상품 이동을 중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해, 소비자들이 보다 전 금융권에서 낮은 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경쟁을 통해 금리인하를 유도하면서 소비자의 편익을 높이고 핀테크 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것이 당국의 방침이다.
 

12개 핀테크 모두 참여의사…기술력·가이드 충족 여부 관건

 
해당 플랫폼 사업에 대해 업계 반응도 긍정적이다. 무엇보다 소비자들 입장에서 선택권이 넓어지고, 특히 금리 비교를 통해 대출을 갈아탈 수 있다는 가격적 측면에서 이득일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금융권 플레이어들이 향후 소비자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도 업계 내부의 관심이 높다.  
 
22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금융결제원은 지난 10일 핀테크 기업 12곳(핀다·비바리퍼블리카·NHN페이코·뱅크샐러드·핀크·마이뱅크·핀셋·핀테크·팀윙크·핀마트·카카오페이·SK플래닛)과 관련협회 4곳(은행연합회·서민금융진흥원·여신금융협회·핀테크산업협회) 등을 대상으로 대환대출 플랫폼 설명회를 열었는데, 이후 핀테크 기업 12곳 모두 ‘참여 의사’를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관건은 해당 플랫폼이 출범하는 10월 전까지 시스템 운영이 가능한 지, 기술적 상황 여부에 달렸다는 게 금융결제원 설명이다.
 
금융결제원 관계자는 “설명회에 참석한 12곳 핀테크 기업 모두 참여의사를 밝혀왔는데 ‘10월’이라는 해당 기간 내에 핀테크 기업들이 기술을 갖출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며 “금융결제원에서 안전성과 보안성을 기반으로 몇 가지의 가이드를 정할 예정인데, 기술적 측면과 가이드 이 두 가지 기준에 부합한다면 당국과 함께 서비스를 시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10월 말엔 1금융권인 은행을 대상으로 먼저 진행하고 2금융권은 일단 12월, 연내가 목표”라며 “해당 서비스를 운영할 핀테크 기업을 최대한 빨리 선별해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현재 기준으로는 금융 상품을 비교·판매하는 핀테크 기업이 12개밖에 없어서 12개사만 서비스를 연계할 수 있는 입장이지만, 금융소비자보호법 상 금융 상품 판매 대리 중개업자로 등록을 하면 모든 상품을 비교해 팔 수 있게끔 허용했기 때문에 추후 기본적인 가이드나 보안수준 등만 갖춰지면 해당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게 허용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금융결제원은 중개인프라를 개발하는 한편, ‘해당 시스템을 어떻게 개발해야 한다’는 내용의 전산설계서를 각 은행 측에 배포했고 은행들이 이에 따라 전산망을 개발하고 있는 상태다. 9월부터는 테스트가 진행돼야 하기 때문에 그 전에 모든 시스템 개발은 완료가 될 것이라는 게 금융결제원 측 설명이다.
 

"운영시간은 은행 영업시간에 맞춰, 추후 연장 방침" 

 
당국은 서비스 시행에 앞서 각 업권의 의견을 모으며 서비스 정비에 나서는 중이다.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대환대출 플랫폼 서비스 이용시간이다.  
 
10월 시작되는 시범운영 기간 동안엔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은행 영업일에만 서비스가 진행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는데 이를 놓고 기존 금융권과 플랫폼사 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핀테크 기업들은 ‘비대면 서비스이기 때문에 24시간 이용이 가능하게 해야 된다’는 주장인 반면, 은행들은 ‘보안과 이자 등의 문제가 있어 영업시간 내로 제한해야 된다’는 입장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일단 은행 영업시간에 맞춰 운영하고, 이후 기술 개발과 업무 적응기간 등 상황을 고려해 운영시간 재조정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한다고 알려진 네이버파이낸셜은 “최종 결정이 이뤄지지 않았고 내부 논의 중”이라는 입장이다. 다만 당국에 따르면, 네이버파이낸셜이 ‘관심 있다’는 정도의 내용을 금융결제원 측에 간접 전달한 것으로 전해진다.  

강민경 기자 kang.minkyu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택배 기사님 “아파트 들어오려면 1년에 5만원 내세요”

2“응애” 소리 늘까…4월 출생아 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3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4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5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

6대구시,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피해 복구 지원에 1억원 지원

7소방당국, 아리셀에 ‘화재 경고’…‘예방컨설팅’까지 했다

8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9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실시간 뉴스

1택배 기사님 “아파트 들어오려면 1년에 5만원 내세요”

2“응애” 소리 늘까…4월 출생아 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3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4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5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