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권익위, 국민의힘 부동산거래 조사 착수…7월 중 발표 예정

오는 29일부터 1개월 기본조사…필요시 조사기간 연장
435명 중 8명 동의서 미제출…권익위, 추가 요구키로

국민권익위원회 김태응 부동산거래특별조사단장(상임위원)이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 및 가족 부동산거래 전수조사 착수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가 29일부터 한 달간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과 그 배우자, 직계 존비속 427명에 대한 부동산 거래 내역 전수조사에 착수한다고 28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 101명과 그 배우자, 직계존비속 등 총 427명이다. 권익위는 이들을 대상으로 더불어민주당과 마찬가지로 최근 7년간의 부동산 거래 내역을 조사하게 된다.
 
권익위는 28일 “수시 전원위원회를 개최하고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 등 총 427명에 대한 부동산 거래 전수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조사 기간은 오는 29일부터 한 달간이며, 필요하면 연장할 계획이다. 조사 결과 법령 위반 의혹이 있는 사항은 민주당 조사 때와 마찬가지로 정부합동특별수사본부에 비공개 통보하고 소속 정당에도 알릴 예정이다.
 
김태응 권익위 부동산거래 특별조사단장은 “지난 11일 국민의힘으로부터 소속 국회의원 등에 대한 부동산거래 전수조사 요청을 접수하고, 6월 17일 개인정보제공동의서를 일부 제출받았다”며 “이후 민주당과 국민의힘 양 당의 조사범위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지난 21일 국민의힘에 미제출된 가족에 대한 동의서를 추가로 제출해 줄 것을 공문으로 요청했으며, 지난 24일 동의서를 추가로 제출받았다”고 밝혔다.  
 
권익위에 따르면 국민의힘개인정보제공동의서 제출 대상 435명 중 427명이 제출(98.16%)했고 8명이 제출하지 않았다. 이에 권익위는 여야 형평성 차원에서 여전히 미제출된 국민의힘 측 8명에 대한 개인정보동의서의 추가 제출을 요구키로 했다. 앞서 민주당은 대상자 822명 중 816명이 제출(99.27%)했고 6명이 제출하지 않았다.
 

민주당 출신 전현희 위원장은 관련 직무 회피  

한편, 탈북한 북한 외교관 출신인 태영호 의원은 법령상 미공개 대상이어서 이번 조사 대상에서 빠졌다. 최근 국민의힘에 복당한 홍준표 의원은 지난 21일 시작된 국회 비교섭단체 5개 정당 소속 의원 전수조사에 포함됐다. 다만 국민의힘 의원들에 대한 조사가 끝난 뒤 그 결과를 함께 발표할 예정이다.
 
앞선 지난 21일, 권익위는 정의당·열린민주당·국민의당·기본소득당·시대전환 등 국회 비교섭단체 5개 정당 소속 국회의원 및 무소속 홍준표 의원에 대한 부동산 거래 전수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힌 바 있다. 조사대상은 국회의원 15명 및 그 배우자, 직계존비속 등 모두 75명의 최근 7년간 부동산 거래 내역이다. 조사기간은 다음 달 22일까지다. 권익위는 비교섭 5당 비교섭 5당 조사와 국민의힘 조사를 병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번 국민의힘 부동산거래 조사단장은 민주당 조사와 마찬가지로 김태응 권익위 상임위원이 맡기로 했다. 민주당 출신인 전현희 권익위원장과 안성욱 부패방지 부위원장은 사적 이해관계를 신고하고 관련 직무를 회피했다. 김태응 단장은 “한 점 의혹이 없도록 오직 법과 원칙에 따라 여야 동일한 잣대로 공정하고 엄격하게 조사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2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3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4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5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6‘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7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8우리금융, 1년 3개월간 금융사고 9건 발생

9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실시간 뉴스

1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2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3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4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5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