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오늘의 경제정책 브리핑] 원자재 급등 속 6월 수출 실적 좋아졌을까

관세청이 발표한 지난 5월 월간 수출입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수출은 508억 달러, 수입은 478억 달러 증가했다. 사진은 부산 감만부두와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인 모습.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2021년 6월 수출입동향을 발표한다. 세계 경기 회복에 힘입어 수출 실적이 개선됐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반도체 등 주력사업의 실적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수출 실적이 좋아졌을 것이란 근거는 지난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지역경제보고서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은행은 수도권·동남권·충청권·호남권·대경권 등에서 제조업 생산지수가 전 분기보다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제조업 생산과 설비투자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도체·의약품·정유사들의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3분기에도 수출 호조세는 지속할 전망이다.
 
올해 들어 수출 상황은 매달 나아지고 있다. 지난 5월, 국내 반도체 수출은 100억 달러를 넘어섰다. 11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이 발표한 지난 5월 월간 수출입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수출은 508억 달러, 수입은 478억 달러 증가했다. 각각 45.6%, 37.9% 늘어난 수치다. 무역수지 흑자는 29억 달러를 기록해 1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5월 수출입 동향 가운데 품목별 수출 실적을 보면 자동차 부품(179.8%), 석유제품(160.2%), 승용차(92.0%)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선통신기기(52.3%), 가전제품(53.2%), 반도체는(23.7%)도 늘었다. 반면 선박(14.6%)과 액정디바이스(8.5%) 감소했다.
 
다만, 최근 원자재 가격과 물류비가 올라 기업의 생산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우려할만한 부분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런 요인들은 상품가격을 올리고 물가가 상승하는 원인으로 지목되기 때문이다. 
 
실제 5월 국제유가는 배럴당 6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비철금속과 곡물 가격은 저점 대비 60% 이상 값이 뒨 것으로 조사됐다. 국제 해상운임도 지난해 평균 가격의 3배 수준에서 거래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홍상수·김민희, 불륜 중 ‘득남’…혼외자 호적 '난제' 남았다

2"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3"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4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5"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

6또 터진 금융사고...‘취임 100일’ 강태영 농협은행장, 무거운 어깨

7금감원, 美 상호관세 대응 ‘총력’…매주 원장 주재 회의

8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 2025' 주관기관으로 코스포·벤기협·VC협회 선정

9"만화왕국 日에서 1위 매출이 네이버웹툰?"...라인망가, 앱 매출 날았다

실시간 뉴스

1홍상수·김민희, 불륜 중 ‘득남’…혼외자 호적 '난제' 남았다

2"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3"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4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5"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