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정책 브리핑] 인구주택총조사 발표, 수도권 쏠림 지속할까
![](/data/ecn/image/2021/07/29/ecn29350069-b6d6-41fe-bf28-b796f1e880a6.jpg)
인구주택총조사 발표, 수도권 인구 변화 귀추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내용을 보면 지난 2019년 국내 전체 인구에서 수도권 인구 비중이 50%를 넘어섰다. 수도권 인구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2019년 11월 1일 0시 기준 총인구는 5177만9000명을 기록했다. 이 중 수도권 인구는 2589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광역시·도별 인구 비중은 경기가 25.7%로 가장 높았다. 서울(18.6%)과 부산(6.51%), 경남(6.46), 인천(5.7%) 등의 순이었다.
이런 현상은 정부가 추진해온 균형 발전 정책이 효과를 내지 못했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수도권 집값 급등의 근본적인 원인도 수도권 인구 집중의 영향이 있다고 보고 있다. 시·군·구 단위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늘어난 곳은 경기도 화성시로 인구 증가율은 7.9%로 나타났다. 서울 노원구는 53만명에서 1만명(2.2%) 줄어 인구 감소가 가장 컸다. 이 밖에 10가구 중 3가구는 1인 가구, 노인 인구는 15%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6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발표
한국은행이 지난달 발표한 5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상황을 살펴보면 월 가계대출 금리는 하락했지만, 신용대출 금리는 상승했다. 신규 취급액 기준 예금은행의 대출금리는 연 2.72%로 전 달(2.74%)보다 0.02%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대출(0.01%포인트)과 가계대출(0.02%포인트) 금리 모두 전달보다 떨어졌다.
기업대출 금리도 0.68%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대기업이 지표금리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면서 영향을 미쳤다. 다만 중소기업은 일부 은행의 고금리 대출 취급 등으로 0.01%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약홈 시스템에서 원스톱 금융인증 서비스 시행
금융인증서를 이용하면 별도 앱을 설치하거나 인증서를 이동·복사하는 등 번거로운 절차를 밟지 않아도 된다. 금융인증서는 PC·스마트폰 등에서도 6자리 PIN 번호만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금융인증서는 청약 신청, 은행·보험·증권사 금융거래, 코로나19 예방 접종 사전 예약, 주민등록등본 발급 등 다른 다양한 분야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인증수단이다.
청약통장 가입자는 금융인증서를 통하면 청약신청, 청약당첨조회, 청약자격확인, 청약연습 등 청약홈의 모든 서비스를 빠르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금융결제원은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인증서 유효기간을 3년으로 연장했다. 만료일이 다가오면 자동으로 갱신돼 한 번의 발급만으로도 평생 이용할 수 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애플, 새 보급형 모델 ‘아이폰 16e’ 출시...가격 99만원부터
2올해 가상자산 포인트는 ‘기관 투자자’...코빗 리서치센터
3‘200번째 LNG선’ 인도한 한화오션...세계 최초 기록 달성
4기아, 첫 목적기반모빌리티 ‘PV5’ 외장 디자인 공개
5美 트럼프 수입차 25% 관세 발표에 자동차株 일제히 하락
6보람상조, ‘K-Brand Awards’ 수상...“고객 중심 혁신으로 업계 선도”
7캄파리코리아, 디라돈 고치 ‘마스터 클래스’ 개최
8“우리 아이 안심 첫 밥”...푸디버디, ‘부드러운 유기농 잡곡밥’ 출시
9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