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스타벅스에서 재난지원금 사용? 서울시민만 가능하다네요

백화점·대형마트·골프장·유흥업소 사용 불가
프랜차이즈 직영점은 본사 위치 따라 달라
정부, 용도 제한 기준 지난해처럼 적용 방침

올해 전 국민의 약 88%가 받는 재난지원금을 편의점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무인 편의점에서 시민이 물건을 고르는 모습.[연합뉴스]
 
1인당 25만원씩 전 국민의 약 88%가 받는 상생 국민지원금(재난지원금)을 동네 마트나 식당·편의점 등에서 쓸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지난해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처와 마찬가지로 대형 마트를 비롯해 백화점·온라인몰·유흥업종·노래방·면세점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2일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재난지원금의 용도 제한 규정을 지난해와 같은 방식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재난지원금은 이를 받는 사람이 신용카드·체크카드·선불카드·지역상품권 중 선호하는 방식으로 받을 수 있다. 주민등록상 거주지(광역시·도)에서 원하는 곳에 쓰면 된다. 전통시장·동네마트·주유소·음식점·카페·빵집·편의점·병원·약국·미용실·안경점·서점·문방구·어린이집·유치원·학원 등에서 자유롭게 쓸 수 있다. 하지만 대형 마트나 백화점·유흥업소 등에선 사용할 수 없다.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지역에 따라 사용 가능한 브랜드가 달라질 수 있다. 지난해 재난지원금 사용 기준에 따르면 가맹점(대리점)과 직영점은 사용 제한 규정이 달랐다. 대리점이라면 어디든 거주지역에서 재난 지원금을 쓸 수 있었다. 반면 직영점은 사용자가 소재지(본점 지역)에 사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지원금으로 스타벅스를 이용하려면 서울시민만 이용할 수 있다. 스타벅스는 100% 직영점으로 운영하는데, 매출이 잡히는 본사가 서울에 있기 때문이다. 편의점도 일부 직영점이 있지만, 대부분은 가맹점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지역과 관계없이 거의 다 쓸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재난지원금은 5월 초부터 지급을 시작해 같은 해 8월 31일까지 약 4개월간 쓸 수 있었다. 정부는 작년 기준을 준용하되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지 검토하고 지원금 사용 제한 업소와 기한을 최종적으로 확정·안내할 계획이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검은사막에서 엿볼 수 있는 차기작 ‘붉은사막’의 모습은?

2이재명 “민주당 집권 땐 코스피 3000 간다”

3‘홍콩 재벌 3세 사망’ 강남 성형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이유는

4전국 집값, 연초 더 떨어졌다...전셋값도 하락 전환

5정부, 올해 지적재조사사업에 418억 투입…민간 참여 47%로 확대

6“세금 한 푼 안내고”…자녀에 50억 아파트 편법 증여, 156명 세무조사

7美 계란값 폭등 '12개 7200원'...바이든 정부 책임?

8레페리, 알렉스디자인 인수 2년 성과 발표...“올해도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9“우리 아티스트 비웃지 마라”...가상 아이돌 시대, ‘플레이브’ 비하 논란

실시간 뉴스

1검은사막에서 엿볼 수 있는 차기작 ‘붉은사막’의 모습은?

2이재명 “민주당 집권 땐 코스피 3000 간다”

3‘홍콩 재벌 3세 사망’ 강남 성형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이유는

4전국 집값, 연초 더 떨어졌다...전셋값도 하락 전환

5정부, 올해 지적재조사사업에 418억 투입…민간 참여 47%로 확대